로고

THE COMMERCIAL ARBITRATION LAW OF THE KINGDOM OF CAMBODIA 캄보디아 왕국 상사중재법

‧ 국 가 ‧ 지 역: 캄보디아 ‧ 제 정 일: 2006년 3월 6일

* (역자주) 항 호 목 등의 기호는 원문의 기호를 사용하지 않고 우리나라 법령 체계에 맞추어 다음과 같이 변경하여 표시한다. (1) ① 또는 제1항 (a) 1. 또는 제1호 (i) 가. 또는 가목

CHAPTER I GENERAL PROVISIONS

제1장 총칙

Article 1: Purpose and Scope of Application

The purpose of this law is to facilitate the impartial and prompt resolution of commercial disputes in accordance with the wishes of the parties, to safeguard the legal rights and interests of the parties, and to promote the sound development of the economy. This Law shall not affect any other law of the Kingdom of Cambodia by virtue of which certain dispute may be submitted to arbitration or other dispute resolution procedures, or by virtue of which certain disputes may not be submitted to arbitration.

제1조 목적 및 적용 범위

이 법의 목적은 당사자가 바라 는 바에 따라 상사 분쟁의 공정 하고 신속한 해결을 촉진하는 한편, 당사자의 법적 권리와 이 해관계를 보호하며, 경제의 건전 한 발전을 도모하는 데 있다. 이 법은 특정 분쟁을 중재 또는 그 밖의 분쟁 해결 절차에 부칠 수 있음을 정하거나 특정 분쟁 을 중재에 부칠 수 없음을 정한 캄보디아 왕국의 다른 법률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Article 2: Definitions and Rules of Interpretation

For purposes of this Law: (a) “Arbitration” means any arbitration whether or not administered by a permanent arbitral institution; (b) “Arbitral tribunal” means a sole arbitrator or a panel of arbitrators; (c) “Court” means a body or organ of the judicial system of a state; (d) “Arbitration agreement” is an agreement by the parties to submit to arbitration all or certain disputes which have arisen or which may arise between them in respect of a defined legal relationship, whether contractual or not. (e) Where a provision of this law, except Article 36 of this Law, leaves the parties free to determine a certain issue, such freedom includes the right of the parties to authorize a third party, including an institution, to make that determination; (f) Where a provision of this Law refers to the fact that the parties have agreed, or that they may agree, or in any other way refers to an agreement of the parties, such agreement includes any rules referred to in that agreement; (g) Where a provision of this Law, other than in Articles 33(a) and 40(a), refers to a claim, it also applies to a counter-claim, and where it refers to a defense, it also applies to a defense to such counter-claim; (h) An arbitration is “international” if (i) the parties to an arbitration agreement have their places of business in different States at the time of the conclusion of that agreement; or (ii) one of the following places is situated outside the state in which the parties have their places of business: - the place of arbitration, if determined in, or pursuant to, the arbitration agreement; - any place where a substantial part of the obligations of the commercial relationship is to be performed or the place with which the subject matter of the dispute is most closely connected; or (iii) The parties have expressly agreed that the subject matter of the arbitration agreement relates to more than one country. (iv) For the purposes of this paragraph (h); - if a party has more than one place of business, the place of business is that which has the closest relationship to the arbitration agreement; - if a party does not have a place of business, reference is to be made to his habitual residence. (i) The term “commercial” should be given a wide interpretation so as to cover matters arising from all relationships of a commercial nature, whether contractual or not relationships of a commercial nature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transactions: any trade transaction for the supply or exchange of good or services; distribution agreement; commercial representation or agency; factoring; leasing; construction of works; consulting; engineering; licensing; investment; financing; banking; insurance; exploitation agreement or concession; joint venture and other forms of industrial or business co-operation; and carriage of goods or passenger by air, sea, rail or road.

제2조 정의 및 해석 규칙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 의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중재"란 상설 중재 기관의 주재 여부와 관계 없이 모든 중재를 말한다. 2. "중재판정부"란 단독중재인 또는 중재인단을 말한다. 3. "법원"이란 국가 사법 체계의 기구 또는 조직을 말한다. 4. "중재합의"란, 계약 여부와 관 계없이, 일정한 법률관계에 대 하여 당사자 간에 발생하였거 나 발생할 수 있는 분쟁의 전 부 또는 일부를 중재에 의하여 해결하도록 하는 당사자 간의 합의를 말한다. 5. 법 제36조를 제외하고, 이 법 의 조항이 특정 사안을 당사자 간에 자유롭게 결정하도록 두 는 때에, 그러한 자유는 기관 을 포함하여 제3자에게 그러한 결정을 내릴 권한을 부여하는 당사자의 권리를 포함한다. 6. 이 법의 조항이 당사자 간에 합의하였거나, 당사자 간에 합 의할 수 있는 사실을 언급하거 나 그 밖의 방법으로 당사자 간의 합의에 대하여 언급하는 때에, 그러한 합의는 해당 합 의에서 참조하는 규칙을 포함 한다. 7. 제33조제1항 및 제40조제1항 을 제외하고, 이 법의 조항이 청구에 대하여 언급하는 때에, 이는 반대청구에 대하여도 적 용하며, 답변서에 대하여 언급 하는 조항은 그러한 반대청구 에 대한 답변서에 대하여도 적 용한다. 8.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중재는 "국제"적이다. 가. 중재합의 당사자가 각자 의 영업소를 그 합의의 도 출 당시 다른 국가에 둔 경 우 나. 다음 어느 하나의 소재가 당사자가 영업소를 둔 국가 의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 - 중재합의에서, 또는 그 에 의거하여 결정하는 중재지 - 상업 관계상 의무의 상 당 부분이 수행되어야 하는 장소 또는 분쟁의 사안이 가장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장소 다. 중재합의의 사안이 둘 이 상의 국가와 관련이 있음을 당사자가 명시적으로 합의 한 경우 라. 제8호의 목적상 - 어느 한쪽 당사자가 둘 이상의 영업소를 둔 때 에는, 중재합의와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곳 을 영업소로 한다. - 어느 한쪽 당사자가 영 업소를 두지 아니하는 때에는, 그의 일상적 거 주지를 참조하여야 한 다. 9. "상업"이라는 용어는, 계약 여 부와 관계없이, 모든 상업적 성질의 관계로부터 발생하는 사항을 포괄하도록 광범위하게 해석하여야 한다. † 상업적 성질 의 관계로는 다음의 거래 등을 들 수 있다: 물품이나 서비스 의 공급·교환을 위한 상거래, 유통 계약, 상업적 대표·대리 행위, 채권매입, 임대, 업무의 구축, 자문, 기술, 면허, 투자, 자금 조달, 은행업, 보험, 개발 계약·양허, 합작투자와 기타 형 태의 상공업 협력, 그리고 물 품이나 승객의 항공·해상·철도· 도로 운송 등.

† 역자주 ) 원문에는 마침표가 없으나 , 문법상 두 개의 문장이 존재하여 번역문에는 마침표를 표기하였음을 밝힌다.

Article 3: Receipt of Written Communications

Unless otherwise agreed by the parties:

제3조 서면의 수신

당사자 간에 달리 합의하지 아 니하는 이상 다음 각 항과 같이 한다.

(1) any written communication is deemed to have been received if it is delivered to the addressee personally, or if it is delivered at his place of business, habitual residence or mailing address; if none of these can be found after making a reasonable inquiry, a written communication is deemed to have been received if it is sent to the addressee’s last-known place of business, habitual residence or at the last known address of the addressee;

① 서면은 수신인에게 직접 교 부하는 때, 또는 수신인의 영업 소, 일상적 거주지 또는 우편연 락장소에 전달된 때에 이를 받 은 것으로 보며, 해당 정보를 적 절한 조회를 하였음에도 확인할 수 없어 서면을 최후로 알려진 수신인의 영업소, 일상적 거주지 또는 최후로 알려진 수신인의 주소로 송달한 때에는 이를 받 은 것으로 본다.

(2) The provisions of Article 3 of this Law do not apply to communications in Court proceedings.

② 이 법 제3조의 규정은 법원 이 하는 송달에는 적용하지 아 니한다.

Article 4: Waiver of Right to Object

A party who knows that any provision of this Law from which parties may derogate, or any requirement under the arbitration agreement, has not been complied with, and yet proceeds with the arbitration without stating his objection to such non-compliance without undue delay or, if a time limit is provided therefore, within such period of time, shall be deemed to have waived his right to object.

