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근로기준법 1938」
• 국가‧지역: 미국 • 법률번 호: 1938년 법률 제676호(제정), 공법 제117-328호(개정) 미국법전 제9편제8장(현행) • 제 정 일: 1938년 6월 25일 • 개 정 일: 2022년 12월 29일
This chapter may be cited as the "Fair Labor Standards Act of 1938".
(1) causes commerce and the channels and instrumentalities of commerce to be used to spread and perpetuate such labor conditions among the workers of the several States; (2) burdens commerce and the free flow of goods in commerce; (3) constitutes an unfair method of competition in commerce; (4) leads to labor disputes burdening and obstructing commerce and the free flow of goods in commerce; and (5) interferes with the orderly and fair marketing of goods in commerce. That Congress further finds that the employment of persons in domestic service in households affects commerce
* (역자주) 조 항 호 목 등의 기호는 원문의 기호를 사용하지 않고 우리나라 체계에 맞추어 다음과 같이 표시한다. §1. 제1조 (a) ① 또는 제1항 (1) 1. 또는 제1호 (A) 가. 또는 가목 (i) 1) (I) 가)
As used in this chapter—
(2) In the case of an individual employed by a public agency, such term means— (A) any individual employed by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i) as a civilian in the military departments (as defined in section 102 of title 5), (ii) in any executive agency (as defined in section 105 of such title), (iii) in any unit of the judicial branch of the Government which has positions in the competitive service, (iv) in a nonappropriated fund instrumentality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Armed Forces, (v) in the Library of Congress, or (vi) the Government Publishing Office; (B) any individual employed by the United States Postal Service or the Postal Regulatory Commission; and (C) any individual employed by a State, political subdivision of a State, or an interstate governmental agency, other than such an individual— (i) who is not subject to the civil service laws of the State, political subdivision, or agency which employs him; and (ii) who— (I) holds a public elective office of that State, political subdivision, or agency, (II) is selected by the holder of such an office to be a member of his personal staff, (III) is appointed by such an officeholder to serve on a policymaking level, (IV) is an immediate adviser to such an officeholder with respect to the constitutional or legal powers of his office, or (V) is an employee in the legislative branch or legislative body of that State, political subdivision, or agency and is not employed by the legislative library of such State, political subdivision, or agency. (3) For purposes of subsection (u), such term does not include any individual employed by an employer engaged in agriculture if such individual is the parent, spouse, child, or other member of the employer's immediate family. (4)(A) The term "employee" does not include any individual who volunteers to perform services for a public agency which is a State, a political subdivision of a State, or an interstate governmental agency, if— (i) the individual receives no compensation or is paid expenses, reasonable benefits, or a nominal fee to perform the services for which the individual volunteered; and (ii) such services are not the same type of services which the individual is employed to perform for such public agency. (B) An employee of a public agency which is a State, political subdivision of a State, or an interstate governmental agency may volunteer to perform services for any other State, political subdivision, or interstate governmental agency, including a State, political subdivision or agency with which the employing State, political subdivision, or agency has a mutual aid agreement. (5) The term "employee" does not include individuals who volunteer their services solely for humanitarian purposes to private non-profit food banks and who receive from the food banks groceries.
(1) any employee under the age of sixteen years is employed by an employer (other than a parent or a person standing in place of a parent employing his own child or a child in his custody under the age of sixteen years in an occupation other than manufacturing or mining or an occupation found by the Secretary of Labor to be particularly hazardous for the employment of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sixteen and eighteen years or detrimental to their health or well-being) in any occupation, or (2) any employee between the ages of sixteen and eighteen years is employed by an employer in any occupation which the Secretary of Labor shall find and by order declare to be particularly hazardous for the employment of children between such ages or detrimental to their health or well-being; but oppressive child labor shall not be deemed to exist by virtue of the employment in any occupation of any person with respect to whom the employer shall have on file an unexpired certificate issued and held pursuant to regulations of the Secretary of Labor certifying that such person is above the oppressive childlabor age. The Secretary of Labor shall provide by regulation or by order that the employment of employees between the ages of fourteen and sixteen years in occupations other than manufacturing and mining shall not be deemed to constitute oppressive child labor if and to the extent that the Secretary of Labor determines that such employment is confined to periods which will not interfere with their schooling and to conditions which will not interfere with their health and well-being.
(2)(A) In determining the wage an employer is required to pay a tipped employee, the amount paid such employee by the employee's employer shall be an amount equal to— (i) the cash wage paid such employee which for purposes of such determination shall be not less than the cash wage required to be paid such an employee on August 20, 1996; and (ii) an additional amount on account of the tips received by such employee which amount is equal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wage specified in clause (i) and the wage in effect under section 206(a)(1) of this title. The additional amount on account of tips may not exceed the value of the tips actually received by an employee. The preceding 2 sentences shall not apply with respect to any tipped employee unless such employee has been informed by the employer of the provisions of this subsection, and all tips received by such employee have been retained by the employee, except that this subsection shall not be construed to prohibit the pooling of tips among employees who customarily and regularly receive tips. (B) An employer may not keep tips received by its employees for any purposes, including allowing managers or supervisors to keep any portion of employees' tips,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employer takes a tip credit.
(2) For purposes of paragraph (1), the activities performed by any person or persons— (A) in connection with the operation of a hospital, an institution primarily engaged in the care of the sick, the aged, the mentally ill or defective who reside on the premises of such institution, a school for mentally or physically handicapped or gifted children, a preschool, elementary or secondary school, or an institution of higher education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such hospital, institution, or school is operated for profit or not for profit), or (B) in connection with the operation of a street, suburban or interurban electric railway, or local trolley or motorbus carrier, if the rates and services of such railway or carrier are subject to regulation by a State or local agency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such railway or carrier is public or private or operated for profit or not for profit), or (C) in connection with the activities of a public agency, shall be deemed to be activities performed for a business purpose.
(A)(i) has employees engaged in commerce or in the production of goods for commerce, or that has employees handling, selling, or otherwise working on goods or materials that have been moved in or produced for commerce by any person; and (ii) is an enterprise whose annual gross volume of sales made or business done is not less than $500,000 (exclusive of excise taxes at the retail level that are separately stated); (B) is engaged in the operation of a hospital, an institution primarily engaged in the care of the sick, the aged, or the mentally ill or defective who reside on the premises of such institution, a school for mentally or physically handicapped or gifted children, a preschool, elementary or secondary school, or an institution of higher education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such hospital, institution, or school is public or private or operated for profit or not for profit); or (C) is an activity of a public agency. (2) Any establishment that has as its only regular employees the owner thereof or the parent, spouse, child, or other member of the immediate family of such owner shall not be considered to be an enterprise engaged in commerce or in the production of goods for commerce or a part of such an enterprise. The sales of such an establishment shall not be included for the purpose of determining the annual gross volume of sales of any enterprise for the purpose of this subsection.
(1) is trained in fire suppression, has the legal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to engage in fire suppression, and is employed by a fire department of a municipality, county, fire district, or State; and (2) is engaged in the prevention, control, and extinguishment of fires or response to emergency situations where life, property, or the environment is at risk.
There is created in the Department of Labor a Wage and Hour Division which shall be under the direction of an Administrator, to be known as the Administrator of the Wage and Hour Division (in this chapter referred to as the "Administrator"). The Administrator shall be appointed by the President, by and with the advice and consent of the Senate.
The Administrator may, subject to the civil-service laws, appoint such employees as he deems necessary to carry out his functions and duties under this chapter and shall fix their compensation in accordance with chapter 51 and subchapter III of chapter 53 of title 5. The Administrator may establish and utilize such regional, local, or other agencies, and utilize such voluntary and uncompensated services, as may from time to time be needed. Attorneys appointed under this section may appear for and represent the Administrator in any litigation, but all such litigation shall be subject to the direction and control of the Attorney General. In the appointment, selection, classification, and promotion of officers and employees of the Administrator, no political test or qualification shall be permitted or given consideration, but all such appointments and promotions shall be given and made on the basis of merit and efficiency.
The principal office of the Administrator shall be in the District of Columbia, but he or his duly authorized representative may exercise any or all of his powers in any place.
(1) The Secretary shall submit biennially in January a report to the Congress covering his activities for the preceding two years and including such information, data,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legislation in connection with the matters covered by this chapter as he may find advisable. Such report shall contain an evaluation and appraisal by the Secretary of the minimum wages and overtime coverage established by this chapter, together with his recommendations to the Congress. In making such evaluation and appraisal, the Secretary shall take into consideration any changes which may have occurred in the cost of living and in productivity and the level of wages in manufacturing, the ability of employers to absorb wage increases, and such other factors as he may deem pertinent. Such report shall also include a summary of the special certificates issued under section 214(b) of this title. (2) The Secretary shall conduct studies on the justification or lack thereof for each of the special exemptions set forth in section 213 of this title, and the extent to which such exemptions apply to employees of establishments described in subsection (g) of such section and the economic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such exemptions to such employees. The Secretary shall submit a report of his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to the Congress with respect to the studies conducted under this paragraph not later than January 1, 1976. (3) The Secretary shall conduct a continuing study on means to prevent curtailment of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manpower groups which have had historically high incidences of unemployment (such as disadvantaged minorities, youth, elderly, and such other groups as the Secretary may designate). The first report of the results of such study shall be transmitted to the Congress not later than one year after the effective date of the Fair Labor Standards Amendments of 1974. Subsequent reports on such study shall be transmitted to the Congress at two-year intervals after such effective date. Each such report shall include suggestions respecting the Secretary's authority under section 214 of this title.
Whenever the Secretary has reason to believe that in any industry under this chapter the competition of foreign producers in United States markets or in markets abroad, or both, has resulted, or is likely to result, in increased unemployment in the United States, he shall undertake an investigation to gain full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matter. If he determines such increased unemployment has in fact resulted, or is in fact likely to result, from such competition, he shall make a full and complete report of his findings and determinations to the President and to the Congress: Provided, That he may also include in such report information on the increased employment resulting from additional exports in any industry under this chapter as he may determine to be pertinent to such report.
The Secretary is authorized to enter into an agreement with the Librarian of Congress with respect to individuals employed in the Library of Congress to provide for the carrying out of the Secretary's functions under this chapter with respect to such individuals. Notwithstanding any other provision of this chapter, or any other law, the Director of the Office of Personnel Management is authorized to administer the provisions of this chapter with respect to any individual employed by the United States (other than an individual employed in the Library of Congress, United States Postal Service, Postal Regulatory Commission, or the Tennessee Valley Authority). Nothing in this subsection shall be construed to affect the right of an employee to bring an action for unpaid minimum wages, or unpaid overtime compensation, and liquidated damages under section 216(b) of this title.
Every employer shall pay to each of his employees who in any workweek is engaged in commerce or in the production of goods for commerce, or is employed in an enterprise engaged in commerce or in the production of goods for commerce, wages at the following rates: (1) except as otherwise provided in this section, not less than— (A) $5.85 an hour, beginning on the 60th day after May 25, 2007; (B) $6.55 an hour, beginning 12 months after that 60th day; and (C) $7.25 an hour, beginning 24 months after that 60th day; (2) if such employee is a home worker in Puerto Rico or the Virgin Islands, not less than the minimum piece rate prescribed by regulation or order; or, if no such minimum piece rate is in effect, any piece rate adopted by such employer which shall yield, to the proportion or class of employees prescribed by regulation or order, not less than the applicable minimum hourly wage rate. Such minimum piece rates or employer piece rates shall be commensurate with, and shall be paid in lieu of, the minimum hourly wage rate applicable under the provisions of this section. The Administrator, or his authorized representative, shall have power to make such regulations or orders as are necessary or appropriate to carry out any of the provisions of this paragraph, including the power without limiting the generality of the foregoing, to define any operation or occupation which is performed by such home work employees in Puerto Rico or the Virgin Islands; to establish minimum piece rates for any operation or occupation so defined; to prescribe the method and procedure for ascertaining and promulgating minimum piece rates; to prescribe standards for employer piece rates, including the proportion or class of employees who shall receive not less than the minimum hourly wage rate; to define the term "home worker"; and to prescribe the conditions under which employers, agents, contractors, and subcontractors shall cause goods to be produced by home workers; (3) if such employee is employed as a seaman on an American vessel, not less than the rate which will provide to the employee, for the period covered by the wage payment, wages equal to compensation at the hourly rate prescribed by paragraph (1) of this subsection for all hours during such period when he was actually on duty (including periods aboard ship when the employee was on watch or was, at the direction of a superior officer, performing work or standing by, but not including off-duty periods which are provided pursuant to the employment agreement); or (4) if such employee is employed in agriculture, not less than the minimum wage rate in effect under paragraph (1) after December 31, 1977.
Every employer shall pay to each of his employees (other than an employee to whom subsection (a)(5) applies) who in any workweek is engaged in commerce or in the production of goods for commerce, or is employed in an enterprise engaged in commerce or in the production of goods for commerce, and who in such workweek is brought within the purview of this section by the amendments made to this chapter by the Fair Labor Standards Amendments of 1966, title IX of the Education Amendments of 1972 [20 U.S.C. 1681 et seq.], or the Fair Labor Standards Amendments of 1974, wages at the following rate: Effective after December 31, 1977, not less than the minimum wage rate in effect under subsection (a)(1).