제4조 이의신청권의 상실

당사자가 이 법의 임의규정 또 는 중재합의에 따른 요건을 위 반한 사실을 알고도 지체 없이 이의를 제기하지 아니하거나, 정 하여진 이의제기 기간 내에 이 의를 제기하지 아니하고 중재절 차가 진행된 경우에는 그 이의 신청권을 상실한다.

Article 5: Extent of Court Intervention

In matters governed by this Law, no Court shall intervene except where so provided in this Law.

제5조 법원의 관여 범위

법원은 이 법에서 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 법에 관한 사항 에 관여할 수 없다.

Article 6: Court or other Authority for Certain Functions of Arbitration Assistance Supervision

The functions referred to in Articles 19(3), 19(4), and 19(5); 21(3); 22; and 24(3) of this law shall be performed by the Court (Commercial, or Appeal, or Supreme) or National Arbitration Center.

제6조 법원 또는 그 밖의 기관의 중재 지원 감독에 대한 특정 역할

이 법 제19조제3항, 제19조제4 항 및 제19조제5항, 제21조제3 항, 제22조, 그리고 제24조제3 호에서 언급하는 역할은 법원 (상사법원, 항소법원, 또는 대법 원)이나 국립중재원에서 수행하 여야 한다.

CHAPTER II ARBITRATION AGREEMENT

제2장 중재합의

Article 7: Definition and Form of Arbitration Agreement

Arbitration agreement includes an arbitration clause in a contract or a separate submission

제7조 중재합의의 정의와 방식

중재합의는 계약에 포함하는 중 재조항 또는 독립된 합의를 포 함한다.

Article 8: Arbitration Agreement and Substantive Claim before Court

A Court before which an action is brought in a matter which is the subject of an arbitration agreement shall, if a party so requests not later than when submitting his first statement on the substance of the dispute, refer the parties to arbitration unless it finds that the agreement is null and void, inoperative or incapable of being performed. Where an action referred to in paragraph (1) of this Article has been brought, arbitral proceedings may nevertheless be commenced or continued and the court shall refer the issue to the arbitration, while it is pending before the arbitration.

제8조 중재합의 및 법원 제소

중재합의의 대상인 분쟁에 관하 여 소가 제기된 법원은 어느 한 쪽 당사자가 해당 분쟁의 본안 (本案)에 대한 최초의 변론을 하기 이전에 요청하는 경우 당 사자를 중재에 회부하여야 하나, 다만 중재합의가 무효이거나, 효 력을 상실하였거나 그 이행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 니하다. 이 조 제1항‡의 소가 제기된 경 우, 중재절차를 개시 또는 진행 할 수 있으며 해당 사건이 중재 절차에 계속(繫屬) 중인 동안에, 법원은 이를 중재에 회부하여야 한다.

‡(역자주) 바로 앞의 문장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이나, 이 법의 영문본에는 항의 기호가 기재되어 있지 않아, 영문 자료에 보이는 그대로 번역문에도 항의 표시를 하지 않았음음을 밝힌다.

Article 9: Arbitration Agreement and Interim Measures by Court

It is not incompatible with an arbitration agreement for a party to request, before or during arbitral proceedings from a Court an interim measure of protection and for a Court to grant such measure.

제9조 중재합의와 법원의 보전처 분

중재합의의 당사자가 중재절차 의 개시 전 또는 진행 중에 법 원에 보전처분(保全處分)을 신 청하고 법원이 그러한 처분을 내리는 것은 중재합의와 모순되 지 아니하다.

CHAPTER III NATIONAL CENTER OF COMMERCIAL ARBITRATION

제3장 국립상사중재원

Article 10: National Arbitration Center

An independent National Arbitration Center (“NAC”) shall be established under the auspices of Ministry of Commerce. The objectives of the National Arbitration Center are:

제10조 국립중재원

독립기관인 국립중재원(NAC)을 상무부의 주관으로 신설한다 국립중재원의 목표는 다음 각 항과 같다.

(1) to promote settlement of commercial disputes by means of arbitration in Cambodia;

① 캄보디아에서의 중재를 통한 상사 분쟁의 해결을 촉진

(2) to create the necessary infrastructure and rules for the administration of arbitration cases in the Kingdom of Cambodia, where an express agreement of disputing parties to refer disputes to National Arbitration Center;

② 분쟁의 국립중재원 회부를 명시한 분쟁 당사자 간의 합의 가 있는 경우, 캄보디아 왕국에 서 중재 사건의 주재를 위한 필 수 기반과 규칙을 수립

(3) to ensure that high quality standards of arbitration are maintained in the Kingdom of Cambodia. This objective includes setting standards for the qualification of arbitrators,

③ 캄보디아 왕국의 중재 수준 을 높게 유지할 수 있도록 보장. 이 목표는 중재인의 자격 기준 수립을 포함한다.

Article 11: Arbitrators

The Khmer natural person or foreigner who is arbitrator shall register with the National Arbitration Center. The National Arbitration Center shall have an obligation to determine the arbitrators’ qualification and shall make the public announcement of arbitrators’ list yearly. The list is not absolute; the parties are free to choose the arbitrator outside that list.

제11조 중재인

캄보디아 자연인 또는 외국인인 중재인은 국립중재원에 등록하 여야 한다. 국립중재원은 중재인 의 자격을 결정할 책임을 지며 매년 중재인 명부를 공고하여야 한다. 이 명부는 절대적이지 아니하며, 당사자는 명부에 등재되지 아니 한 중재인을 선택할 자유가 있 다.

Article 12: Qualification of Members of Arbitrators

The natural person and legal entity to be permitted as a member of the National Arbitration Center are: - an Arbitrator who has registered his/her name with the National Arbitration Center; - the Chamber of Commerce; - the Bar of the Kingdom of Cambodia; and - the Association that comprises of businessman, industrialist, merchant and services provider. The application to be a member of the National Arbitration Center shall be determined by the Executive Board of the National Arbitration Center that comprises not more than seven (7) members. The term of each member is three (3) years and may re-elect for one more term.

제12조 중재인 회원 자격 요건

국립중재원의 회원으로 허용하 는 자연인 및 법인은 다음과 같 다. - 국립중재원에 성명을 등록한 중재인 - 상공회의소 - 캄보디아 변호사 - 사업자, 기업인, 상인 및 서비 스업자 등으로 구성된 협회 국립중재원 회원 가입 신청은 7 인 이하의 회원으로 구성하는 국립중재원 이사회에서 결정하 여야 한다. 각 회원의 임기는 3년으로 하며 1회에 한하여 연임할 수 있다

Article 13: The Chamber of Commerce and Chamber of Professionals

The Chamber of Commerce may establish an Arbitration Center in Phnom Penh. The Association that comprises of businessman, industrialist, merchant and services provider may establish its own arbitral institution for disputes arising among its members; and between its members and third party.

제13조 상공회의소 및 전문인협회

상공회의소는 프놈펜에 중재원 을 설립할 수 있다. 사업자, 기 업인, 상인 및 서비스업자 등으 로 구성된 협회는 그 회원 간, 그리고 회원과 제3자 간에 발생 하는 분쟁을 위한 자체 중재기 관을 설립할 수 있다.

Article 14: Management of National Arbitration Center

The National Arbitration Center shall be governed by: - a General Assembly; and - an Executive Office. The General Assembly shall have inter alia functions and duties: - to meet one or twice per year at the request of the Chairman of the National Arbitration Center or at the request of the majority members of Executive Board; - to elect the Executive Board; - to inspect the annual report of Executive Board; - to approve the financial budget of National Arbitration Center; - to determine the fees and costs of arbitration; - to approve the amendment of rules and regulations that related to the operation of National Arbitration Center and functioning of arbitration; and - to fulfill other functions and duties that determined in the Sub-Decree of the organization and functioning of National Arbitration Center.

제14조 국립중재원의 운영

국립중재원의 운영 조직은 다음 과 같다. - 총회 - 총괄사무국 총회는 여러 직무 중에서도 특 히 다음을 수행하여야 한다. - 국립중재원장의 요청에 따라 또는 이사회 소속 회원 과반수 의 요청에 따라 연 1~2회의 회 의 개최 - 이사회 선출 - 이사회의 연례보고서 검토 - 국립중재원의 예산 승인 - 중재 수수료 및 비용 결정 - 국립중재원의 운영 및 중재 역할에 관계된 규칙과 규정의 개정안 승인 - 그 밖에 국립중재원의 조직과 역할에 대한 하위법령에서 정하 는 직무 수행

Article 15: The General Assembly

The General Assembly shall be attended by the members who are natural persons and a representative of each legal entity.

제15조 총회

총회에는 자연인인 회원과 각 법인의 대표인 회원이 참석하여 야 한다.