(1) No employer having employees subject to any provisions of this section shall discriminate, within any establishment in which such employees are employed, between employees on the basis of sex by paying wages to employees in such establishment at a rate less than the rate at which he pays wages to employees of the opposite sex in such establishment for equal work on jobs the performance of which requires equal skill, effort, and responsibility, and which are performed under similar working conditions, except where such payment is made pursuant to (i) a seniority system; (ii) a merit system; (iii) a system which measures earnings by quantity or quality of production; or (iv) a differential based on any other factor other than sex: Provided, That an employer who is paying a wage rate differential in violation of this subsection shall not, in order to comply with the provisions of this subsection, reduce the wage rate of any employee. (2) No labor organization, or its agents, representing employees of an employer having employees subject to any provisions of this section shall cause or attempt to cause such an employer to discriminate against an employee in violation of paragraph (1) of this subsection. (3) For purposes of administration and enforcement, any amounts owing to any employee which have been withheld in violation of this subsection shall be deemed to be unpaid minimum wages or unpaid overtime compensation under this chapter. (4) As used in this subsection, the term "labor organization" means any organization of any kind, or any agency or employee representation committee or plan, in which employees participate and which exists for the purpose, in whole or in part, of dealing with employers concerning grievances, labor disputes, wages, rates of pay, hours of employment, or conditions of work.
(1) Notwithstanding the provisions of section 213 of this title (except subsections (a)(1) and (f) thereof), every employer providing any contract services (other than linen supply services) under a contract with the United States or any subcontract thereunder shall pay to each of his employees whose rate of pay is not governed by chapter 67 of title 41 or to whom subsection (a)(1) of this section is not applicable, wages at rates not less than the rates provided for in subsection (b) of this section. (2) Notwithstanding the provisions of section 213 of this title (except subsections (a)(1) and (f) thereof) and the provisions of chapter 67 of title 41, every employer in an establishment providing linen supply services to the United States under a contract with the United States or any subcontract thereunder shall pay to each of his employees in such establishment wages at rates not less than those prescribed in subsection (b), except that if more than 50 per centum of the gross annual dollar volume of sales made or business done by such establishment is derived from providing such linen supply services under any such contracts or subcontracts, such employer shall pay to each of his employees in such establishment wages at rates not less than those prescribed in subsection (a)(1) of this section.
Any employee— (1) who in any workweek is employed in domestic service in a household shall be paid wages at a rate not less than the wage rate in effect under subsection (b) unless such employee's compensation for such service would not because of section 209(a)(6) of the Social Security Act [42 U.S.C. 409(a)(6)] constitute wages for the purposes of title II of such Act [42 U.S.C. 401 et seq.], or (2) who in any workweek— (A) is employed in domestic service in one or more households, and (B) is so employed for more than 8 hours in the aggregate, shall be paid wages for such employment in such workweek at a rate not less than the wage rate in effect under subsection (b).
(1) In lieu of the rate prescribed by subsection (a)(1), any employer may pay any employee of such employer, during the first 90 consecutive calendar days after such employee is initially employed by such employer, a wage which is not less than $4.25 an hour. (2) In lieu of the rate prescribed by subsection (a)(1), the Governor of Puerto Rico, subject to the approval of the Financial Oversight and Management Board established pursuant to section 2121 of title 48, may designate a time period not to exceed four years during which employers in Puerto Rico may pay employees who are initially employed after June 30, 2016, a wage which is not less than the wage described in paragraph (1). Notwithstanding the time period designated, such wage shall not continue in effect after such Board terminates in accordance with section 2149 of title 48. (3) No employer may take any action to displace employees (including partial displacements such as reduction in hours, wages, or employment benefits) for purposes of hiring individuals at the wage authorized in paragraph (1) or (2). (4) Any employer who violates this subsection shall be considered to have violated section 215(a)(3) of this title. (5) This subsection shall only apply to an employee who has not attained the age of 20 years, except in the case of the wage applicable in Puerto Rico, 25 years, until such time as the Board described in paragraph (2) terminates in accordance with section 2149 of title 48.
(1) Except as otherwise provided in this section, no employer shall employ any of his employees who in any workweek is engaged in commerce or in the production of goods for commerce, or is employed in an enterprise engaged in commerce or in the production of goods for commerce, for a workweek longer than forty hours unless such employee receives compensation for his employment in excess of the hours above specified at a rate not less than one and one-half times the regular rate at which he is employed. (2) No employer shall employ any of his employees who in any workweek is engaged in commerce or in the production of goods for commerce, or is employed in an enterprise engaged in commerce or in the production of goods for commerce, and who in such workweek is brought within the purview of this subsection by the amendments made to this chapter by the Fair Labor Standards Amendments of 1966- (A) for a workweek longer than forty-four hours during the first year from the effective date of the Fair Labor Standards Amendments of 1966, (B) for a workweek longer than forty-two hours during the second year from such date, or (C) for a workweek longer than forty hours after the expiration of the second year from such date, unless such employee receives compensation for his employment in excess of the hours above specified at a rate not less than one and one- half times the regular rate at which he is employed.
No employer shall be deemed to have violated subsection (a) by employing any employee for a workweek in excess of that specified in such subsection without paying the compensation for overtime employment prescribed therein if such employee is so employed- (1) in pursuance of an agreement, made as a result of collective bargaining by representatives of employees certified as bona fide by the National Labor Relations Board, which provides that no employee shall be employed more than one thousand and forty hours during any period of twenty-six consecutive weeks; or (2) in pursuance of an agreement, made as a result of collective bargaining by representatives of employees certified as bona fide by the National Labor Relations Board, which provides that during a specified period of fifty-two consecutive weeks the employee shall be employed not more than two thousand two hundred and forty hours and shall be guaranteed not less than one thousand eight hundred and forty-hours (or not less than forty-six weeks at the normal number of hours worked per week, but not less than thirty hours per week) and not more than two thousand and eighty hours of employment for which he shall receive compensation for all hours guaranteed or worked at rates not less than those applicable under the agreement to the work performed and for all hours in excess of the guaranty which are also in excess of the maximum workweek applicable to such employee under subsection (a) or two thousand and eighty in such period at rates not less than one and one-half times the regular rate at which he is employed; or (3) by an independently owned and controlled local enterprise (including an enterprise with more than one bulk storage establishment) engaged in the wholesale or bulk distribution of petroleum products if- (A) the annual gross volume of sales of such enterprise is less than $1,000,000 exclusive of excise taxes, (B) more than 75 per centum of such enterprise's annual dollar volume of sales is made within the State in which such enterprise is located, and (C) not more than 25 per centum of the annual dollar volume of sales of such enterprise is to customers who are engaged in the bulk distribution of such products for resale, and such employee receives compensation for employment in excess of forty hours in any workweek at a rate not less than one and one-half times the minimum wage rate applicable to him under section 206 of this title, and if such employee receives compensation for employment in excess of twelve hours in any workday, or for employment in excess of fifty- six hours in any workweek, as the case may be, at a rate not less than one and one-half times the regular rate at which he is employed.
As used in this section the "regular rate" at which an employee is employed shall be deemed to include all remuneration for employment paid to, or on behalf of, the employee, but shall not be deemed to include- (1) sums paid as gifts; payments in the nature of gifts made at Christmas time or on other special occasions, as a reward for service, the amounts of which are not measured by or dependent on hours worked, production, or efficiency; (2) payments made for occasional periods when no work is performed due to vacation, holiday, illness, failure of the employer to provide sufficient work, or other similar cause; reasonable payments for traveling expenses, or other expenses, incurred by an employee in the furtherance of his employer's interests and properly reimbursable by the employer; and other similar payments to an employee which are not made as compensation for his hours of employment; (3) Sums paid in recognition of services performed during a given period if either, (a) both the fact that payment is to be made and the amount of the payment are determined at the sole discretion of the employer at or near the end of the period and not pursuant to any prior contract, agreement, or promise causing the employee to expect such payments regularly; or (b) the payments are made pursuant to a bona fide profit-sharing plan or trust or bona fide thrift or savings plan, meeting the requirements of the Administrator set forth in appropriate regulations which he shall issue, having due regard among other relevant factors, to the extent to which the amounts paid to the employee are determined without regard to hours of work, production, or efficiency; or (c) the payments are talent fees (as such talent fees are defined and delimited by regulations of the Administrator) paid to performers, including announcers, on radio and television programs; (4) contributions irrevocably made by an employer to a trustee or third person pursuant to a bona fide plan for providing old-age, retirement, life, accident, or health insurance or similar benefits for employees; (5) extra compensation provided by a premium rate paid for certain hours worked by the employee in any day or workweek because such hours are hours worked in excess of eight in a day or in excess of the maximum workweek applicable to such employee under subsection (a) or in excess of the employee's normal working hours or regular working hours, as the case may be; (6) extra compensation provided by a premium rate paid for work by the employee on Saturdays, Sundays, holidays, or regular days of rest, or on the sixth or seventh day of the workweek, where such premium rate is not less than one and one-half times the rate established in good faith for like work performed in nonovertime hours on other days; (7) extra compensation provided by a premium rate paid to the employee, in pursuance of an applicable employment contract or collective- bargaining agreement, for work outside of the hours established in good faith by the contract or agreement as the basic, normal, or regular workday (not exceeding eight hours) or workweek (not exceeding the maximum workweek applicable to such employee under subsection (a)], where such premium rate is not less than one and one-half times the rate established in good faith by the contract or agreement for like work performed during such workday or workweek; or (8) any value or income derived from employer-provided grants or rights provided pursuant to a stock option, stock appreciation right, or bona fide employee stock purchase program which is not otherwise excludable under any of paragraphs (1) through (7) if- (A) grants are made pursuant to a program, the terms and conditions of which are communicated to participating employees either at the beginning of the employee's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or at the time of the grant; (B) in the case of stock options and stock appreciation rights, the grant or right cannot be exercisable for a period of at least 6 months after the time of grant (except that grants or rights may become exercisable because of an employee's death, disability, retirement, or a change in corporate ownership, or other circumstances permitted by regulation), and the exercise price is at least 85 percent of the fair market value of the stock at the time of grant; (C) exercise of any grant or right is voluntary; and (D) any determinations regarding the award of, and the amount of, employer-provided grants or rights that are based on performance are- (i) made based upon meeting previously established performance criteria (which may include hours of work, efficiency, or productivity) of any business unit consisting of at least 10 employees or of a facility, except that, any determinations may be based on length of service or minimum schedule of hours or days of work; or (ii) made based upon the past performance (which may include any criteria) of one or more employees in a given period so long as the determination is in the sole discretion of the employer and not pursuant to any prior contract.
이 조에서 말하는 근로자의 "통상임금"은 근로자에게 또는 근로자를 위하여 지급하 는 모든 금품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며 다 만, 다음 각 호는 포함하지 아니하는 것으 로 본다. 1. 선물로 지급된 금액 즉, 그 성격상 성탄 절이나 그 밖에 특별한 상황에 지급하는 복무에 대한 포상으로서 근로시간·생산 량·효율성을 척도로 하거나 그에 따라 달 리 지급하지 아니하는 선물 2. 휴가, 휴일, 또는 사용자가 충분한 업무 를 제공하지 아니하였거나 그 밖에 유사 한 이유로 인하여 근로를 수행하지 아니 한 기간에 대하여 지급하는 금품, 근로자 가 사용자의 이익을 증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여 사용자가 정확히 상환할 수 있 는 여행 경비나 그 밖의 경비 등에 대하 여 지급하는 합리적인 금품, 그리고 그 밖에 근로자의 근로시간에 대한 수당으 로서 지급하지 아니하는 금품 3. 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일 정 기간 수행한 복무에 대한 답례로 지급 하는 금액 가. 지급 여부 및 지급 금액에 대한 결정 이 해당 기간 말일 이전에 사용자의 단 독 재량에 따른 것으로서, 근로자가 정 기적 수급(受給)을 기대하는 근거인 기존의 계약·협약·약정에 따른 것이 아 닌 경우 나. 국장이 규정으로 정하여 공표하는 요 건을 충족하는 진정한 이익분배제도· 신탁 또는 진정한 저축·예금제도에 따 라 근로시간, 생산량, 효율성이 아닌 다른 관련 요인을 고려하여 금액을 결 정하여 지급하는 경우 다. 진행자 등 라디오 및 텔레비전 프로 그램 출연자에게 지급하는 출연료(국 장이 규정으로써 정의하고 범위를 정 하는 출연료를 말한다)인 경우 4. 노령, 퇴직, 생명, 상해, 건강 보험 또는 이와 유사한 혜택을 근로자에게 제공하 는 진정한 제도에 따라 사용자가 수탁자 나 제3자에게 최종적으로 지급하는 분담 금 5. 제1항에 따라 해당 근로자에 대하여 적 용하는 1일 8시간 또는 1주 최대근로시 간을 초과하거나 때에 따라 그 근로자의 일반적 근로시간이나 통상근로시간을 초 과하는 근로자의 1일 또는 1주 근로시간 에 대하여 가산 요금을 적용하여 지급하 는 추가 수당 6. 근로자가 토요일, 일요일, 휴일, 정기휴 무일, 또는 1주의 6일 차 또는 7일 차에 하는 근로에 대하여 가산 요금을 적용하 여 지급하는 추가 수당으로서, 그 가산 요금이 다른 일자의 초과근로시간이 아 닌 시간에 수행하는 유사 근로에 대하여 선의로 확립된 금액의 1.5배 이상인 것 7. 근로계약서 또는 단체교섭협약에 따라 선의로 확립된 기본·일반·통상 1일 근로 시간(8시간 이하) 또는 1주 근로시간(제 1항에 따라 근로자에게 적용하는 1주 최 대근로시간 이하)을 벗어난 근로에 대하 여, 근로계약서 또는 단체교섭협약에 따 라 근로자에게 가산 요금을 적용하여 지 급하는 추가 수당으로서, 그 가산 요금이 앞의 1일 근로시간 또는 1주 근로시간에 수행하는 유사 근로에 대하여 근로계약 서 또는 단체교섭협약에 따라 선의로 확 립된 금액의 1.5배 이상인 것 8. 사용자가 제공하는 권리 부여로 발생하 거나 주식매수선택권, 주식증가차액청구 권, 또는 진정한 근로자주식구입제도 (ESPP)에 따라 제공하는 권리로 발생하 는 모든 가치 또는 소득으로서, 다음 각 목의 경우에 모두 해당하며 전술한 제1 호부터 제7호에 따른 제외 대상이 아닌 것 가. 근로자의 최초 가입 당시 또는 부여 당시에 그 약관의 내용이 가입 근로자 에게 전달된 프로그램에 따라 부여가 이루어지는 경우 나. 주식매수선택권 및 주식증가차액청 구권에 대하여, 부여 시점 이후 최소 6 개월 동안 부여나 권리를 행사할 수 없 으며(다만, 근로자의 사망, 장해, 퇴직, 법인 소유자의 변경, 또는 규정이 허용 하는 그 밖의 상황을 사유로 하는 경우 에는 부여나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행사 가격이 부여 당시 주식 시장 가격 의 최소 100분의 85인 경우 다. 부여나 권리의 행사가 자발적인 경우 라. 성과에 기반한 부여 또는 권리의 수 여 여부 및 금액을 다음 중 어느 하나 의 방법을 기준으로 하여 결정하는 경 우 1) 최소 10인의 근로자로 구성된 사 업 단위 또는 시설에서 확립한 기 존의 성과 기준(근로시간, 효율 성, 생산성을 포함할 수 있다)의 달성 여부. 다만, 복무 기간 또는 최소근로시간·일수에 근거하여 결정할 수 있다. 2) 그러한 결정을 내리는 것이 기존 의 계약이 아닌 사용자의 단독 재 량에 달려 있다면 일정 기간 중 1 인 이상 근로자의 과거 성과(모든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No employer shall be deemed to have violated subsection (a) by employing any employee for a workweek in excess of the maximum workweek applicable to such employee under subsection (a) if such employee is employed pursuant to a bona fide individual contract, or pursuant to an agreement made as a result of collective bargaining by representatives of employees, if the duties of such employee necessitate irregular hours of work, and the contract or agreement (1) specifies a regular rate of pay of not less than the minimum hourly rate provided in subsection (a) or (b) of section 206 of this title (whichever may be applicable) and compensation at not less than one and one-half times such rate for all hours worked in excess of such maximum workweek, and (2) provides a weekly guaranty of pay for not more than sixty hours based on the rates so specified.
No employer shall be deemed to have violated subsection (a) by employing any employee for a workweek in excess of the maximum workweek applicable to such employee under such subsection if, pursuant to an agreement or understanding arrived at between the employer and the employee before performance of the work, the amount paid to the employee for the number of hours worked by him in such workweek in excess of the maximum workweek applicable to such employee under such subsection- (1) in the case of an employee employed at piece rates, is computed at piece rates not less than one and one-half times the bona fide piece rates applicable to the same work when performed during nonovertime hours; or (2) in the case of an employee performing two or more kinds of work for which different hourly or piece rates have been established, is computed at rates not less than one and one-half times such bona fide rates applicable to the same work when performed during nonovertime hours; or (3) is computed at a rate not less than one and one-half times the rate established by such agreement or understanding as the basic rate to be used in computing overtime compensation thereunder: Provided, That the rate so established shall be authorized by regulation by the Administrator as being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average hourly earnings of the employee, exclusive of overtime premiums, in the particular work over a representative period of time; and if (i) the employee's average hourly earnings for the workweek exclusive of payments described in paragraphs (1) through (7) of subsection (e) are not less than the minimum hourly rate required by applicable law, and (ii) extra overtime compensation is properly computed and paid on other forms of additional pay required to be included in computing the regular rate.
(1) Except as provided in paragraph (2), sums excluded from the regular rate pursuant to subsection (e) shall not be creditable toward wages required under section 206 of this title or overtime compensation required under this section. (2) Extra compensation paid as described in paragraphs (5), (6), and (7) of subsection (e) shall be creditable toward overtime compensation payable pursuant to this section.
No employer shall be deemed to have violated subsection (a) by employing any employee of a retail or service establishment for a workweek in excess of the applicable workweek specified therein, if (1) the regular rate of pay of such employee is in excess of one and one-half times the minimum hourly rate applicable to him under section 206 of this title, and (2) more than half his compensation for a representative period (not less than one month) represents commissions on goods or services. In determining the proportion of compensation representing commissions, all earnings resulting from the application of a bona fide commission rate shall be deemed commissions on goods or services without regard to whether the computed commissions exceed the draw or guarantee.
No employer engaged in the operation of a hospital or an establishment which is an institution primarily engaged in the care of the sick, the aged, or the mentally ill or defective who reside on the premises shall be deemed to have violated subsection (a) if, pursuant to an agreement or understanding arrived at between the employer and the employee before performance of the work, a work period of fourteen consecutive days is accepted in lieu of the workweek of seven consecutive days for purposes of overtime computation and if, for his employment in excess of eight hours in any workday and in excess of eighty hours in such fourteen-day period, the employee receives compensation at a rate not less than one and one-half times the regular rate at which he is employed.
No public agency shall be deemed to have violated subsection (a) with respect to the employment of any employee in fire protection activities or any employee in law enforcement activities (including security personnel in correctional institutions) if- (1) in a work period of 28 consecutive days the employee receives for tours of duty which in the aggregate exceed the lesser of (A) 216 hours, or (B) the average number of hours (as determined by the Secretary pursuant to section 6(c)(3) of the Fair Labor Standards Amendments of 1974) in tours of duty of employees engaged in such activities in work periods of 28 consecutive days in calendar year 1975; or (2) in the case of such an employee to whom a work period of at least 7 but less than 28 days applies, in his work period the employee receives for tours of duty which in the aggregate exceed a number of hours which bears the same ratio to the number of consecutive days in his work period as 216 hours (or if lower, the number of hours referred to in clause (B) of paragraph (1)) bears to 28 days, compensation at a rate not less than one and one-half times the regular rate at which he is employed.
No employer shall employ any employee in domestic service in one or more households for a workweek longer than forty hours unless such employee receives compensation for such employment in accordance with subsection (a).
For a period or periods of not more than fourteen workweeks in the aggregate in any calendar year, any employer may employ any employee for a workweek in excess of that specified in subsection (a) without paying the compensation for overtime employment prescribed in such subsection, if such employee- (1) is employed by such employer- (A) to provide services (including stripping and grading) necessary and incidental to the sale at auction of green leaf tobacco of type 11, 12, 13, 14, 21, 22, 23, 24, 31, 35, 36, or 37 (as such types are defin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or in auction sale, buying, handling, stemming, redrying, packing, and storing of such tobacco, (B) in auction sale, buying, handling, sorting, grading, packing, or storing green leaf tobacco of type 32 (as such type is defin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or (C) in auction sale, buying, handling, stripping, sorting, grading, sizing, packing, or stemming prior to packing, of perishable cigar leaf tobacco of type 41, 42, 43, 44, 45, 46, 51, 52, 53, 54, 55, 61, or 62 (as such types are defin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and (2) receives for- (A) such employment by such employer which is in excess of ten hours in any workday, and (B) such employment by such employer which is in excess of forty-eight hours in any workweek, compensation at a rate not less than one and one-half times the regular rate at which he is employed. An employer who receives an exemption under this subsection shall not be eligible for any other exemption under this section.
In the case of an employee of an employer engaged in the business of operating a street, suburban or interurban electric railway, or local trolley or motorbus carrier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such railway or carrier is public or private or operated for profit or not for profit), in determining the hours of employment of such an employee to which the rate prescribed by subsection (a) applies there shall be excluded the hours such employee was employed in charter activities by such employer if (1) the employee's employment in such activities was pursuant to an agreement or understanding with his employer arrived at before engaging in such employment, and (2) if employment in such activities is not part of such employee's regular employment.
(1) Employees of a public agency which is a State, a political subdivision of a State, or an interstate governmental agency may receive, in accordance with this subsection and in lieu of overtime compensation, compensatory time off at a rate not less than one and one-half hours for each hour of employment for which overtime compensation is required by this section. (2) A public agency may provide compensatory time under paragraph (1) only- (A) pursuant to- (i) applicable provisions of a collective bargaining agreement, memorandum of understanding, or any other agreement between the public agency and representatives of such employees; or (ii) in the case of employees not covered by subclause (i), an agreement or understanding arrived at between the employer and employee before the performance of the work; and (B) if the employee has not accrued compensatory time in excess of the limit applicable to the employee prescribed by paragraph (3). In the case of employees described in clause (A)(ii) hired prior to April 15, 1986, the regular practice in effect on April 15, 1986, with respect to compensatory time off for such employees in lieu of the receipt of overtime compensation, shall constitute an agreement or understanding under such clause (A)(ii). Except as provided in the previous sentence, the provision of compensatory time off to such employees for hours worked after April 14, 1986, shall be in accordance with this subsection. (3)(A) If the work of an employee for which compensatory time may be provided included work in a public safety activity, an emergency response activity, or a seasonal activity, the employee engaged in such work may accrue not more than 480 hours of compensatory time for hours worked after April 15, 1986. If such work was any other work, the employee engaged in such work may accrue not more than 240 hours of compensatory time for hours worked after April 15, 1986. Any such employee who, after April 15, 1986, has accrued 480 or 240 hours, as the case may be, of compensatory time off shall, for additional overtime hours of work, be paid overtime compensation. (B) If compensation is paid to an employee for accrued compensatory time off, such compensation shall be paid at the regular rate earned by the employee at the time the employee receives such payment. 4) An employee who has accrued compensatory time off authorized to be provided under paragraph (1) shall, upon termination of employment, be paid for the unused compensatory time at a rate of compensation not less than- (A) the average regular rate received by such employee during the last 3 years of the employee's employment, or (B) the final regular rate received by such employee, whichever is higher (5) An employee of a public agency which is a State, political subdivision of a State, or an interstate governmental agency- (A) who has accrued compensatory time off authorized to be provided under paragraph (1), and (B) who has requested the use of such compensatory time, shall be permitted by the employee's employer to use such time within a reasonable period after making the request if the use of the compensatory time does not unduly disrupt the operations of the public agency. (6) The hours an employee of a public agency performs court reporting transcript preparation duties shall not be considered as hours worked for the purposes of subsection (a) if- (A) such employee is paid at a per- page rate which is not less than- (i) the maximum rate established by State law or local ordinance for the jurisdiction of such public agency, (ii) the maximum rate otherwise established by a judicial or administrative officer and in effect on July 1, 1995, or (iii) the rate freely negotiated between the employee and the party requesting the transcript, other than the judge who presided over the proceedings being transcribed, and (B) the hours spent performing such duties are outside of the hours such employee performs other work (including hours for which the agency requires the employee's attendance) pursuant to the employment relationship with such public agency. For purposes of this section, the amount paid such employee in accordance with subparagraph (A) for the performance of court reporting transcript preparation duties, shall not be considered in the calculation of the regular rate at which such employee is employed. (7) For purposes of this subsection- (A) the term "overtime compensation" means the compensation required by subsection (a), and (B) the terms "compensatory time" and "compensatory time off" mean hours during which an employee is not working, which are not counted as hours worked during the applicable workweek or other work period for purposes of overtime compensation, and for which the employee is compensated at the employee's regular rate.
(1) If an individual who is employed by a State, political subdivision of a State, or an interstate governmental agency in fire protection or law enforcement activities (including activities of security personnel in correctional institutions) and who, solely at such individual's option, agrees to be employed on a special detail by a separate or independent employer in fire protection, law enforcement, or related activities, the hours such individual was employed by such separate and independent employer shall be excluded by the public agency employing such individual in the calculation of the hours for which the employee is entitled to overtime compensation under this section if the public agency- (A) requires that its employees engaged in fire protection, law enforcement, or security activities be hired by a separate and independent employer to perform the special detail, (B) facilitates the employment of such employees by a separate and independent employer, or (C) otherwise affects the condition of employment of such employees by a separate and independent employer. (2) If an employee of a public agency which is a State, political subdivision of a State, or an interstate governmental agency undertakes, on an occasional or sporadic basis and solely at the employee's option, parttime employment for the public agency which is in a different capacity from any capacity in which the employee is regularly employed with the public agency, the hours such employee was employed in performing the different employment shall be excluded by the public agency in the calculation of the hours for which the employee is entitled to overtime compensation under this section. (3) If an individual who is employed in any capacity by a public agency which is a State, political subdivision of a State, or an interstate governmental agency, agrees, with the approval of the public agency and solely at the option of such individual, to substitute during scheduled work hours for another individual who is employed by such agency in the same capacity, the hours such employee worked as a substitute shall be excluded by the public agency in the calculation of the hours for which the employee is entitled to overtime compensation under this section.