Article 16: Composition of Executive Board

The Composition of Executive Board that manages the National Arbitration Center shall be elected among its members by the General Assembly. The Chairman of Executive Board shall be the Chairman of the National Arbitration Center.

제16조 이사회의 구성

국립중재원을 운영하는 이사회 의 구성은 총회가 회원 중에서 선출하는 자로 하여야 한다. 이사회의 의장은 국립중재원장 이 된다.

Article 17: Organization and Functioning of National Arbitration Center

The organization and functioning of National Arbitration Center shall be determined by implementing Sub-Decree.

제17조 국립중재원의 조직 및 역 할

국립중재원의 조직과 역할은 이 법의 시행을 위한 하위법령으로 결정하여야 한다.

CHAPTER IV COMPOSITION OF ARBITRAL TRIBUNAL

제4장 중재판정부의 구성

Article 18: Number of Arbitrators

The parties are free to determine the number of arbitrators. The number of arbitrators shall be odd number. Failing such determination, the number of arbitrators shall be three (3).

제18조 중재인의 수

중재인의 수는 당사자가 정할 수 있다. 중재인의 수는 홀수여 야 한다. 이를 정하지 못하는 때에 중재 인의 수는 3인으로 한다.

Article 19: Appointment of Arbitrators

The appointment of arbitrator shall determine as follows:

제19조 중재인의 선정

중재인의 선정은 다음 각 항과 같이 하여야 한다.

(1) no person shall be precluded by reason of his nationality from acting as an arbitrator, unless otherwise agreed by the parties.

① 당사자 간에 다른 합의가 없 으면, 누구든 국적을 이유로 중 재인으로서 행위를 하는 것이 금지되어서는 아니 된다.

(2) the parties are free to agree on a procedure for appointing the arbitrator or arbitrators, subject to the provisions of paragraphs (4) and (5) of this Article.

② 1인 또는 여러 중재인의 선정 절차는, 이 조의 제4항 및 제5항 의 범위에서, 당사자 합의로 정 한다.

(3) failing such agreement,

(a) in an arbitration with three arbitrators, each party shall appoint one arbitrator, and the two arbitrators thus appointed shall appoint the third arbitrator; if a party fails to appoint the arbitrator within thirty days of receipt of a request to do so from the other party, or if the two arbitrators fail to agree on the third arbitrator within thirty days of their appointment, the appointment shall be made, upon request of a party, by the Court (Commercial, or Appeal, or Supreme) or National Arbitration Center as specified in Article 6 of this Law; (b) in an arbitration with a sole arbitrator, if the parties are unable to agree on the arbitrator, he shall be appointed, upon request of a party, by the Court (Commercial, or Appeal, or Supreme) or National Arbitration Center as specified in Article 6 of this Law. (4) Where, under an appointment procedure agreed upon by the parties, either party may request to the Court (Commercial, or Appeal, or Supreme) or National Arbitration Center as specified in Article 6 of this Law to take a necessary measure for any of the following: (a) a party fails to act as required under such procedure, or (b) the parties, or two (2) arbitrators, are unable to reach an agreement expected of them under such procedure, or (c) A third party, including an institution, fails to perform any function entrusted to it under such procedure. This article shall not apply, unless the agreement on the appointment procedure provides other means for securing the appointment. (5) A decision on a matter entrusted by paragraph (3) or (4) of this Article to the Court (Commercial, or Appeal, or Supreme) or National Arbitration Center as specified in Article 6 of this Law shall be subject to no appeal. The Court (Commercial, or Appeal, or Supreme) or National Arbitration Center as specified in Article 6 of this Law, in appointing an arbitrator, shall have due regard to any qualifications required of the arbitrator by the agreement of the parties and to such considerations as are likely to secure the appointment of an independent and impartial arbitrator. In the case of a sole or third arbitrator in an international arbitration, the Court (Commercial, or Appeal, or Supreme) or National Arbitration Center as specified in Article 6 of this Law shall take into account as well the advisability of appointing an arbitrator of a nationality other than those of the parties as specified in Article 19(1) of this Law.

③ 그러한 합의가 없을 때는 다 음 각 호와 같이 한다.

1. 중재인이 3인인 경우, 각 당 사자는 1인의 중재인을 선정하 고, 이와 같이 선정된 2인의 중재인이 나머지 1인의 중재인 을 선정하도록 하며, 어느 한 쪽 당사자가 상대방 당사자로 부터 중재인의 선정을 요청받 은 후 30일 이내에 중재인을 선정하지 아니하거나 선정된 2 인의 중재인들이 선정된 후 30 일 이내에 나머지 1인의 중재 인을 선정하지 못한 때에는 어 느 한쪽 당사자의 요청에 따라 이 법 제6조의 법원(상사법원, 항소법원, 또는 대법원) 또는 국립중재원이 그 중재인을 선 정한다. 2. 단독중재인에 의한 중재의 경 우, 당사자들이 중재인의 선정 에 관하여 합의하지 못한 때에 는 어느 한쪽 당사자의 요청에 따라 이 법 제6조의 법원(상사 법원, 항소법원, 또는 대법원) 이나 국립중재원이 중재인을 선정한다. ④ 당사자 간에 합의한 선정절 차에 따르는 경우, 어느 한쪽 당 사자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 에 대하여 필요한 조치를 이 법 제6조의 법원(상사법원, 항소법 원, 또는 대법원)이나 국립중재 원에 요청할 수 있다. 1. 어느 한쪽 당사자가 해당 절 차에서 요구하는 대로 행동하 지 아니하는 경우 2. 당사자 또는 2인의 중재인이 해당 절차에 따라 예정된 합의 에 이르지 못하는 경우 3. 기관을 포함하는 제3자가 해 당 절차에 따라 그에게 부여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 선정절차에 대한 합의가 선정 을 위한 그 밖의 방법을 정하 지 아니하는 이상, 이 조를 적 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⑤ 이 조의 제3항 또는 제4항에 따라 이 법 제6조의 법원(상사 법원, 항소법원, 또는 대법원)이 나 국립중재원에 요청한 사항에 대한 결정은 이의제기의 대상이 되지 아니한다. 이 법 제6조의 법원(상사법원, 항소법원, 또는 대법원)이나 국 립중재원이 중재인을 선정할 때, 당사자 간 합의에 따라 요구되 는 중재인의 자격 요건을 비롯 하여 독립성과 공정성을 갖춘 중재인을 선정할 수 있는 사항 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 국제중재의 단독 중재인 또는 제3중재인의 경우, 이 법 제6조 의 법원(상사법원, 항소법원 또 는 대법원)이나 국립중재원은 이 법 제19조제1항에서 정하는 바와 같이 당사자들과는 다른 국적의 중재인 선정의 타당성 또한 고려하여야 한다.

Article 20: Ground for Challenge

When a person is approached in connection with his possible appointment as an arbitrator, he shall disclose any circumstances likely to give rise to justifiable doubts as to his impartiality or independence. An arbitrator, from the time of his appointment and throughout the arbitral proceedings, shall without delay disclose any such circumstances to the parties, unless they have already been informed of them by him. An arbitrator may be challenged only if circumstances exists that give rise to justifiable doubts as to his impartiality or independence, or if he does not possess qualifications agreed to by the parties. A party may challenge an arbitrator appointed by him, or in whose appointment he has participated, only for reasons of which he becomes aware after the appointment has been made.

제20조 중재인에 대한 기피 사유

중재인이 되어 달라고 요청받은 사람은 자신의 공정성이나 독립 성에 관하여 의심을 살 만한 사 유가 있을 때에는 이를 고지(告 知)하여야 한다. 중재인은 이미 당사자에게 알린 경우를 제외하고, 선정된 때부터 중재절차의 모든 과정에서, 당사 자들에게 이러한 사유를 지체없 이 고지하여야 한다. 중재인은 자신의 공정성이나 독 립성에 관하여 의심을 살 만한 사유가 있거나 당사자들이 합의 한 중재인의 자격을 갖추지 못 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만 기피 될 수 있다. 당사자는 자신이 선 정하였거나 선정절차에 참여하 여 선정한 중재인에 대하여는 선정 후에 알게 된 사유가 있는 경우에만 기피신청을 할 수 있 다.

Article 21: Challenge Procedure

To challenge the arbitrator, the parties shall comply with the following procedures:

제21조 기피절차

중재인에 대한 기피신청을 위하 여, 당사자는 다음의 절차에 따 라야 한다.

(1) the parties are free to agree on a procedure for challenging an arbitrator, subject to the provisions of paragraph (3) of this Article.