Any employer may employ any employee for a period or periods of not more than 10 hours in the aggregate in any workweek in excess of the maximum workweek specified in subsection (a) without paying the compensation for overtime employment prescribed in such subsection, if during such period or periods the employee is receiving remedial education that is- (1) provided to employees who lack a high school diploma or educational attainment at the eighth grade level; (2) designed to provide reading and other basic skills at an eighth grade level or below; and (3) does not include job specific training.
For the purpose of any hearing or investigation provided for in this chapter, the provisions of sections 49 and 50 of title 15 (relating to the attendance of witnesses and the production of books, papers, and documents), are made applicable to the jurisdiction, powers, and duties of the Administrator, the Secretary of Labor, and the industry committees.
** (역자주) 이 부분의 인용과 관련하여 주석에서 다음과 같이 부연 설명하고 있다. 제1항에서 인용하는 이 편 제208조는 2007년 5월 25일자에 공법 제110-28호 제8편제8103조제3항제1호가 목, 법령집번호 제121-189호로 폐지되었다. Section 208 of this title, referred to in subsec. (a), was repealed by Pub. L. 110–28, title VIII, §8103(c)(1)(A), May 25, 2007, 121 Stat. 189
The court shall not grant any stay of the order unless the person complaining of such order shall file in court an undertaking with a surety or sureties satisfactory to the court for the payment to the employees affected by the order, in the event such order is affirmed, of the amount by which the compensation such employees are entitled to receive under the order exceeds the compensation they actually receive while such stay is in effect.
The Administrator or his designated representatives may investigate and gather data regarding the wages, hours, and other conditions and practices of employment in any industry subject to this chapter, and may enter and inspect such places and such records (and make such transcriptions thereof), question such employees, and investigate such facts, conditions, practices, or matters as he may deem necessary or appropriate to determine whether any person has violated any provision of this chapter, or which may aid in the enforcement of the provisions of this chapter. Except as provided in section 212 of this title and in subsection (b) of this section, the Administrator shall utilize the bureaus and divisions of the Department of Labor for all the investigations and inspections necessary under this section. Except as provided in section 212 of this title, the Administrator shall bring all actions under section 217 of this title to restrain violations of this chapter.
With the consent and cooperation of State agencies charged with the administration of State labor laws, the Administrator and the Secretary of Labor may, for the purpose of carrying out their respective functions and duties under this chapter, utilize the services of State and local agencies and their employees and, notwithstanding any other provision of law, may reimburse such State and local agencies and their employees for services rendered for such purposes.
Every employer subject to any provision of this chapter or of any order issued under this chapter shall make, keep, and preserve such records of the persons employed by him and of the wages, hours, and other conditions and practices of employment maintained by him, and shall preserve such records for such periods of time, and shall make such reports therefrom to the Administrator as he shall prescribe by regulation or order as necessary or appropriate for the enforcement of the provisions of this chapter or the regulations or orders thereunder. The employer of an employee who performs substitute work described in section 207(p)(3) of this title may not be required under this subsection to keep a record of the hours of the substitute work.
The Administrator is authorized to make such regulations and orders regulating, restricting, or prohibiting industrial homework as are necessary or appropriate to prevent the circumvention or evasion of and to safeguard the minimum wage rate prescribed in this chapter, and all existing regulations or orders of the Administrator relating to industrial homework are continued in full force and effect.
No producer, manufacturer, or dealer shall ship or deliver for shipment in commerce any goods produced in an establishment situated in the United States in or about which within thirty days prior to the removal of such goods therefrom any oppressive child labor has been employed: Provided, That any such shipment or delivery for shipment of such goods by a purchaser who acquired them in good faith in reliance on written assurance from the producer, manufacturer, or dealer that the goods were produced in compliance with the requirements of this section, and who acquired such goods for value without notice of any such violation, shall not be deemed prohibited by this subsection: And provided further, That a prosecution and conviction of a defendant for the shipment or delivery for shipment of any goods under the conditions herein prohibited shall be a bar to any further prosecution against the same defendant for shipments or deliveries for shipment of any such goods before the beginning of said prosecution.
The Secretary of Labor or any of his authorized representatives, shall make all investigations and inspections under section 211(a) of this title with respect to the employment of minors, and, subject to the direction and control of the Attorney General, shall bring all actions under section 217 of this title to enjoin any act or practice which is unlawful by reason of the existence of oppressive child labor, and shall administer all other provisions of this chapter relating to oppressive child labor.
No employer shall employ any oppressive child labor in commerce or in the production of goods for commerce or in any enterprise engaged in commerce or in the production of goods for commerce.
In order to carry out the objectives of this section, the Secretary may by regulation require employers to obtain from any employee proof of age.
The provisions of sections 206 (except subsection (d) in the case of paragraph (1) of this subsection) and 207 of this title shall not apply with respect to- (1) any employee employed in a bona fide executive, administrative, or professional capacity (including any employee employed in the capacity of academic administrative personnel or teacher in elementary or secondary schools), or in the capacity of outside salesman (as such terms are defined and delimited from time to time by regulations of the Secretary, subject to the provisions of subchapter II of chapter 5 of title 5, except that an employee of a retail or service establishment shall not be excluded from the definition of employee employed in a bona fide executive or administrative capacity because of the number of hours in his workweek which he devotes to activities not directly or closely related to the performance of executive or administrative activities, if less than 40 per centum of his hours worked in the workweek are devoted to such activities); or (2) Repealed. (3) any employee employed by an establishment which is an amusement or recreational establishment, organized camp, or religious or nonprofit educational conference center, if (A) it does not operate for more than seven months in any calendar year, or (B) during the preceding calendar year, its average receipts for any six months of such year were not more than 331/3 per centum of its average receipts for the other six months of such year, except that the exemption from sections 206 and 207 of this title provided by this paragraph does not apply with respect to any employee of a private entity engaged in providing services or facilities (other than, in the case of the exemption from section 206 of this title, a private entity engaged in providing services and facilities directly related to skiing) in a national park or a national forest, or on land in the National Wildlife Refuge System, under a contract with the Secretary of the Interior or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or (4) Repealed. (5) any employee employed in the catching, taking, propagating, harvesting, cultivating, or farming of any kind of fish, shellfish, crustacea, sponges, seaweeds, or other aquatic forms of animal and vegetable life, or in the first processing, canning or packing such marine products at sea as an incident to, or in conjunction with, such fishing operations, including the going to and returning from work and loading and unloading when performed by any such employee; or (6) any employee employed in agriculture (A) if such employee is employed by an employer who did not, during any calendar quarter during the preceding calendar year, use more than five hundred man-days of agricultural labor, (B) if such employee is the parent, spouse, child, or other member of his employer's immediate family, (C) if such employee (i) is employed as a hand harvest laborer and is paid on a piece rate basis in an operation which has been, and is customarily and generally recognized as having been, paid on a piece rate basis in the region of employment, (ii) commutes daily from his permanent residence to the farm on which he is so employed, and (iii) has been employed in agriculture less than thirteen weeks during the preceding calendar year, (D) if such employee (other than an employee described in clause (C) of this subsection) (i) is sixteen years of age or under and is employed as a hand harvest laborer, is paid on a piece rate basis in an operation which has been, and is customarily and generally recognized as having been, paid on a piece rate basis in the region of employment, (ii) is employed on the same farm as his parent or person standing in the place of his parent, and (iii) is paid at the same piece rate as employees over age sixteen are paid on the same farm, or (E) if such employee is principally engaged in the range production of livestock; or (7) any employee to the extent that such employee is exempted by regulations, order, or certificate of the Secretary issued under section 214 of this title; or (8) any employee employed in connection with the publication of any weekly, semiweekly, or daily newspaper with a circulation of less than four thousand the major part of which circulation is within the county where published or counties contiguous thereto; or (9) Repealed. (10) any switchboard operator employed by an independently owned public telephone company which has not more than seven hundred and fifty stations; or (11) Repealed. (12) any employee employed as a seaman on a vessel other than an American vessel; or (13), (14) Repealed. (15) any employee employed on a casual basis in domestic service employment to provide babysitting services or any employee employed in domestic service employment to provide companionship services for individuals who (because of age or infirmity) are unable to care for themselves (as such terms are defined and delimited by regulations of the Secretary); or (16) a criminal investigator who is paid availability pay under section 5545a of title 5; (17) any employee who is a computer systems analyst, computer programmer, software engineer, or other similarly skilled worker, whose primary duty is- (A) the application of systems analysis techniques and procedures, including consulting with users, to determine hardware, software, or system functional specifications; (B) the design, development, documentation, analysis, creation, testing, or modification of computer systems or programs, including prototypes, based on and related to user or system design specifications; (C) the design, documentation, testing, creation, or modification of computer programs related to machine operating systems; or (D) a combination of duties described in subparagraphs (A), (B), and (C) the performance of which requires the same level of skills, and who, in the case of an employee who is compensated on an hourly basis, is compensated at a rate of not less than $27.63 an hour; or (18) any employee who is a border patrol agent, as defined in section 5550(a) of title 5; or (19) any employee employed to play baseball who is compensated pursuant to a contract that provides for a weekly salary for services performed during the league's championship season (but not spring training or the off season) at a rate that is not less than a weekly salary equal to the minimum wage under section 206(a) of this title for a workweek of 40 hours, irrespective of the number of hours the employee devotes to baseball related activities.
The provisions of section 207 of this title shall not apply with respect to- (1) any employee with respect to whom the Secretary of Transportation has power to establish qualifications and maximum hours of service pursuant to the provisions of section 31502 of title 49; or (2) any employee of an employer engaged in the operation of a rail carrier subject to part A of subtitle IV of title 49; or (3) any employee of a carrier by air subject to the provisions of title II of the Railway Labor Act [45 U.S.C. 181 et seq.]; or (4) Repealed. (5) any individual employed as an outside buyer of poultry, eggs, cream, or milk, in their raw or natural state; or (6) any employee employed as a seaman; or (7) Repealed. (8) Repealed. (9) any employee employed as an announcer, news editor, or chief engineer by a radio or television station the major studio of which is located (A) in a city or town of one hundred thousand population or less, according to the latest available decennial census figures as compiled by the Bureau of the Census, except where such city or town is part of a standard metropolitan statistical area, as defined and designated by the Office of Management and Budget, which has a total population in excess of one hundred thousand, or (B) in a city or town of twenty-five thousand population or less, which is part of such an area but is at least 40 airline miles from the principal city in such area; or (10)(A) any salesman, partsman, or mechanic primarily engaged in selling or servicing automobiles, trucks, or farm implements, if he is employed by a nonmanufacturing establishment primarily engaged in the business of selling such vehicles or implements to ultimate purchasers; or (B) any salesman primarily engaged in selling trailers, boats, or aircraft, if he is employed by a nonmanufacturing establishment primarily engaged in the business of selling trailers, boats, or aircraft to ultimate purchasers; or (11) any employee employed as a driver or driver's helper making local deliveries, who is compensated for such employment on the basis of trip rates, or other delivery payment plan, if the Secretary shall find that such plan has the general purpose and effect of reducing hours worked by such employees to, or below, the maximum workweek applicable to them under section 207(a) of this title; or (12) any employee employed in agriculture or in connection with the operation or maintenance of ditches, canals, reservoirs, or waterways, not owned or operated for profit, or operated on a sharecrop basis, and which are used exclusively for supply and storing of water, at least 90 percent of which was ultimately delivered for agricultural purposes during the preceding calendar year; or (13) any employee with respect to his employment in agriculture by a farmer, notwithstanding other employment of such employee in connection with livestock auction operations in which such farmer is engaged as an adjunct to the raising of livestock, either on his own account or in conjunction with other farmers, if such employee (A) is primarily employed during his workweek in agriculture by such farmer, and (B) is paid for his employment in connection with such livestock auction operations at a wage rate not less than that prescribed by section 206(a)(1) of this title; or (14) any employee employed within the area of production (as defined by the Secretary) by an establishment commonly recognized as a country elevator, including such an establishment which sells products and services used in the operation of a farm, if no more than five employees are employed in the establishment in such operations; or (15) any employee engaged in the processing of maple sap into sugar (other than refined sugar) or syrup; or (16) any employee engaged (A) in the transportation and preparation for transportation of fruits or vegetables, whether or not performed by the farmer, from the farm to a place of first processing or first marketing within the same State, or (B) in transportation, whether or not performed by the farmer, between the farm and any point within the same State of persons employed or to be employed in the harvesting of fruits or vegetables; or (17) any driver employed by an employer engaged in the business of operating taxicabs; or (18), (19) Repealed. (20) any employee of a public agency who in any workweek is employed in fire protection activities or any employee of a public agency who in any workweek is employed in law enforcement activities (including security personnel in correctional institutions), if the public agency employs during the workweek less than 5 employees in fire protection or law enforcement activities, as the case may be; or (21) any employee who is employed in domestic service in a household and who resides in such household; or (22) Repealed. (23) Repealed. (24) any employee who is employed with his spouse by a nonprofit educational institution to serve as the parents of children- (A) who are orphans or one of whose natural parents is deceased, or (B) who are enrolled in such institution and reside in residential facilities of the institution, while such children are in residence at such institution, if such employee and his spouse reside in such facilities, receive, without cost, board and lodging from such institution, and are together compensated, on a cash basis, at an annual rate of not less than $10,000; or (25), (26) Repealed. (27) any employee employed by an establishment which is a motion picture theater; or (28) any employee employed in planting or tending trees, cruising, surveying, or felling timber, or in preparing or transporting logs or other forestry products to the mill, processing plant, railroad, or other transportation terminal, if the number of employees employed by his employer in such forestry or lumbering operations does not exceed eight; (29) any employee of an amusement or recreational establishment located in a national park or national forest or on land in the National Wildlife Refuge System if such employee (A) is an employee of a private entity engaged in providing services or facilities in a national park or national forest, or on land in the National Wildlife Refuge System, under a contract with the Secretary of the Interior or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and (B) receives compensation for employment in excess of fifty-six hours in any workweek at a rate not less than one and one-half times the regular rate at which he is employed; or (30) a criminal investigator who is paid availability pay under section 5545a of title 5.
(1) Except as provided in paragraph (2) or (4), the provisions of section 212 of this title relating to child labor shall not apply to any employee employed in agriculture outside of school hours for the school district where such employee is living while he is so employed, if such employee- (A) is less than twelve years of age and (i) is employed by his parent, or by a person standing in the place of his parent, on a farm owned or operated by such parent or person, or (ii) is employed, with the consent of his parent or person standing in the place of his parent, on a farm, none of the employees of which are (because of subsection (a)(6)(A)) required to be paid at the wage rate prescribed by section 206(a)(5) 1 of this title, (B) is twelve years or thirteen years of age and (i) such employment is with the consent of his parent or person standing in the place of his parent, or (ii) his parent or such person is employed on the same farm as such employee, or (C) is fourteen years of age or older. (2) The provisions of section 212 of this title relating to child labor shall apply to an employee below the age of sixteen employed in agriculture in an occupation that the Secretary of Labor finds and declares to be particularly hazardous for the employment of children below the age of sixteen, except where such employee is employed by his parent or by a person standing in the place of his parent on a farm owned or operated by such parent or person. (3) The provisions of section 212 of this title relating to child labor shall not apply to any child employed as an actor or performer in motion pictures or theatrical productions, or in radio or television productions. (4)(A) An employer or group of employers may apply to the Secretary for a waiver of the application of section 212 of this title to the employment for not more than eight weeks in any calendar year of individuals who are less than twelve years of age, but not less than ten years of age, as hand harvest laborers in an agricultural operation which has been, and is customarily and generally recognized as being, paid on a piece rate basis in the region in which such individuals would be employed. The Secretary may not grant such a waiver unless he finds, based on objective data submitted by the applicant, that- (i) the crop to be harvested is one with a particularly short harvesting season and the application of section 212 of this title would cause severe economic disruption in the industry of the employer or group of employers applying for the waiver; (ii) the employment of the individuals to whom the waiver would apply would not be deleterious to their health or well-being; (iii) the level and type of pesticides and other chemicals used would not have an adverse effect on the health or well-being of the individuals to whom the waiver would apply; (iv) individuals age twelve and above are not available for such employment; and (v) the industry of such employer or group of employers has traditionally and substantially employed individuals under twelve years of age without displacing substantial job opportunities for individuals over sixteen years of age. (B) Any waiver granted by the Secretary under subparagraph (A) shall require that- (i) the individuals employed under such waiver be employed outside of school hours for the school district where they are living while so employed; (ii) such individuals while so employed commute daily from their permanent residence to the farm on which they are so employed; and (iii) such individuals be employed under such waiver (I) for not more than eight weeks between June 1 and October 15 of any calendar year, and (II) in accordance with such other terms and conditions as the Secretary shall prescribe for such individuals' protection. (5)(A) In the administration and enforcement of the child labor provisions of this chapter, employees who are 16 and 17 years of age shall be permitted to load materials into, but not operate or unload materials from, scrap paper balers and paper box compactors- (i) that are safe for 16- and 17- year-old employees loading the scrap paper balers or paper box compactors; and (ii) that cannot be operated while being loaded. (B) For purposes of subparagraph (A), scrap paper balers and paper box compactors shall be considered safe for 16- or 17- year-old employees to load only if- (i)(I) the scrap paper balers and paper box compactors meet the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s Standard ANSI Z245.5–1990 for scrap paper balers and Standard ANSI Z245.2–1992 for paper box compactors; or (II) the scrap paper balers and paper box compactors meet an applicable standard that is adopted by the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after August 6, 1996, and that is certified by the Secretary to be at least as protective of the safety of minors as the standard described in subclause (I); (ii) the scrap paper balers and paper box compactors include an on-off switch incorporating a key-lock or other system and the control of the system is maintained in the custody of employees who are 18 years of age or older; (iii) the on-off switch of the scrap paper balers and paper box compactors is maintained in an off position when the scrap paper balers and paper box compactors are not in operation; and (iv) the employer of 16- and 17- year-old employees provides notice, and posts a notice, on the scrap paper balers and paper box compactors stating that- (I) the scrap paper balers and paper box compactors meet the applicable standard described in clause (i); (II) 16- and 17-year-old employees may only load the scrap paper balers and paper box compactors; and (III) any employee under the age of 18 may not operate or unload the scrap paper balers and paper box compactors. The Secretary shall publish in the Federal Register a standard that is adopted by the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for scrap paper balers or paper box compactors and certified by the Secretary to be protective of the safety of minors under clause (i)(II). (C)(i) Employers shall prepare and submit to the Secretary reports- (I) on any injury to an employee under the age of 18 that requires medical treatment (other than first aid) resulting from the employee's contact with a scrap paper baler or paper box compactor during the loading, operation, or unloading of the baler or compactor; and (II) on any fatality of an employee under the age of 18 resulting from the employee's contact with a scrap paper baler or paper box compactor during the loading, operation, or unloading of the baler or compactor. (ii) The reports described in clause (i) shall be used by the Secretary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implementation of subparagraph (A) has had any effect on the safety of children. (iii) The reports described in clause (i) shall provide- (I) the name, telephone number, and address of the employer and the address of the place of employment where the incident occurred; (II) the name, telephone number, and address of the employee who suffered an injury or death as a result of the incident; (III) the date of the incident; (IV) a description of the injury and a narrative describing how the incident occurred; and (V) the name of the manufacturer and the model number of the scrap paper baler or paper box compactor involved in the incident. (iv) The reports described in clause (i) shall be submitted to the Secretary promptly, but not later than 10 days after the date on which an incident relating to an injury or death occurred. (v) The Secretary may not rely solely on the reports described in clause (i) as the basis for making a determination that any of the employers described in clause (i) has violated a provision of section 212 of this title relating to oppressive child labor or a regulation or order issued pursuant to section 212 of this title. The Secretary shall, prior to making such a determination, conduct an investigation and inspection in accordance with section 212(b) of this title. (vi) The reporting requirements of this subparagraph shall expire 2 years after August 6, 1996. (6) In the administration and enforcement of the child labor provisions of this chapter, employees who are under 17 years of age may not drive automobiles or trucks on public roadways. Employees who are 17 years of age may drive automobiles or trucks on public roadways only if- (A) such driving is restricted to daylight hours; (B) the employee holds a State license valid for the type of driving involved in the job performed and has no records of any moving violation at the time of hire; (C) the employee has successfully completed a State approved driver education course; (D) the automobile or truck is equipped with a seat belt for the driver and any passengers and the employee's employer has instructed the employee that the seat belts must be used when driving the automobile or truck; (E) the automobile or truck does not exceed 6,000 pounds of gross vehicle weight; (F) such driving does not involve- (i) the towing of vehicles; (ii) route deliveries or route sales; (iii) the transportation for hire of property, goods, or passengers; (iv) urgent, time-sensitive deliveries; (v) more than two trips away from the primary place of employment in any single day for the purpose of delivering goods of the employee's employer to a customer (other than urgent, time-sensitive deliveries); (vi) more than two trips away from the primary place of employment in any single day for the purpose of transporting passengers (other than employees of the employer); (vii) transporting more than three passengers (including employees of the employer); or (viii) driving beyond a 30 mile radius from the employee's place of employment; and (G) such driving is only occasional and incidental to the employee's employment. For purposes of subparagraph (G), the term "occasional and incidental" is no more than one-third of an employee's worktime in any workday and no more than 20 percent of an employee's worktime in any workweek. (7)(A)(i) Subject to subparagraph (B), in the administration and enforcement of the child labor provisions of this chapter, it shall not be considered oppressive child labor for a new entrant into the workforce to be employed inside or outside places of business where machinery is used to process wood products. (ii) In this paragraph, the term "new entrant into the workforce" means an individual who- (I) is under the age of 18 and at least the age of 14, and (II) by statute or judicial order is exempt from compulsory school attendance beyond the eighth grade. (B) The employment of a new entrant into the workforce under subparagraph (A) shall be permitted- (i) if the entrant is supervised by an adult relative of the entrant or is supervised by an adult member of the same religious sect or division as the entrant; (ii) if the entrant does not operate or assist in the operation of power-driven woodworking machines; (iii) if the entrant is protected from wood particles or other flying debris within the workplace by a barrier appropriate to the potential hazard of such wood particles or flying debris or by maintaining a sufficient distance from machinery in operation; and (iv) if the entrant is required to us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to prevent exposure to excessive levels of noise and saw dust.
The provisions of sections 206, 207, and 212 of this title shall not apply with respect to any employee engaged in the delivery of newspapers to the consumer or to any homeworker engaged in the making of wreaths composed principally of natural holly, pine, cedar, or other evergreens (including the harvesting of the evergreens or other forest products used in making such wreaths).
The provisions of section 207 of this title shall not apply with respect to employees for whom the Secretary of Labor is authorized to establish minimum wage rates as provided in section 206(a)(3) of this title, except with respect to employees for whom such rates are in effect; and with respect to such employees the Secretary may make rules and regulations providing reasonable limitations and allowing reasonable variations, tolerances, and exemptions to and from any or all of the provisions of section 207 of this title if he shall find, after a public hearing on the matter, and taking into account the factors set forth in section 206(a)(3) of this title, that economic conditions warrant such action.
The provisions of sections 206, 207, 211, and 212 of this title shall not apply with respect to any employee whose services during the workweek are performed in a workplace within a foreign country or within territory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United States other than the following: a State of the United States; the District of Columbia; Puerto Rico; the Virgin Islands; outer Continental Shelf lands defined in the Outer Continental Shelf Lands Act (ch. 345, 67 Stat. 462) [43 U.S.C. 1331 et seq.]; American Samoa; Guam; Wake Island; Eniwetok Atoll; Kwajalein Atoll; and Johnston Island.
The exemption from section 206 of this title provided by paragraph (6) of subsection (a) of this section shall not apply with respect to any employee employed by an establishment (1) which controls, is controlled by, or is under common control with, another establishment the activities of which are not related for a common business purpose to, but materially support the activities of the establishment employing such employee; and (2) whose annual gross volume of sales made or business done, when combined with the annual gross volume of sales made or business done by each establishment which controls, is controlled by, or is under common control with, the establishment employing such employee, exceeds $10,000,000 (exclusive of excise taxes at the retail level which are separately stated).
*** (역자주) 이 법은 「해저토지법」 제3절에 해당한다.
The provisions of section 207 of this title shall not apply for a period or periods of not more than fourteen workweeks in the aggregate in any calendar year to any employee who- (1) is employed by such employer- (A) exclusively to provide services necessary and incidental to the ginning of cotton in an establishment primarily engaged in the ginning of cotton; (B) exclusively to provide services necessary and incidental to the receiving, handling, and storing of raw cotton and the compressing of raw cotton when performed at a cotton warehouse or compress- warehouse facility, other than on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a cotton mill, primarily engaged in storing and compressing; (C) exclusively to provide services necessary and incidental to the receiving, handling, storing, and processing of cottonseed in an establishment primarily engaged in the receiving, handling, storing, and processing of cottonseed; or (D) exclusively to provide services necessary and incidental to the processing of sugar cane or sugar beets in an establishment primarily engaged in the processing of sugar cane or sugar beets; and (2) receives for- (A) such employment by such employer which is in excess of ten hours in any workday, and (B) such employment by such employer which is in excess of forty-eight hours in any workweek, compensation at a rate not less than one and one-half times the regular rate at which he is employed. Any employer who receives an exemption under this subsection shall not be eligible for any other exemption under this section or section 207 of this title.