① 중재인에 대한 기피절차는, 이 조 제3항의 범위에서, 당사자 간의 합의로 정한다.

(2) failing such agreement, a party who intends to challenge an arbitrator shall, within fifteen (15) days after becoming aware of the constitution of the arbitral tribunal or after becoming aware of any circumstance referred to in Article 20(2) of this Law, send a written statement of the reasons for the challenge to the arbitral tribunal and the other party or parties.

Unless the challenged arbitrator withdraws from his office or the other party agrees to the challenge, the arbitral tribunal shall decide on the challenge.

② 그러한 합의가 없는 경우에 중재인을 기피하려는 당사자는 중재판정부가 구성되었음을 안 날 또는 이 법 제20조제2항의 사유를 안 날부터 15일 이내에 그 이유를 밝혀 중재판정부에 서면으로 기피신청을 하여야 하 며, 이를 상대방 당사자에게도 송부하여야 한다.

기피신청을 받은 중재인이 사임 하지 아니하거나 상대방 당사자 가 기피신청에 동의하지 아니하 면 중재판정부는 그 기피신청에 대한 결정을 하여야 한다.

(3) if a challenge under any procedure agreed upon by the parties or under the procedure of paragraph (2) of this Article is not successful, the challenging party may request, within thirty days after having received notice of the decision rejecting the challenge, the Court (Commercial, or Appeal, or Supreme) or National Arbitration Center as specified in Article 6 of this Law to decide on the challenge, which decision shall be subject to no appeal; while such a request is pending, the arbitral tribunal, including the challenged arbitrator, may continue the arbitral proceedings and make an award.

③ 당사자 간에 합의한 절차 또 는 이 조 제2항의 절차에 따른 기피신청이 받아들여지지 아니 한 경우 기피신청을 한 당사자 는 그 결과를 통지받은 날부터 30일 이내에 이 법 제6조의 법 원(상사법원, 항소법원, 또는 대 법원)이나 국립중재원에 해당 중재인에 대한 기피신청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정에 대하 여는 항고할 수 없고, 기피신청 이 법원에 계속 중일 때에도, 중 재판정부는, 기피신청이 들어온 중재인을 포함하여, 중재절차를 진행하고 중재판정을 내릴 수 있다.

Article 22: Failure or Impossibility to Act

If an arbitrator becomes De Jure or De Facto unable to perform his functions, or for other reasons fails to act without undue delay, his mandate terminates if he withdraws from his office or if the parties agree on the termination. Otherwise, if a controversy remains concerning any of these grounds, any party may request the Court (Commercial, or Appeal, or Supreme) or National Arbitration Center as specified in Article 6 of this Law to decide on the termination of the mandate, which decision shall be subject to no appeal. If, under this Article or Article 21(2), an arbitrator withdraws from his office or a party agrees to the termination of the mandate of an arbitrator, this does not imply acceptance of the validity of any ground referred to in this Article or Article 20(2).

제22조 직무 불이행 또는 불능

중재인이 법률상 또는 사실상의 사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거 나 정당한 사유 없이 직무 수행 을 지체하는 경우에는 그 중재 인의 사임 또는 당사자 간의 합 의에 의하여 중재인의 권한은 종료된다. 그 밖에, 이러한 사유와 관련하 여 다툼이 있는 경우, 당사자는 이 법 제6조의 법원(상사법원, 항소법원 또는 대법원)이나 국 립중재원에 중재인의 권한종료 에 대한 결정을 신청할 수 있으 며, 이러한 결정에 대하여는 항 고할 수 없다. 이 조 또는 제21조제2항에 따라 중재인이 사임하거나 상대방 당 사자가 기피 신청에 동의하는 것은 이 조 또는 제20조제2항에 따른 사유의 유효성에 대한 인 정을 의미하지 아니한다.

Article 23: Appointment of Substitute Arbitrator

Where the mandate of an arbitrator terminates under Article 21 or 22 of this law, a substitute arbitrator shall be appointed according to Article 19 of this law.

제23조 보궐중재인의 선정

이 법 제21조 또는 제22조에 따 라 중재인의 권한이 종료된 경 우, 보궐중재인은 이 법 제19조 에 따라 선정하여야 한다.

CHAPTER V JURISDICTION OF ARBITRAL TRIBUNAL

제5장 중재판정부의 관할

Article 24: Competence of Arbitral Tribunal To Rule on Its Jurisdiction

The jurisdiction of Arbitral Tribunal shall determine as follows:

제24조 중재판정부의 관할 결정 능력

중재판정부의 관할은 다음 각 항과 같이 결정하여야 한다.

(1) The arbitral tribunal may rule on its own jurisdiction, including any objections with respect to the existence or validity of the arbitration agreement. For that purpose, an arbitration clause that forms part of a contract shall be treated as an agreement independent of the other terms of the contract. A decision by the arbitral tribunal that the contract is null and void shall not entail Ipso Jure the invalidity of the arbitration clause.

① 중재판정부는 자신의 권한 및 이와 관련된 중재합의의 존 재 여부 또는 유효성에 대한 이 의에 대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계약의 일부를 구성하 는 중재조항은 해당 계약의 다 른 조항과 관계없는 합의로서 취급하여야 한다. 계약이 무효라 는 중재판정부의 결정은 법적으 로 중재조항의 무효를 의미하지 아니한다.

(2) A plea that the arbitral tribunal does not have jurisdiction shall be raised not later than the submission of the statement of defense.

A party is not precluded from raising such a plea by the fact that he has appointed, or participated in the appointment of, an arbitrator, A plea that the arbitral tribunal is exceeding the scope of its authority shall be raised as-soon as the matter alleged to be beyond the scope of its authority is raised during the arbitral proceedings. The arbitral tribunal may, in either case, admit a later plea if it considers the delay justified.

② 중재판정부가 권한이 없음에 관한 이의는 본안에 관한 답변 서를 제출할 때까지 제기하여야 한다. 당사자는 자신이 중재인을 선정하였거나 선정절차에 참여 하였더라도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중재판정부가 중재절차의 진행 중에 그 권한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 이에 대한 이의는 그 사유 가 중재절차에서 다루어지는 즉 시 제기하여야 한다. 중재판정부는, 앞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이의가 늦게 제기되었 더라도 그 지연에 정당한 이유 가 있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이를 받아들일 수 있다.

§ (역자주) 영문본에는 쉼표(,)로 되어 있으나, 문맥상 마침표(.)로 보아 번역하였다.

(3) The arbitral tribunal may rule on a plea referred to in paragraph (2) of this Article either as a preliminary question or in an award on the merits. If the arbitral tribunal rules as a preliminary question that it has jurisdiction, any party may request, within thirty days after having received notice of that ruling, the Court specified in Article 6 to decide the matter, which decision shall be subject to no appeal; while such a request is pending, the arbitral tribunal may continue the arbitral proceedings and make an award.

③ 중재판정부는 이 조 제2항에 따른 이의에 대하여 선결문제 (先決問題)로서 결정하거나 본 안에 관한 중재판정에서 함께 판단할 수 있다. 중재판정부가 선결문제로서 자신에게 권한이 있음을 결정한 경우에 당사자는 그 결정을 통지받은 날부터 30 일 이내에 제6조의 법원에 중재 판정부의 권한에 대한 심사를 신청할 수 있고, 그 결정에 대하 여는 항고할 수 없으며, 이러한 신청으로 재판이 계속 중인 경 우에도 중재판정부는 중재절차 를 진행하거나 중재판정을 내릴 수 있다.

Article 25: Power of Arbitral Panel to Order Interim Measures

Unless otherwise agreed by the parties, the arbitral panel may, at the request of a party, order any party to take such interim measure of protection as the arbitral panel may consider necessary in respect of the subject matter of the dispute. The arbitral panel may require any party to provide appropriate security in connection with such measure.

제25조 중재판정부의 임시적 처분 명령 권한

당사자 간에 다른 합의가 없는 경우에 중재판정부는 어느 한쪽 당사자의 신청에 따라 분쟁의 사안과 관련하여 필요하다고 인 정하는 임시적 보호 처분을 내 릴 수 있다. 중재판정부는 당사자에게 그러 한 처분과 관련하여 상당한 담 보의 제공을 요구할 수 있다.

CHAPTER VI CONDUCT OF ARBITRAL PROCEEDINGS

제6장 중재절차의 진행

Article 26: Equal Treatment of Parties

The parties shall be with equality and each party shall be given a full opportunity to present his case, including representation by any party of his choice.

제26조 당사자에 대한 동등한 대 우

당사자는 동등한 대우를 받아야 하고 당사자 선택에 따른 대리 와 같이 자신의 사안(事案)에 대하여 변론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가져야 한다.