이 편 제207조의 규정은 다음 각 호에 모두 해당하는 근로자에 대하여 일정 연도 중 전 체 14주 이하의 기간에 적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1.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로 사용자에게 고용된 근로자 가. 주로 목화의 조면에 종사하는 사업장 에서 목화의 조면에 필수이며 중요한 서비스의 제공만을 위한 업무 나. 생면(生綿)의 접수, 관리 및 보관을 비롯하여, 방적공장과 공동으로 운영 하지 아니하고 주로 목화의 보관과 압 축에 종사하는 목화창고 또는 압축창 고에서 생면의 압축에 필수이며 중요 한 서비스의 제공만을 위한 업무 다. 주로 목화씨의 접수, 관리, 보관 및 처 리에 종사하는 사업장에서 목화씨의 접수, 관리, 보관 및 처리에 필수이며 중요한 서비스의 제공만을 위한 업무 라. 주로 사탕수수 또는 사탕무의 처리에 종사하는 사업장에서 사탕수수 또는 사탕무의 처리에 필수이며 중요한 서 비스의 제공만을 위한 업무 2. 다음 각 목에 대하여 통상임금의 1.5배 이상인 금액으로 수당을 받는 근로자 가. 사용자로 인한 1일 10시간을 초과하 는 근로 나. 사용자로 인한 1주 48시간을 초과하 는 근로 이 항에 따라 면제를 받는 사용자는 그 밖 에 이 조 또는 이 편 제207조에 따른 면제 의 대상이 되어서는 아니 된다.
The provisions of section 207 of this title shall not apply for a period or periods of not more than fourteen workweeks in the aggregate in any period of fifty-two consecutive weeks to any employee who- (1) is engaged in the ginning of cotton for market in any place of employment located in a county where cotton is grown in commercial quantities; and (2) receives for any such employment during such workweeks- (A) in excess of ten hours in any workday, and (B) in excess of forty-eight hours in any workweek, compensation at a rate not less than one and one-half times the regular rate at which he is employed. No week included in any fifty-two week period for purposes of the preceding sentence may be included for such purposes in any other fifty-two week period.
이 편 제207조의 규정은 다음 각 호에 모두 해당하는 근로자에 대하여 연속 52주의 기 간 중 전체 14주 이하의 기간에 적용하여 서는 아니 된다. 1. 목화를 채산성이 맞는 양으로 재배하는 국가에 소재하는 근로장소에서 상업 목 적의 목화 조면에 종사하는 근로자 2. 근로기간에 다음 각 목에 해당하는 근로 에 대하여 통상임금의 1.5배 이상인 금액 으로 수당을 받는 근로자 가. 1일 10시간 초과 나. 1주 48시간 초과 앞 문장의 목적상 52주의 기간에 산입한 주는 같은 목적으로 다른 52주의 기간에 산입할 수 없다.
The provisions of section 207 of this title shall not apply for a period or periods of not more than fourteen workweeks in the aggregate in any period of fifty-two consecutive weeks to any employee who- (1) is engaged in the processing of sugar beets, sugar beet molasses, or sugar cane into sugar (other than refined sugar) or syrup; and (2) receives for any such employment during such workweeks- (A) in excess of ten hours in any workday, and (B) in excess of forty-eight hours in any workweek, compensation at a rate not less than one and one-half times the regular rate at which he is employed. No week included in any fifty-two week period for purposes of the preceding sentence may be included for such purposes in any other fifty-two week period.
The Secretary, to the extent necessary in order to prevent curtailment of opportunities for employment, shall by regulations or by orders provide for the employment of learners, of apprentices, and of messengers employed primarily in delivering letters and messages, under special certificates issued pursuant to regulations of the Secretary, at such wages lower than the minimum wage applicable under section 206 of this title and subject to such limitations as to time, number, proportion, and length of service as the Secretary shall prescribe.
(1)(A) The Secretary, to the extent necessary in order to prevent curtailment of opportunities for employment, shall by special certificate issued under a regulation or order provide, in accordance with subparagraph (B), for the employment, at a wage rate not less than 85 per centum of the otherwise applicable wage rate in effect under section 206 of this title or not less than $1.60 an hour, whichever is the higher, of full-time students (regardless of age but in compliance with applicable child labor laws) in retail or service establishments. (B) Except as provided in paragraph (4)(B), during any month in which full-time students are to be employed in any retail or service establishment under certificates issued under this subsection the proportion of student hours of employment to the total hours of employment of all employees in such establishment may not exceed- (i) in the case of a retail or service establishment whose employees (other than employees engaged in commerce or in the production of goods for commerce) were covered by this chapter before the effective date of the Fair Labor Standards Amendments of 1974- (I) the proportion of student hours of employment to the total hours of employment of all employees in such establishment for the corresponding month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twelve-month period, (II) the maximum proportion for any corresponding month of student hours of employment to the total hours of employment of all employees in such establishment applicable to the issuance of certificates under this section at any time before the effective date of the Fair Labor Standards Amendments of 1974 for the employment of students by such employer, or (III) a proportion equal to one-tenth of the total hours of employment of all employees in such establishment, whichever is greater; (ii) in the case of retail or service establishment whose employees (other than employees engaged in commerce or in the production of goods for commerce) are covered for the first time on or after the effective date of the Fair Labor Standards Amendments of 1974- (I) the proportion of hours of employment of students in such establishment to the total hours of employment of all employees in such establishment for the corresponding month of the twelve-month period immediately prior to the effective date of such Amendments, (II) the proportion of student hours of employment to the total hours of employment of all employees in such establishment for the corresponding month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twelve-month period, or (III) a proportion equal to one-tenth of the total hours of employment of all employees in such establishment, whichever is greater; or (iii) in the case of a retail or service establishment for which records of student hours worked are not available, the proportion of student hours of employment to the total hours of employment of all employees based on the practice during the immediately preceding twelve-month period in (I) similar establishments of the same employer in the same general metropolitan area in which such establishment is located, (II) similar establishments of the same or nearby communities if such establishment is not in a metropolitan area, or (III) other establishments of the same general character operating in the community or the nearest comparable community. For purpose of clauses (i), (ii), and (iii) of this subparagraph, the term "student hours of employment" means hours during which students are employed in a retail or service establishment under certificates issued under this subsection. (2) The Secretary, to the extent necessary in order to prevent curtailment of opportunities for employment, shall by special certificate issued under a regulation or order provide for the employment, at a wage rate not less than 85 per centum of the wage rate in effect under section 206(a)(5) of this title or not less than $1.30 an hour, whichever is the higher, of full-time students (regardless of age but in compliance with applicable child labor laws) in any occupation in agriculture. (3) The Secretary, to the extent necessary in order to prevent curtailment of opportunities for employment, shall by special certificate issued under a regulation or order provide for the employment by an institution of higher education, at a wage rate not less than 85 per centum of the otherwise applicable wage rate in effect under section 206 of this title or not less than $1.60 an hour, whichever is the higher, of full- time students (regardless of age but in compliance with applicable child labor laws) who are enrolled in such institution. The Secretary shall by regulation prescribe standards and requirements to insure that this paragraph will not create a substantial probability of reducing the full-time employment opportunities of persons other than those to whom the minimum wage rate authorized by this paragraph is applicable. (4)(A) A special certificate issued under paragraph (1), (2), or (3) shall provide that the student or students for whom it is issued shall, except during vacation periods, be employed on a part- time basis and not in excess of twenty hours in any workweek. (B) If the issuance of a special certificate under paragraph (1) or (2) for an employer will cause the number of students employed by such employer under special certificates issued under this subsection to exceed six, the Secretary may not issue such a special certificate for the employment of a student by such employer unless the Secretary finds employment of such student will not create a substantial probability of reducing the full- time employment opportunities of persons other than those employed under special certificates issued under this subsection. If the issuance of a special certificate under paragraph (1) or (2) for an employer will not cause the number of students employed by such employer under special certificates issued under this subsection to exceed six- (i) the Secretary may issue a special certificate under paragraph (1) or (2) for the employment of a student by such employer if such employer certifies to the Secretary that the employment of such student will not reduce the full-time employment opportunities of persons other than those employed under special certificates issued under this subsection, and (ii) in the case of an employer which is a retail or service establishment, subparagraph (B) of paragraph (1) shall not apply with respect to the issuance of special certificates for such employer under such paragraph. institution of higher education is employing students under certificates issued under paragraph (3) but in violation of the requirements of that paragraph or of regulations issued thereunder, the requirements of this subparagraph shall apply with respect to the issuance of special certificates under paragraph (3) for the employment of students by such institution. (C) No special certificate may be issued under this subsection unless the employer for whom the certificate is to be issued provides evidence satisfactory to the Secretary of the student status of the employees to be employed under such special certificate. (D) To minimize paperwork for, and to encourage, small businesses to employ students under special certificates issued under paragraphs (1) and (2), the Secretary shall, by regulation or order, prescribe a simplified application form to be used by employers in applying for such a certificate for the employment of not more than six full-time students. Such an application shall require only- (i) a listing of the name, address, and business of the applicant employer, (ii) a listing of the date the applicant began business, and (iii) the certification that the employment of such full-time students will not reduce the full-time employment opportunities of persons other than persons employed under special certificates.
(1) The Secretary, to the extent necessary to prevent curtailment of opportunities for employment, shall by regulation or order provide for the employment, under special certificates, of individuals (including individuals employed in agriculture) whose earning or productive capacity is impaired by age, physical or mental deficiency, or injury, at wages which are- (A) lower than the minimum wage applicable under section 206 of this title, (B) commensurate with those paid to nonhandicapped workers, employed in the vicinity in which the individuals under the certificates are employed, for essentially the same type, quality, and quantity of work, and (C) related to the individual's productivity. (2) The Secretary shall not issue a certificate under paragraph (1) unless the employer provides written assurances to the Secretary that- (A) in the case of individuals paid on an hourly rate basis, wages paid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1) will be reviewed by the employer at periodic intervals at least once every six months, and (B) wages paid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1) will be adjusted by the employer at periodic intervals, at least once each year, to reflect changes in the prevailing wage paid to experienced nonhandicapped individuals employed in the locality for essentially the same type of work. (3) Notwithstanding paragraph (1), no employer shall be permitted to reduce the hourly wage rate prescribed by certificate under this subsection in effect on June 1, 1986, of any handicapped individual for a period of two years from such date without prior authorization of the Secretary. (4) Nothing in this subsection shall be construed to prohibit an employer from maintaining or establishing work activities centers to provide therapeutic activities for handicapped clients. (5)(A) Notwithstanding any other provision of this subsection, any employee receiving a special minimum wage at a rate specified pursuant to this subsection or the parent or guardian of such an employee may petition the Secretary to obtain a review of such special minimum wage rate. An employee or the employee's parent or guardian may file such a petition for and in behalf of the employee or in behalf of the employee and other employees similarly situated. No employee may be a party to any such action unless the employee or the employee's parent or guardian gives consent in writing to become such a party and such consent is filed with the Secretary. (B) Upon receipt of a petition filed in accordance with subparagraph (A), the Secretary within ten days shall assign the petition to an administrative law judge appointed pursuant to section 3105 of title 5. The administrative law judge shall conduct a hearing on the record in accordance with section 554 of title 5 with respect to such petition within thirty days after assignment. (C) In any such proceeding, the employer shall have the burden of demonstrating that the special minimum wage rate is justified as necessary in order to prevent curtailment of opportunities for employment. (D) In determining whether any special minimum wage rate is justified pursuant to subparagraph (C), the administrative law judge shall consider- (i) the productivity of the employee or employees identified in the petition and the conditions under which such productivity was measured; and (ii) the productivity of other employees performing work of essentially the same type and quality for other employers in the same vicinity. (E) The administrative law judge shall issue a decision within thirty days after the hearing provided for in subparagraph (B). Such action shall be deemed to be a final agency action unless within thirty days the Secretary grants a request to review the decision of the administrative law judge. Either the petitioner or the employer may request review by the Secretary within fifteen days of the date of issuance of the decision by the administrative law judge. (F) The Secretary, within thirty days after receiving a request for review, shall review the record and either adopt the decision of the administrative law judge or issue exceptions. The decision of the administrative law judge, together with any exceptions, shall be deemed to be a final agency action. (G) A final agency action shall be subject to judicial review pursuant to chapter 7 of title 5. An action seeking such review shall be brought within thirty days of a final agency action described in subparagraph (F).
The Secretary may by regulation or order provide that sections 206 and 207 of this title shall not apply with respect to the employment by any elementary or secondary school of its students if such employment constitutes, as determined under regulations prescribed by the Secretary, an integral part of the regular education program provided by such school and such employment is in accordance with applicable child labor laws.
(1) to transport, offer for transportation, ship, deliver, or sell in commerce, or to ship, deliver, or sell with knowledge that shipment or delivery or sale thereof in commerce is intended, any goods in the production of which any employee was employed in violation of section 206 or section 207 of this title, or in violation of any regulation or order of the Secretary issued under section 214 of this title; except that no provision of this chapter shall impose any liability upon any common carrier for the transportation in commerce in the regular course of its business of any goods not produced by such common carrier, and no provision of this chapter shall excuse any common carrier from its obligation to accept any goods for transportation; and except that any such transportation, offer, shipment, delivery, or sale of such goods by a purchaser who acquired them in good faith in reliance on written assurance from the producer that the goods were produced in compliance with the requirements of this chapter, and who acquired such goods for value without notice of any such violation, shall not be deemed unlawful; (2) to violate any of the provisions of section 206 or section 207 of this title, or any of the provisions of any regulation or order of the Secretary issued under section 214 of this title; (3) to discharge or in any other manner discriminate against any employee because such employee has filed any complaint or instituted or caused to be instituted any proceeding under or related to this chapter, or has testified or is about to testify in any such proceeding, or has served or is about to serve on an industry committee; (4) to violate any of the provisions of section 212 of this title; (5) to violate any of the provisions of section 211(c) of this title, or any regulation or order made or continued in effect under the provisions of section 211(d) of this title, or to make any statement, report, or record filed or kept pursuant to the provisions of such section or of any regulation or order thereunder, knowing such statement, report, or record to be false in a material respect; and (6) to violate any of the provisions of section 218d of this title.
Any person who willfully violates any of the provisions of section 215 of this title shall upon conviction thereof be subject to a fine of not more than $10,000, or to imprisonment for not more than six months, or both. No person shall be imprisoned under this subsection except for an offense committed after the conviction of such person for a prior offense under this subsection.
Any employer who violates the provisions of section 206 or section 207 of this title shall be liable to the employee or employees affected in the amount of their unpaid minimum wages, or their unpaid overtime compensation, as the case may be, and in an additional equal amount as liquidated damages. Any employer who violates the provisions of section 215(a)(3) of this title shall be liable for such legal or equitable relief as may be appropriate to effectuate the purposes of section 215(a)(3) of this title, including without limitation employment, reinstatement, promotion, and the payment of wages lost and an additional equal amount as liquidated damages. Any employer who violates section 203(m)(2)(B) of this title shall be liable to the employee or employees affected in the amount of the sum of any tip credit taken by the employer and all such tips unlawfully kept by the employer, and in an additional equal amount as liquidated damages. An action to recover the liability prescribed in the preceding sentences may be maintained against any employer (including a public agency) in any Federal or State court of competent jurisdiction by any one or more employees for and in behalf of himself or themselves and other employees similarly situated. No employee shall be a party plaintiff to any such action unless he gives his consent in writing to become such a party and such consent is filed in the court in which such action is brought. The court in such action shall, in addition to any judgment awarded to the plaintiff or plaintiffs, allow a reasonable attorney's fee to be paid by the defendant, and costs of the action. The right provided by this subsection to bring an action by or on behalf of any employee, and the right of any employee to become a party plaintiff to any such action, shall terminate upon the filing of a complaint by the Secretary of Labor in an action under section 217 of this title in which (1) restraint is sought of any further delay in the payment of unpaid minimum wages, or the amount of unpaid overtime compensation, as the case may be, owing to such employee under section 206 or section 207 of this title by an employer liable therefor under the provisions of this subsection or (2) legal or equitable relief is sought as a result of alleged violations of section 215(a)(3) of this title.
The Secretary is authorized to supervise the payment of the unpaid minimum wages or the unpaid overtime compensation owing to any employee or employees under section 206 or section 207 of this title, and the agreement of any employee to accept such payment shall upon payment in full constitute a waiver by such employee of any right he may have under subsection (b) of this section to such unpaid minimum wages or unpaid overtime compensation and an additional equal amount as liquidated damages. The Secretary may bring an action in any court of competent jurisdiction to recover the amount of unpaid minimum wages or overtime compensation and an equal amount as liquidated damages. The right provided by subsection (b) to bring an action by or on behalf of any employee to recover the liability specified in the first sentence of such subsection and of any employee to become a party plaintiff to any such action shall terminate upon the filing of a complaint by the Secretary in an action under this subsection in which a recovery is sought of unpaid minimum wages or unpaid overtime compensation under sections 206 and 207 of this title or liquidated or other damages provided by this subsection owing to such employee by an employer liable under the provisions of subsection (b), unless such action is dismissed without prejudice on motion of the Secretary. Any sums thus recovered by the Secretary of Labor on behalf of an employee pursuant to this subsection shall be held in a special deposit account and shall be paid, on order of the Secretary of Labor, directly to the employee or employees affected. Any such sums not paid to an employee because of inability to do so within a period of three years shall be covered into the Treasury of the United States as miscellaneous receipts. In determining when an action is commenced by the Secretary of Labor under this subsection for the purposes of the statutes of limitations provided in section 6(a) of the Portal-to-Portal Act of 1947 [29 U.S.C. 255(a)], it shall be considered to be commenced in the case of any individual claimant on the date when the complaint is filed if he is specifically named as a party plaintiff in the complaint, or if his name did not so appear, on the subsequent date on which his name is added as a party plaintiff in such action. The authority and requirements described in this subsection shall apply with respect to a violation of section 203(m)(2)(B) of this title, as appropriate, and the employer shall be liable for the amount of the sum of any tip credit taken by the employer and all such tips unlawfully kept by the employer, and an additional equal amount as liquidated damages.
In any action or proceeding commenced prior to, on, or after August 8, 1956, no employer shall be subject to any liability or punishment under this chapter or the Portal-toPortal Act of 1947 [29 U.S.C. 251 et seq.] on account of his failure to comply with any provision or provisions of this chapter or such Act (1) with respect to work heretofore or hereafter performed in a workplace to which the exemption in section 213(f) of this title is applicable, (2) with respect to work performed in Guam, the Canal Zone or Wake Island before the effective date of this amendment of subsection (d), or (3) with respect to work performed in a possession named in section 206(a)(3) of this title at any time prior to the establishment by the Secretary, as provided therein, of a minimum wage rate applicable to such work.
(1)(A) Any person who violates the provisions of sections 212 or 213(c) of this title, relating to child labor, or any regulation issued pursuant to such sections, shall be subject to a civil penalty not to exceed- (i) $11,000 for each employee who was the subject of such a violation; or (ii) $50,000 with regard to each such violation that causes the death or serious injury of any employee under the age of 18 years, which penalty may be doubled where the violation is a repeated or willful violation. (B) For purposes of subparagraph (A), the term "serious injury" means- (i) permanent loss or substantial impairment of one of the senses (sight, hearing, taste, smell, tactile sensation); (ii) permanent loss or substantial impairment of the function of a bodily member, organ, or mental faculty, including the loss of all or part of an arm, leg, foot, hand or other body part; or (iii) permanent paralysis or substantial impairment that causes loss of movement or mobility of an arm, leg, foot, hand or other body part. (2) Any person who repeatedly or willfully violates section 206 or 207 of this title, relating to wages, shall be subject to a civil penalty not to exceed $1,100 for each such violation. Any person who violates section 203(m)(2)(B) of this title shall be subject to a civil penalty not to exceed $1,100 for each such violation, as the Secretary determines appropriate, in addition to being liable to the employee or employees affected for all tips unlawfully kept, and an additional equal amount as liquidated damages, as described in subsection (b). (3) In determining the amount of any penalty under this subsection, the appropriateness of such penalty to the size of the business of the person charged and the gravity of the violation shall be considered. The amount of any penalty under this subsection, when finally determined, may be- (A) deducted from any sums owing by the United States to the person charged; (B) recovered in a civil action brought by the Secretary in any court of competent jurisdiction, in which litigation the Secretary shall be represented by the Solicitor of Labor; or (C) ordered by the court, in an action brought for a violation of section 215(a)(4) of this title or a repeated or willful violation of section 215(a)(2) of this title, to be paid to the Secretary. (4) Any administrative determination by the Secretary of the amount of any penalty under this subsection shall be final, unless within 15 days after receipt of notice thereof by certified mail the person charged with the violation takes exception to the determination that the violations for which the penalty is imposed occurred, in which event final determination of the penalty shall be made in an administrative proceeding after opportunity for hearing in accordance with section 554 of title 5 and regulations to be promulgated by the Secretary. (5) Except for civil penalties collected for violations of section 212 of this title, sums collected as penalties pursuant to this section shall be applied toward reimbursement of the costs of determining the violations and assessing and collecting such penalties,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 of section 9a of this title. Civil penalties collected for violations of section 212 of this title shall be deposited in the general fund of the Treasury.
No employer shall be subject to any liability or punishment under the Fair Labor Standards Act of 1938, as amended [29 U.S.C. 201 et seq.] (in any action or proceeding commenced prior to or on or after January 24, 1950), on account of the failure of said employer to pay an employee compensation for any period of overtime work performed prior to July 20, 1949, if the compensation paid prior to July 20, 1949, for such work was at least equal to the compensation which would have been payable for such work had section 7(d)(6) and (7) and section 7(g) of the Fair Labor Standards Act of 1938, as amended [29 U.S.C. 207(d)(6), (7), (g)], been in effect at the time of such payment.
The district courts, together with the United States District Court for the District of the Canal Zone, the District Court of the Virgin Islands, and the District Court of Guam shall have jurisdiction, for cause shown, to restrain violations of section 215 of this title, including in the case of violations of section 215(a)(2) of this title the restraint of any withholding of payment of minimum wages or overtime compensation found by the court to be due to employees under this chapter (except sums which employees are barred from recovering, at the time of the commencement of the action to restrain the violations, by virtue of the provisions of section 255 of this title).
(1) any Federal employee in the Canal Zone engaged in employment of the kind described in section 5102(c)(7) of title 5, or (2) any employee employed in a nonappropriated fund instrumentality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Armed Forces, shall have his basic compensation fixed or adjusted at a wage rate that is not less than the appropriate wage rate provided for in section 206(a)(1) of this title (except that the wage rate provided for in section 206(b) of this title shall apply to any employee who performed services during the workweek in a work place within the Canal Zone), and shall have his overtime compensation set at an hourly rate not less than the overtime rate provided for in section 207(a)(1) of this title.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s promulgated by the Secretary, an employer to which this chapter applies, shall provide to each employee at the time of hiring (or with respect to current employees, not later than March 1, 2013), written notice- (1) informing the employee of the existence of an Exchange, including a description of the services provided by such Exchange, and the manner in which the employee may contact the Exchange to request assistance; (2) if the employer plan's share of the total allowed costs of benefits provided under the plan is less than 60 percent of such costs, that the employee may be eligible for a premium tax credit under section 36B of title 26 and a cost sharing reduction under section 18071 of title 42 if the employee purchases a qualified health plan through the Exchange; and (3) if the employee purchases a qualified health plan through the Exchange, the employee may lose the employer contribution (if any) to any health benefits plan offered by the employer and that all or a portion of such contribution may be excludable from income for Federal income tax purposes.
**** (역자주) 거래소(Exchange)는 2010년의 공법 제111-148호인 「환자 보호 및 적정 의료법(ACA, 일명 "오바마케어”」에 서 규정한 미국건강보험거래소(American Health Benefit Exchange)를 의미한다. 이 법에 따라 2014년 1월까지 각 주정부 는 자체 건강보험거래소를 설립하여 운영하여야 하며, 그렇지 않을 때에는 연방정부의 보건부가 이를 시행하여야 한다.
Subsection (a) shall take effect with respect to employers in a State beginning on March 1, 2013.
No employer shall discharge or in any manner discriminate against any employee with respect to his or her compensation, terms, conditions, or other privileges of employment because the employee (or an individual acting at the request of the employee) has- (1) received a credit under section 36B of title 26 or a subsidy under section 18071 of title 42; (2) provided, caused to be provided, or is about to provide or cause to be provided to the employer, the Federal Government, or the attorney general of a State information relating to any violation of, or any act or omission the employee reasonably believes to be a violation of, any provision of this title (or an amendment made by this title); (3) testified or is about to testify in a proceeding concerning such violation; (4) assisted or participated, or is about to assist or participate, in such a proceeding; or (5) objected to, or refused to participate in, any activity, policy, practice, or assigned task that the employee (or other such person) reasonably believed to be in violation of any provision of this title (or amendment), or any order, rule, regulation, standard, or ban under this title (or amendment).
(1) In general An employee who believes that he or she has been discharged or otherwise discriminated against by any employer in violation of this section may seek relief in accordance with the procedures, notifications, burdens of proof, remedies, and statutes of limitation set forth in section 2087(b) of title 15. (2) No limitation on rights Nothing in this section shall be deemed to diminish the rights, privileges, or remedies of any employee under any Federal or State law or under any collective bargaining agreement. The rights and remedies in this section may not be waived by any agreement, policy, form, or condition of employment.
An employer shall provide- (1) a reasonable break time for an employee to express breast milk for such employee's nursing child for 1 year after the child's birth each time such employee has need to express the milk; and (2) a place, other than a bathroom, that is shielded from view and free from intrusion from coworkers and the public, which may be used by an employee to express breast milk.
(1) In general Subject to paragraph (2), an employer shall not be required to compensate an employee receiving reasonable break time under subsection (a)(1) for any time spent during the workday for such purpose unless otherwise required by Federal or State law or municipal ordinance. (2) Relief from duties Break time provided under subsection (a)(1) shall be considered hours worked if the employee is not completely relieved from duty during the entirety of such break.