Article 27: Determination of Rules of Procedure

The parties are free to agree or disagree on the procedure to be followed by the arbitral tribunal in conducting the proceedings. Failing such agreement, the arbitral tribunal may, subject to the provisions of this Law, conduct the arbitration in such manner as it considers appropriate. The power conferred upon the arbitral tribunal includes the power to determine the admissibility, relevance, materiality and weight of any evidence.

제27조 절차 규칙의 결정

당사자들은 중재판정부가 중재 절차의 진행 과정에서 따르는 절차에 대하여 합의 또는 반대 할 수 있다. 그러한 합의가 없는 경우에는 중재판정부가 이 법에 따라 적 절한 방식으로 중재절차를 진행 할 수 있다. 중재판정부는 증거능력, 증거의 관련성, 증거의 중요도 및 증명 력에 관하여 판단할 권한을 가 진다.

Article 28: Place of Arbitration

The parties are free to agree on the place of arbitration. Failing such agreement, the place of arbitration shall be determined by the arbitral tribunal having regard to the circumstances of the case, including the agreement of the parties. Notwithstanding the provisions of paragraph (1) of this Article, the arbitral tribunal may, unless otherwise agreed by the parties, meet at any place it considers appropriate for consultation among its members, for hearing witnesses, experts, or the parties, or to conduct inspection to equipment, property or other documents.

제28조 중재지

당사자들은 중재지에 대하여 합 의할 수 있다. 그러한 합의가 없 는 경우에는 중재판정부가 당사 자 간의 합의를 포함하여, 해당 사건에 관한 사정을 고려하여 중재를 결정한다. 중재판정부는, 당사자가 달리 합 의하지 아니하는 이상, 이 조 제 1항에 따른 중재지 외의 적절한 장소에서 중재인들 간의 협의, 증인ㆍ감정인 및 당사자 본인에 대한 신문(訊問), 물건ㆍ장소의 검증 또는 문서의 열람을 할 수 있다.

Article 29: Commencement of Arbitral Proceedings

Unless otherwise agreed by the parties, the arbitral proceedings in respect of a particular dispute commence on the date on which a request for that dispute to be referred to arbitration is received by the respondent.

제29조 중재절차의 개시

당사자 간에 다른 합의가 없는 경우 중재절차는 해당 분쟁을 중재에 회부하기 위한 요청서를 피신청인이 받은 날부터 시작된 다.

Article 30: Language

The parties are free to agree on the language or languages to be used in the arbitral proceedings. Failing such agreement, the arbitral tribunal shall determine the language or languages to be used in the proceedings. The arbitral tribunal may order that any documentary evidence shall be accompanied by a translation into the language or languages agreed upon by the parties or determined by the arbitral tribunal.

제30조 언어

당사자들은 중재절차에서 사용 할 하나 이상의 언어에 대하여 합의할 수 있다. 그러한 합의가 없는 경우에는 중재판정부가 그 절차에서 사용 할 하나 이상의 언어를 지정하 도록 한다. 중재판정부는 서증(書證)과 함 께 당사자 간에 합의하거나 중 재판정부가 지정하는 하나 이상 의 언어로 작성된 번역문을 제 출할 것을 명할 수 있다.

Article 31: Statements of Claim and Defense

Within the period of time agreed by the parties of determined by the arbitral panel, the claimant shall state the facts supporting his claim, the points at issue and the relief of remedy sought, and the respondent shall state his defense in respect of these particulars, unless the parties have otherwise agreed as to the required elements of such statements. The parties may submit with their statements all documents they consider to be relevant or may add a reference to the documents or other evidence they will submit. Unless otherwise agreed by the parties, either party may amend or supplement his claim or defense during the course of the arbitral proceedings, unless the arbitral panel considers it inappropriate to allow such amendment, having regard to the delay in making it.

제31조 신청서와 답변서

신청인은 당사자들이 합의하였 거나** 중재판정부가 정한 기간 내에 청구 취지와 청구 원인이 된 사실, 쟁점 및 희망하는 구제 방안을 진술하여야 하고, 피신청 인은 이에 대하여 답변하여야 하나, 이러한 진술의 필수 요소 에 대하여 당사자 간에 다른 합 의가 있는 때에는 그러하지 아 니하다. 당사자는 신청서 또는 답변서에 중요하다고 인정하는 모든 서류 를 첨부하거나 앞으로 사용할 문서나 증거방법을 추가할 수 있다. 당사자 간에 다른 합의가 없는 경우 당사자는 중재절차의 진행 중에 자신의 청구나 답변을 변 경하거나 보완할 수 있으나, 중 재판정부가 이러한 변경 등에 의한 지연을 고려하여 이를 허 용하는 것이 적절하지 아니하다 고 보는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 하다.

** (역자주) 영문본 "parties of determined"의 OF를, 문맥상 OR로 보아 번역하였다.

Article 32: Hearings and Written Proceedings

Subject to any contrary agreement by the parties, the arbitral tribunal shall decide whether to hold oral hearings for the presentation of evidence or for oral argument, or whether the proceedings shall be conducted on the basis of documents and other materials. However, unless the parties have agreed that no hearings shall be held, the arbitral tribunal shall hold such hearings at an appropriate stage of the proceedings, if so requested by a party. The parties shall be given sufficient advance notice of any hearing and of any meeting of the arbitral tribunal for the purposes of inspection of materials, goods, other property or documents. All statements, documents or other information supplied to the arbitral tribunal by one party shall be communicated to the other party. Also, any expert report or evidentiary document on which the arbitral tribunal may rely in making its decision shall be communicated to the parties.

제32조 심리와 서면 절차

당사자 간에 다른 합의가 없는 경우 중재판정부는 증거의 제시 또는 구두변론을 위한 구술심리 를 할 것인지 또는 서면으로만 심리를 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다만, 당사자들이 구술심리를 하 지 아니하기로 합의한 경우를 제외하고 중재판정부는 어느 한 쪽 당사자의 신청에 따라 적절 한 단계에서 구술심리를 하여야 한다. 당사자에게는 심리기일 또는 자 료·물건·장소·문서의 조사를 위 한 중재판정부의 증거조사기일 을 사전에 충분한 시간을 두고 통지하여야 한다. 어느 한쪽 당사자가 중재판정부 에 제출하는 준비서면, 문서, 그 밖의 정보는 상대방 당사자에게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중재판 정부가 판정에서 기초로 삼으려 는 감정서(鑑定書) 또는 서증은 양쪽 당사자에게 제공되어야 한 다.

Article 33: Default of a Party

Unless otherwise agreed by the parties, if, without showing sufficient cause,

제33조 어느 한쪽 당사자의 해태

당사자 간에 달리 합의하지 아 니하는 이상, 이유를 충분히 소 명하지 아니하는 때에는 다음 각 항과 같이 한다.

(1) the claimant fails to communicate his statement of claim in accordance with Article 31(1) of this Law, the arbitral panel shall terminate the proceedings.

① 신청인이 이 법 제31조제1항 에 따라 신청서를 제출하지 아 니하는 경우 중재판정부는 중재 절차를 종료하여야 한다.

(2) the respondent fails to communicate his statement of defense in accordance with Article 31(1) of this Law, the arbitral panel shall continue the proceedings without treating such failure in itself as an admission of the claimant's allegations;

② 피신청인이 이 법 제31조제1 항의 답변서를 제출하지 아니하 는 경우 중재판정부는 이를 신 청인의 주장에 대한 자백으로 간주하지 아니하고 중재절차를 계속 진행하여야 한다.

(3) Any party fails to appear at a hearing, or fails to produce documentary evidence, the arbitral panel may continue the proceedings and make the award on the evidence before it.

③ 어느 한쪽 당사자가 구술심 리에 출석하지 아니하거나 서증 을 제출하지 아니하는 경우 중 재판정부는 중재절차를 계속 진 행하여 제출된 증거를 기초로 중재판정을 내릴 수 있다.

Article 34: Expert Appointed by Arbitral Tribunal

Unless otherwise agreed by the parties, the arbitral tribunal,

제34조 중재판정부 지정 감정인

당사자 간에 다른 합의가 없는 경우 중재판정부는 다음 각 항 과 같이 할 수 있다.

(1) may appoint one or more experts to report to it on specific issues to be determined by the arbitral tribunal;

① 중재판정부가 판정을 내릴 특정 쟁점에 대한 감정을 위하 여 감정인을 지정

(2) may require a party to give the expert any relevant information, or to produce, or to provide access to, any relevant documents, goods or other property for his inspection.

Unless otherwise agreed by the parties, if a party so requests, or if the arbitral tribunal considers it necessary, the expert shall, after delivery of his written or oral report, participate in a hearing, at which the parties have the opportunity to put questions to him and to present expert witnesses to testify on the points at issue.

② 당사자로 하여금 감정인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감정인 의 조사를 위하여 관련 문서·물 건·장소 등을 제출하게 하거나 그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도록 요구

당사자 간에 다른 합의가 없는 때로서, 당사자의 신청이 있거나 중재판정부가 필요하다고 판단 하는 때에, 감정인은, 서면 또는 구두 보고를 한 뒤, 양쪽 당사자 가 감정인에게 질문하고 쟁점에 대하여 증언할 전문가 증인을 세울 수 있는 심리에 출석하여 야 한다.

Article 35: Court Assistance in Taking Evidence

The arbitral tribunal, or a party with the approval of the arbitral tribunal, may request from a competent Court (Commercial, or Appeal, or Supreme) assistance in taking evidence. The Court (Commercial, or Appeal, or Supreme) may execute the request within its competence and according to its rules on taking evidence.

제35조 증거조사에 관한 법원의 협조

중재판정부, 또는 중재판정부의 허락을 받은 어느 한쪽 당사자 는, 관할법원(상사법원, 항소법 원 또는 대법원)에 증거조사에 대한 협조를 요청할 수 있다. 법 원(상사법원, 항소법원, 또는 대 법원)은 자신의 관할권 내에서 증거조사에 대한 법원의 규칙에 따라 해당 요청을 수행할 수 있 다.

CHAPTER VII MAKING OF AWARD AND TERMINATION OF PROCEEDINGS

제7장 중재판정 및 절차의 종료

Article 36: Rules Applicable to Substance of Dispute

The Arbitral Tribunal shall apply applicable rules during the arbitration proceedings:

제36조 분쟁의 실체에 적용될 규칙

중재판정부는 해당하는 규칙을 중재절차 중에 적용하여야 한다.

(1) The parties shall be free to agree upon the rules of law to be applied by arbitral tribunal to the merits of the dispute. Any designation of the law or legal system of a given state shall be construed, unless otherwise expressed, as directly referring to the substantive law of that state and not to its conflict of laws rules.

① 당사자는 분쟁의 본안에 대 하여 중재판정부가 적용할 법률 규칙을 자유롭게 합의할 수 있 다. 특정 국가의 법 또는 법 체 계가 지정된 경우에 달리 명시 된 것이 없으면 그 국가의 국제 사법이 아닌 분쟁의 실체(實體) 에 적용될 법을 지정한 것으로 본다.

(2) Failing such an agreement by the parties, the arbitral tribunal shall apply the law that it considers appropriate.

② 당사자 간 그러한 합의가 없 는 경우에는, 중재판정부가 적절 하다고 보는 법을 적용하여야 한다.

(3) The arbitral tribunal shall decide ex aegu et bono or as amiable compositeur only if the parties have expressly authorized it to do so.

③ 중재판정부는 당사자들이 명 시적으로 권한을 부여하는 경우 에만 형평††과 선(善)에 따라 판 정을 내릴 수 있다.

†† (역자주) 영문본에 "ex aegu"로 기재되어 있으나 "ex aequo"로 보아 번역하였다.

(4) In all cases, the arbitral tribunal shall take into account all the provisions of the arbitration agreement and also the usages of the trade and customs applicable to the transaction.

④ 언제든, 중재판정부는 중재합 의의 모든 조항을 비롯하여 해 당 거래에 적용될 수 있는 상관 습(商慣習) 역시 고려하여야 한 다.

Article 37: Decision Making by Panel of Arbitrators

In arbitral proceedings with more than one arbitrator, any decision of the arbitral tribunal may be made by a majority of all its members.

제37조 중재판정부의 의사결정

중재인이 2인 이상인 중재절차 에서, 중재판정부의 의사결정은 과반수의 결의에 따를 수 있다.

Article 38: Settlement

Upon request by both parties, prior to commencement of formal arbitration proceedings, the arbitral tribunal may confer with the parties for the purpose of exploring whether the possibility exists of a voluntary settlement of the parties' dispute:

제38조 화해

정식 중재절차의 개시에 앞서 양쪽 당사자의 요청이 있는 때 에, 중재판정부는 당사자 분쟁의 자발적 화해 가능성의 존재 여 부를 검토하기 위하여 당사자와 협의할 수 있다.

(1) if the parties determines that it does, the arbitral tribunal shall assist the parties in any manner it deems appropriate.

① 당사자들이 화해하기로 결정 하는 경우, 중재판정부는 적절하 다고 보는 방식으로 당사자를 도와야 한다.

(2) If the parties settle the dispute prior to commencement of the formal arbitral proceedings, or in the course thereof, the arbitral tribunal shall terminate the proceedings and, if requested by the parties, may record the settlement in the form of an arbitral award on agreed terms.

② 정식 중재절차의 개시에 앞 서 또는 그 도중에 당사자들이그 분쟁에 대하여 화해하는 때 에, 중재판정부는 그 절차를 종 료하여야 하며, 당사자 요청에 따라 그 화해 내용을 중재판정 의 형식으로 적을 수 있다.

(3) An award on agreed terms shall be mad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Article 39 of this Law, and shall state that it is an award. Such an award has the same status and effect as any other award on the merits of the case.

③ 화해 내용을 중재판정의 형 식으로 적을 때에는 이 법 제39 조에 따라 하여야 하며, 중재판 정임을 명시하여야 한다. 그러한 판정은 해당 사건의 본안에 대 한 중재판정과 동일한 지위와 효력을 가진다.

Article 39: Form and Content of Award

The arbitral tribunal form and content of award shall contain as follows:

제39조 중재판정의 형식과 내용

중재판정부가 내리는 중재판정 의 형식과 내용은 다음 각 항과 같아야 한다.

(1) The award shall be made in writing and shall be signed by the arbitrator or arbitrators. In arbitral proceedings with more than one arbitrator, the signatures of the majority of all members of the arbitral tribunal shall suffice, provided that the reason for any omitted signature is stated.

① 중재판정은 서면으로 작성하 여야 하며, 중재인 전원이 서명 하여야 한다. 중재인이 2인 이상 인 중재절차에서, 누락된 서명에 대한 사유를 명시하는 때에는, 중재판정부 과반수의 서명만으 로 충분하다.

(2) The award shall state the reasons upon which it is based, unless the parties have agreed that no reasons are to be given or the award is an award on agreed terms under Article 38 of this law.

② 중재판정에는 그 판정의 근 거가 되는 이유를 적어야 하나, 이유를 적지 아니하기로 당사자 간에 합의하였거나 이 법 제38 조에 따른 화해 중재판정인 경 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3) The award shall allocate among the parties the costs of the arbitration, including the arbitrator(s) fee(s) and incidental expenses, in the manner agreed by the parties, or in the absence of such agreement, as the arbitrators deem appropriate.

If the parties have so agreed, or the arbitrators deem it appropriate, the award may also provide for recovery by the prevailing party of reasonable counsel fees.

③ 판정은 중재인 수당 및 부대 비용을 포함한 중재 비용을, 당 사자 간에 합의한 방식으로, 또 는 그러한 합의가 없는 때에는 중재인이 적절하다고 보는 방식 으로, 당사자가 분담하도록 하여 야 한다.

당사자 합의가 있거나 중재인이 적절하다고 보는 때에, 중재판정 은 승소한 당사자의 합리적 변 호인 비용 회수에 대하여도 정 할 수 있다.

(4) The award shall state its date and the place of arbitration as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Article 28(1) of this law. The award shall be deemed to have been made at that place.

④ 중재판정에는 작성날짜와 이 법 제28조제1항‡‡에 따라 중재지 를 적어야 한다. 중재판정은 그 중재판정서에 적힌 장소에서 내 려진 것으로 본다.

‡‡ (역자주) 영문본의 제28조는 두 문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각 문단에 항의 기호가 기재되어 있지 않다.

(5) After the award is made, a copy signed by the arbitrators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1) of this Article shall be delivered to each party.

⑤ 중재판정이 내려진 뒤, 이 조 제1항에 따라 중재인이 서명한 판정서는 각 당사자에게 송부하 여야 한다.

Article 40: Termination of Proceedings

The arbitral Proceedings are terminated by the final award, an agreed settlement, or by an order of the arbitral tribunal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2) of this Article. The arbitral tribunal shall issue an order for the termination of the arbitral Proceedings when:

제40조 절차의 종료

중재절차는 종국판정(終局判定), 합의에 따른 화해 또는 이 조의 제2항에 따른 중재판정부의 명 령에 따라 종료된다. 중재판정부는 다음 각 항의 어 느 하나에 해당하는 때에는 중 재절차의 종료에 대한 명령을 발하여야 한다.

(1) the claimant withdraws his claim, unless the respondent objects thereto and the arbitral tribunal recognizes a legitimate interest on his part in obtaining a final settlement of the dispute;

① 신청인이 청구를 철회하는 경우, 다만 피신청인이 이에 동 의하지 아니하고 중재판정부가 피신청인에게 분쟁의 최종적 해 결을 구할 정당한 이익이 있다 고 인정하는 경우는 제외

(2) the parties agree on the termination of the proceedings;

② 당사자들이 중재절차를 종료 하기로 합의하는 경우

(3) the arbitral tribunal finds that the continuation of the proceedings has, for any other reason, become unnecessary or impossible.

The mandate of the arbitral tribunal terminates with the termination of the arbitral proceedings, subject to the provisions of Articles 41 and 42(4) of this Law.

③ 중재판정부가 중재절차를 계 속 진행하는 것이, 어떠한 이유 로든, 불필요하거나 불가능하다 고 인정하는 경우

중재판정부의 권한은 이 법의 제41조 및 제42조제4항의 경우 를 제외하고는 중재절차의 종료 와 함께 종결된다.

Article 41: Correction and Interpretation of Award; Additional Award

The correction and interpretation of award shall determine as follows:

제41조 중재판정의 정정 및 해석, 추가 판정

중재판정의 정정과 해석은 다음 각 항과 같이 결정하도록 한다.

(1) Within thirty (30) days of the receipt of the award, unless another period of time has been agreed upon by the parties

(a) with notice to the other party, a party may request the arbitral tribunal to correct in the award any errors in computation, any clerical or typographical errors, or any other errors of a similar nature. (b) with notice to the other party, a party may request the arbitral tribunal to give an interpretation or amplification of a specific point or part of the award. If the arbitral tribunal considers the request justified, it shall provide the interpretation or amplification within thirty days of receipt of the request. The interpretation or amplification shall form part of the award;

① 당사자들이 달리 기간을 정 한 경우를 제외하고, 중재판정의 정본을 받은 날부터 30일 이내 에 다음 각 호와 같이 한다.

1. 당사자는 상대방 당사자에게 통지하여, 중재판정의 오산(誤 算)ㆍ오기(誤記), 그 밖에 이 와 유사한 오류를 정정할 것을 중재판정부에 요청할 수 있다. 2. 당사자는 상대방 당사자에게 통지하여, 중재판정의 특정 쟁 점 또는 일부에 대한 해석을 내리거나 부연할 것을 중재판 정부에 요청할 수 있다. 중재 판정부는 합당하다고 보는 요 청에 대하여, 해당 요청을 받 은 날부터 30일 이내에 해석을 내리거나 부연하여야 한다. 그러한 해석 또는 부연은 중재 판정의 일부를 구성한다.

(2) Within no later than thirty (30) days after the issuance of award by the arbitral tribunal, the arbitration may correct the errors stated in paragraph 1(a) of this Article at its own initiatives.

② 중재판정부가 중재판정을 내 린 날부터 30일 이내에, 중재판 정부는 직권으로 이 조 제1항제 1호에 명시된 오류를 정정할 수 있다.

(3) unless otherwise agreed by the parties, within no later than thirty (30) days after receiving an award as to the claims, the party who has notified another party may request for additional awards presented in the arbitral proceeding but omitted from the award. If the arbitral tribunal considers the request justified, it shall make the additional award within thirty (30) days of receipt of the request.

③ 당사자 간에 다른 합의가 없 는 경우, 청구에 대하여 중재판 정을 받은 날부터 30일 이내에, 당사자는 상대방 당사자에게 통 보하여 중재절차에서 주장되었 으나 중재판정에 포함되지 아니 한 사안에 대하여 추가 판정을 요청할 수 있다. 중재판정부는 합당하다고 보는 요청에 대하여, 해당 요청을 받은 날부터 30일 이내에 추가 판정을 내려야 한 다.

(4) if it is required and by notifying the parties, the arbitral tribunal may extend the period of time with which it shall make a correction, interpretation, amplification, or additional award under paragraph (1) and (3) of this Article.

④ 중재판정부는, 필요한 때에는 당사자에게 통보하여, 이 조 제1 항 및 제3항에 따른 정정, 해석, 부연 또는 추가 판정을 내릴 기 한을 연장할 수 있다.

(5) The provisions of Article 39 of this Law shall apply to a correction, interpretation or amplification, or an addition to the award.

⑤ 이 법 제39조를 중재판정에 대한 정정, 해석이나 부연, 또는 추가에 적용하여야 한다.

CHAPTER VIII RECOURS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ARBITRAL AWARD

제8장 중재판정에 대한 불복, 승인 및 집행

SECTION I RECOURSE INSTITUTION,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ARBITRAL AWARD

제1절 불복 기관, 중재판정의 승인과 집행

Article 42: Application for Setting Aside as Exclusive Recourse Against Arbitral Award

The jurisdiction over recours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arbitral award shall rest with the Appellate Court of the Kingdom of Cambodia.

제42조 중재판정에 대한 유일한 불복으로서의 취소 신청

중재판정에 대한 불복, 승인 및 집행 관할권은 캄보디아 왕국의 항소법원에 있다.

Article 43: Conclusive Jurisdiction

The Supreme Court of Cambodia shall be the final jurisdiction to try counter claim of the party who is not satisfying with the decision of the Appellate Court within fifteen (15) days.

제43조 종국 관할권

캄보디아 대법원은 항소법원의 결정에 불복하는 당사자가 15일 이내에 제기하는 반대청구를 재 판할 종국 관할권을 가진다.

SECTION II RECOURSE AGAINST ARBITRAL AWARDS

제2절 중재판정의 불복

Article 44: Application for Setting Aside as Exclusive Recourse Against Arbitral Award

The party may file an application for setting aside as exclusive recourse against arbitral award as follows:

제44조 중재판정에 대한 유일한 불복으로서의 취소 신청

당사자는 중재판정에 대한 유일 한 불복으로서의 취소 신청을 다음 각 항과 같이 할 수 있다.

(1) Recourse to a Court against an arbitral award may be made only by an application for setting aside in accordance with paragraphs (2) and (3) of this Article.

① 중재판정에 대한 법원으로의 불복은 이 조의 제2항 및 제3항 에 따른 취소 신청에 의하여만 제기할 수 있다.

(2) An arbitral award may be set aside by the Appeal Court and Supreme Court only if:

(a) the party making the application furnishes proof that: (i) a party to the arbitration agreement referred to in Article 7 of this Law was under some incapacity; or the said agreement is not valid under the law to which the parties have subjected it or, failing, any indication by the parties, under the law of the Kingdom of Cambodia; or (ii) the party making the application was not given proper notice of the appointment of an arbitrator(s) or of the arbitral proceedings, or was otherwise unable effectively present his case; or (iii) the award deals with a dispute not contemplated by or not falling within the terms of the arbitration agreement, or contains decisions on matters beyond the scope of the arbitration agreement, provided that, if the decisions on matters submitted to arbitration can be separated from those not so submitted, only that part of the award which contains decisions on matters not submitted to arbitration may be set aside; or (iv) the composition of the arbitral tribunal or the arbitral procedure was not in accordance with the agreement of the parties, unless such agreement was in conflict with a provision of this Law from which the parties cannot derogate, or, failing such agreement, was not in accordance with this Law; or (b) the Appeal Court and Supreme Court finds that (i) the subject matter of the dispute is, not capable of settlement by arbitration under the law of the Kingdom of Cambodia; or (ii) The recognition of the award would be contrary to public policy of the Kingdom of Cambodia

② 중재판정은 다음 각 호의 어 느 하나에 해당하는 때만 항소 법원 및 대법원이 취소할 수 있 다.

1. 신청 당사자가 다음 어느 하 나에 대한 증거를 제출하는 때 가. 이 법 제7조에서 말하는 중재합의의 당사자가 당시 무능력자였던 사실, 또는 해당 중재합의가 당사자들 이 지정한 법에 따라 무효 거나 당사자 간에 그러한 지정이 없는 경우에는 캄보 디아의 법에 따라 무효인 사실 나. 중재판정의 취소를 구하 는 당사자가 중재인의 선정 또는 중재절차에 관하여 적 절한 통지를 받지 못하였거 나 그 밖의 사유로 실제 변 론을 할 수 없었던 사실 다. 중재판정이 중재합의에서 예상하지 아니하였거나 대 상이 아닌 분쟁을 다룬 사 실 또는 중재판정이 중재합 의의 범위를 벗어난 사항을 다룬 사실. 다만, 중재판정이 중재합의 의 대상에 관한 부분과 대 상이 아닌 부분으로 분리될 수 있는 경우에는 대상이 아닌 중재판정 부분만을 취 소할 수 있다. 라. 중재판정부의 구성 또는 중재절차가 이 법의 강행규 정에 반하지 아니하는 당사 자 간의 합의에 따르지 아 니하였거나 그러한 합의가 없는 경우에는 이 법에 따 르지 아니하였다는 사실 2. 항소법원과 대법원이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와 같이 확인하 는 때 가. 중재판정의 대상이 된 분 쟁이 캄보디아 왕국의 법에 따라 중재로 해결될 수 없음 나. 중재판정의 승인이 캄보 디아 왕국의 공공 정책에 위배됨

(3) An application for setting aside may not be made after thirty (30) days have elapsed from the date on which the party making that application had received the award or, if a request had been made under Article 41 of this article within thirty (30) days, from the date on which that request had been disposed of by the arbitral tribunal.

③ 취소 신청은 신청 당사자가 중재판정을 받은 날부터, 또는 제41조에 따라 30일 이내에 요 청하는 때에는 그 요청을 중재 판정부가 처리한 날부터 30일이 지난 뒤에는 제기할 수 없다.

(4) The Appeal Court and Supreme Court, when asked to set aside an award, may, where appropriate and so requested by a party, suspend the setting aside proceedings for a period of time determined by the Appeal Court and Supreme Court, in order to give the arbitral tribunal an opportunity to resume the arbitral proceedings or to take such other action as in the arbitral tribunal’s opinion will eliminate the grounds for setting aside.

④ 중재판정의 취소 신청을 받 은 항소법원 및 대법원은, 적절 한 경우 당사자의 요청에 따라, 중재판정부가 중재절차를 재개 할 기회를 주기 위하여 또는 그 밖에 중재판정부가 볼 때 취소 신청의 사유를 해소하는 조치를 위하여, 항소법원 및 대법원이 정하는 기간에 대하여 취소 소 송을 정지할 수 있다.

SECTION III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AWARDS

제3절 중재판정의 승인 및 집행

Article 45: Recognition and Enforcement

An arbitral award, irrespective of the country in which it was made, shall be recognized as binding and, upon application in writing to the competent court, shall be enforced subject to the provisions of this Article and Article 44 of this Law. The party relying on and award or applying for its enforcement shall supply the duty authenticated original award or a duly certified copy thereof, and the original arbitration agreement referred to in Article 7 of this Law or a duly certified copy thereof. If the award or agreement is not made in Khmer, the party shall supply a duly certified translation thereof into Khmer.

제45조 승인 및 집행

중재판정은, 그 판정이 내려진 국가와 관계없이, 구속력이 있는 것으로 승인되며, 관할 법원으로 서면 신청하여 이 조와 이 법 제44조의 조항에 따라 집행하도 록 한다. 중재판정을 원용하거나 그 집행 을 신청하는 당사자는 중재판정 의 정본 또는 정당하게 인증된 사본을 비롯하여, 이 법 제7조에 서 말하는 중재합의의 정본 또 는 정당하게 인증된 사본을 제 출하여야 한다. 중재판정 또는 중재합의가 크메 르어로 작성되지 아니한 때에는, 당사자가 정당하게 인증된 크메 르어 번역본을 제출하여야 한다.

Article 46: Grounds for Refusing Recognition or Enforcement

Recognition or enforcement of an arbitral award, irrespective of the country in which it was made, may be refused only:

제46조 승인 및 집행의 거부 사유

중재판정이 내려진 국가와 관계없 이, 해당 판정의 승인 또는 집행은 다음 각 항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 는 때만 거부할 수 있다.

(1) At the request the party against whom it is invoked, if that party furnishes to the Appeal Court where recognition or enforcement is sought proof that:

(a) A party to the arbitration agreement referred to in Article 7 was under some incapacity; or the said agreement is not valid under the law to which the parties have subjected it or, failing, any indication by the parties, under the law of the Kingdom of Cambodia; or (b) the party making the application was not given proper notice of the appointment of an arbitrator(s) or of the arbitral proceedings, or was otherwise unable effectively present his case; or (c) the award deals with a dispute not contemplated by or not falling within the terms of the arbitration agreement, or contains decisions on matters beyond the scope of the arbitration agreement, provided that, if the decisions on matters submitted to arbitration can be separated from those not so submitted, only that part of the award which contains decisions on matters not submitted to arbitration may be set aside; or (d) The composition of the arbitral panel or the arbitral procedure was not in accordance with the agreement of the parties or, failing such agreement, was not in accordance with the law of the where the arbitration took place; or (e) The award has not yet become binding on the parties in the country in which, or under the law of which, that award was made, or the award has been set aside or suspended by a court in the country which the award was made; or

① 상대방 당사자가 요청하는 때로서, 그 당사자가 다음 각 호 의 어느 하나의 증거를 승인 또 는 집행 신청이 제기된 법원에 제출하는 때

1. 제7조에서 말하는 중재합의의 당사자가 당시 무능력자였던 사실, 또는 해당 중재합의가 당사자들이 지정한 법에 따라 무효거나 당사자 간에 그러한 지정이 없는 경우에는 캄보디 아의 법에 따라 무효인 사실 2. 중재판정의 취소를 구하는 당 사자가 중재인의 선정 또는 중 재절차에 관하여 적절한 통지 를 받지 못하였거나 그 밖의 사유로 실제 변론을 할 수 없 었던 사실 3. 중재판정이 중재합의에서 예 상하지 아니하였거나 대상이 아닌 분쟁을 다룬 사실 또는 중재판정이 중재합의의 범위를 벗어난 사항을 다룬 사실. 다만, 중재판정이 중재합의의 대상에 관한 부분과 대상이 아 닌 부분으로 분리될 수 있는 경우에는 대상이 아닌 중재판 정 부분만을 취소할 수 있음 4. 중재판정부의 구성 또는 중재 절차가 당사자 간의 합의에 따 르지 아니하였거나 그러한 합 의가 없는 경우에는 중재지법 에 따르지 아니하였다는 사실 5. 중재판정이 내려진 국가에서 또는 그 국가의 법률에 따라 해당 판정이 당사자들에 대하 여 아직 구속력을 가지지 아니 하거나, 중재판정이 내려진 국 가의 법원이 해당 판정을 취소 또는 정지한 사실

(2) the Appeal Court finds that

(a) the subject matter of the dispute is, not capable of settlement by arbitration under the law of the Kingdom of Cambodia; or (b) The recognition of the award would be contrary to public policy of the Kingdom of Cambodia. If an application for setting aside or suspension of an award has been to a court referred to in paragraph (1)(e) of this Article, the court where recognition or enforcement is sought may, if it consider it proper, adjourn its decision and may also, on the application of the party claiming recognition of the award, order the party to provide appropriate security.

② 항소법원이 다음 각 호의 어 느 하나와 같이 확인한 때

1. 중재판정의 대상이 된 분쟁이 캄보디아 왕국의 법에 따라 중 재로 해결될 수 없음 2. 중재판정의 승인이 캄보디아 왕국의 공공 정책에 위배됨 중재판정의 취소 또는 정지를 구하는 신청이 이 조 제1항제5 호의 법원에 제기된 경우, 승인 또는 집행의 청구를 받은 법원 은 정당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그 결정을 연기할 수 있으며 중 재판정의 승인을 구하는 당사자 의 신청이 있으면 상대방에게 상당한 담보를 제공할 것을 명 할 수 있다.

CHAPTER IX FINAL PROVISIONS

제9장 종결조항

Article 47: Abrogation

Any provisions in commercial arbitration sector that are contrary to this Law shall be abrogated.

제47조 무효

이 법과 충돌하는 상사 중재 분 야의 모든 조항은 무효로 한다.

This Law is enacted by the National Assembly of the Kingdom of Cambodia on the 6th of March 2006 at its 4th Session of the 3rd Legislature. Signed and Sealed at Phnom Penh March 7th, 2006 First Vice President Samdech HENG SAMRIN 이 법은 캄보디아 왕국의 국회가 제3대 입법부의 제4차 회기 중 2006년 3월 6일에 제정한다. 2006년 3월 7일 프놈펜에서 서명 및 날인함 제1부의장 헹 삼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