An employer that employs less than 50 employees shall not be subject to the requirements of this section, if such requirements would impose an undue hardship by causing the employer significant difficulty or expense when considered in relation to the size, financial resources, nature, or structure of the employer's business.
(1) In general An employer that is an air carrier shall not be subject to the requirements of this section with respect to an employee of such air carrier who is a crewmember (2) Definitions In this subsection: (A) Air carrier The term "air carrier" has the meaning given such term in section 40102 of title 49. (B) Crewmember The term "crewmember" has the meaning given such term in section 1.1 of title 14, Code of Federal Regulations (or successor regulations).
(1) In general Except as provided in paragraph (2), an employer that is a rail carrier shall be subject to the requirements of this section. (2) Certain employees An employer that is a rail carrier shall be subject to the requirements of this section with respect to an employee of such rail carrier who is a member of a train crew involved in the movement of a locomotive or rolling stock or who is an employee who maintains the right of way, provided that compliance with the requirements of this section does not- (A) require the employer to incur significant expense, such as through the addition of such a member of a train crew in response to providing a break described in subsection (a)(1) to another such member of a train crew, removal or retrofitting of seats, or the modification or retrofitting of a locomotive or rolling stock; or (B) result in unsafe conditions for an individual who is an employee who maintains the right of way. (3) Significant expense For purposes of paragraph (2)(A), it shall not be considered a significant expense to modify or retrofit a locomotive or rolling stock by installing a curtain or other screening protection. (4) Definitions In this subsection: (A) Employee who maintains the right of way The term "employee who maintains the right of way" means an employee who is a safetyrelated railroad employee described in section 20102(4)(C) of title 49. (B) Rail carrier The term "rail carrier" means an employer described in section 213(b)(2) of this title. (C) Train crew The term "train crew" has the meaning given such term as used in chapter II of subtitle B of title 49, Code of Federal Regulations (or successor regulations).
(1) In general Except as provided in paragraph (2), an employer that is a motorcoach services operator shall be subject to the requirements of this section. (2) Employees who are involved in the movement of a motorcoach An employer that is a motorcoach services operator shall be subject to the requirements of this section with respect to an employee of such motorcoach services operator who is involved in the movement of a motorcoach provided that compliance with the requirements of this section does not- (A) require the employer to incur significant expense, such as through the removal or retrofitting of seats, the modification or retrofitting of a motorcoach, or unscheduled stops; or (B) result in unsafe conditions for an employee of a motorcoach services operator or a passenger of a motorcoach. (3) Significant expense For purposes of paragraph (2)(A), it shall not be considered a significant expense- (A) to modify or retrofit a motorcoach by installing a curtain or other screening protection if an employee requests such a curtain or other screening protection; or (B) for an employee to use scheduled stop time to express breast milk. (4) Definitions In this subsection: (A) Motorcoach; motorcoach services The terms "motorcoach" and "motorcoach services" have the meanings given the terms in section 32702 of the Motorcoach Enhanced Safety Act of 2012 (49 U.S.C. 31136 note). (B) Motorcoach services operator The term "motorcoach services operator" means an entity that offers motorcoach services.
(1) In general Except as provided in paragraph (2), before commencing an action under section 216(b) of this title for a violation of subsection (a)(2), an employee shall- (A) notify the employer of such employee of the failure to provide the place described in such subsection; and (B) provide the employer with 10 days after such notification to come into compliance with such subsection with respect to the employee. (2) Exceptions Paragraph (1) shall not apply in a case in which- (A) the employee has been discharged because the employee- (i) has made a request for the break time or place described in subsection (a); or (ii) has opposed any employer conduct related to this section; or (B) the employer has indicated that the employer has no intention of providing the place described in subsection (a)(2).
(1) Laws providing greater protection Nothing in this section shall preempt a State law or municipal ordinance that provides greater protections to employees than the protections provided for under this section. (2) No effect on title 49 preemption This section shall have no effect on the preemption of a State law or municipal ordinance that is preempted under subtitle IV, V, or VII of title 49.
If any provision of this chapter or the application of such provision to any person or circumstance is held invalid, the remainder of this chapter and the application of such provision to other persons or circumstances shall not be affected thereby.
「공정근로기준법 1938」
• 국가‧지역: 미국 • 법률번 호: 1938년 법률 제676호(제정), 공법 제117-328호(개정) 미국법전 제9편제8장(현행) • 제 정 일: 1938년 6월 25일 • 개 정 일: 2022년 12월 29일
이 법의 명칭은 「공정근로기준법 1938」로 한다.
1. 상업 및 상업 경로·매체를 사용하여 그 러한 근로조건이 여러 주의 근로자에게 로 전파되어 지속하는 현상을 초래함 2. 상업 및 물품의 상업 내 자유로운 흐름 에 부담을 지움 3. 상업 내 불공정 경쟁 수단을 구성함 4. 상업 및 물품의 상업 내 자유로운 흐름 에 부담을 지우고 이를 저해하는 노동쟁 의를 유발함 5. 상업 내 질서 있고 공정한 물품 마케팅 을 방해함 또한 의회는 가정에서의 가사 용역에 대한 고용이 상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한다.
† (역자주) 미국의 현행 연방법률은 미국법전(United States Code)의 형태로 제공되는데, 미국법전상의 조문번호는 제정 법상의 조번호와는 다르다. 특정 법조문을 인용할 때 “000법 제3조[미국법전 제△△편제103조]”와 같이 제정법과 미국 법전의 조번호를 병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 번역본은 현행법인 미국법전의 조문 번호를 따르되, 제정법의 조번호를 각괄호([ ])안에 병기하였다.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 다.
2. 공공기관이 고용하는 개인의 경우, 이 용어는 다음 각 목을 말한다. 가. 다음 중 어느 하나에 미국 정부가 고 용하는 모든 개인 1) 각군(제5편제102조에서 정의하 는 것을 말한다) 내의 일반직 2) 모든 행정기관(제5편제105조에 서 정의하는 것을 말한다) 3) 경쟁직에 해당하는 직위를 두는 사법부 소속 기관 4) 군대 관할의 예산외 자금 기관 5) 의회도서관 6) 정부출판국 나. 미국우정공사 또는 우편규제위원회 가 고용하는 모든 개인 다. 주, 주의 하위행정구역, 또는 주간(州 間)정부기관이 고용하는 모든 개인으 로서, 다음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개인 1) 해당 개인을 고용하는 주, 주의 하 위행정구역, 또는 기관의 공무원 법령 적용 대상이 아닌 자 2)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 가) 그 주, 하위행정구역, 기관의 선출직 공무원인 자 나) 그러한 선출직 공무원이 자신 의 개인 수행원으로 선정한 자 다) 정책입안 직위에서 복무하도 록 그러한 선출직 공무원이 임 명한 자 라) 그러한 선출직의 헌법상 또는 법률상 권한에 대한 선출직 공 무원의 측근 고문 마) 그 주, 하위행정구역, 기관의 사법부 또는 입법부의 근로자 로서, 그 주, 하위행정구역, 기 관의 입법부 도서관이 고용하 지 아니한 자 3. 제21항의 목적상, 이 용어는 농업에 종 사하는 사용자가 고용한 개인이 그 사용 자의 부모, 배우자, 자녀, 또는 그 밖의 직 계 가족 구성원일 경우에는 그러한 개인 을 포함하지 아니한다. 4. 가. "근로자"는 주, 주의 하위행정구역, 또는 주간정부기관인 공공기관을 위 하여 복무를 수행하는 자원봉사자 중 다음에 모두 해당하는 개인을 포함하 지 아니한다. 1) 해당 개인이 자원봉사하는 복무 수행에 대하여 보수를 받지 아니 하거나 경비, 합리적 혜택 또는 소 액 요금을 지급받는 경우 2) 그러한 복무가 해당 개인이 해당 공공기관에 고용되어 수행하는 복무와 같은 종류가 아닌 경우 나. 주, 주의 하위행정구역, 또는 주간정 부기관인 공공기관의 근로자는 자신이 속한 주, 하위행정구역, 또는 주간정부 기관과 상호원조협약을 맺은 주, 하위 행정구역 또는 기관을 포함하여 다른 주, 하위행정구역, 또는 주간정부기관 을 위하여 복무를 수행하는 자원봉사 를 할 수 있다. 5. "근로자"는 오직 인도적 목적만으로 민 간 비영리 푸드뱅크에 자원봉사를 하여 해당 푸드뱅크로부터 식료품을 받는 개 인을 포함하지 아니한다.
‡ (역자주) 이 부분의 인용과 관련하여 주석에서 다음과 같이 부연 설명하고 있다. 제6항에 인용된 제12편제1141j조제7항은, 2008년 6월 18일의 공법 제110-245호 제1편제1610조, 법령집번 호 제122-1746호에 따라 제1141j조제6항으로 이동하였다. Section 1141j(g) of title 12, referred to in subsec. (f), was redesignated section 1141j(f) by Pub. L. 110– 246, title I, §1610, June 18, 2008, 122 Stat. 1746
1. 사용자(제조업이나 광산업 이외의 업무 또는 16세와 18세 사이의 아동을 고용하 기에는 특별히 위험한 것으로 또는 그들 의 건강이나 안녕에 해로운 것으로 노동 부장관이 판단하는 업무에 16세 미만의 친자녀 또는 보호 중인 아동을 고용한 부 모 또는 부모 역할을 하는 자는 제외한 다)가 16세 미만의 근로자를 모든 종류 의 업무에 고용한 경우 2. 16세와 18세 사이의 아동을 고용하기에 는 특별히 위험한 것으로 또는 그들의 건 강이나 안녕에 해로운 것으로 노동부장 관이 판단하여 명령으로 선언하는 업무 에 사용자가 해당 연령의 근로자를 고용 한 경우 다만 사용자가 노동부장관의 규정에 따라 발급받아 소지하는 만료하지 아니한 확인 서를 통해 근로자가 억압적 아동 근로 연령 보다 나이가 많다는 확인을 문서로 두어야 하는 자를 어떠한 업무로든 고용한 경우는 억압적 아동 근로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서는 아니 된다. 제조업이나 광산업 이외의 업무에 14세에서 16세 사이의 근로자 고용 이 해당 아동의 학교 교육을 방해하지 아니 하는 기간에 아동의 건강과 안녕을 방해하 지 아니하는 조건으로 한정됨을 노동부장 관이 정하는 경우, 노동부장관은 그러한 고 용을 억압적 아동 근로의 구성 요소로 보아 서는 아니 됨을 규정 또는 명령을 통하여 정하여야 한다.
2. 가. 사용자가 봉사료를 받는 근로자에게 지급할 의무가 있는 임금을 정할 때, 그 근로자의 사용자가 해당 근로자에 게 지급하는 금액은 다음의 모든 금액 과 동일한 금액이어야 한다. 1) 그러한 근로자에게 통화로 지급 하는 임금이 이 호에서 말하는 임 금을 정하는 목적상 1996년 8월 20일 당시 그러한 근로자에게 통 화로 지급하여야 하는 임금 이상 이 되는 금액 2) 그러한 근로자가 받은 봉사료에 따른 추가 금액으로서, 1)에서 정 하는 임금과 이 편 제206조제1항 제1호에 따라 시행 중인 임금의 차액과 동일한 금액 봉사료에 따른 추가 금액은 근로자가 실제로 받은 봉사료의 가액을 초과할 수 없다. 앞의 두 문장은 봉사료를 받는 근로자 가 사용자로부터 이 항의 내용에 대하 여 안내를 받은 바 있으며 그러한 근 로자가 받은 모든 봉사료를 사용자가 보유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봉사료를 받는 근로자에 대하여 적용하여서는 아니 되나, 다만 이 항이 관례상 일반 적으로 봉사료를 받는 근로자들 간의 봉사료 공유를 금지하는 것으로 해석 하여서는 아니 된다. 나. 사용자가 봉사료 공제를 받는지 여부 와 관계없이, 사용자는, 근로자의 봉사 료 일부를 관리자 또는 상사가 보관하 도록 허용하는 경우를 포함하여, 어떠 한 목적으로도 근로자가 받은 봉사료 를 보관할 수 없다.
§ (역자주) “국장(Administrator)”에 대해서는 제204조제1항 참조.
2. 제1호의 목적상, 어떠한 자든 그가 수행 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활동은 사업 목적상 수행한 활동으로 보 아야 한다. 가. 병원, 소속 시설에 거주하는 환자, 노 인, 정신질환자 또는 정신장애자의 돌 봄을 중심으로 하는 기관, 심신장애아 또는 영재 아동을 위한 학교, 유치원이 나 초중등학교, 또는 고등교육기관의 운영과 관련된 경우(앞의 병원, 기관 또는 학교가 영리·비영리로 운영되는 지 여부는 상관하지 아니한다) 나. 요금 및 서비스에 대하여 주·지역 기 관의 규정을 적용받는 시내·시외·광역 전철 또는 지역 전차·버스 운수회사의 운영과 관련된 경우(그러한 철도나 운 수회사가 공영·민영인지 또는 영리·비 영리로 운영되는지 여부는 상관하지 아니한다) 다. 공공기관의 활동과 관련된 경우
가. 1) 상업에 종사하거나 상업을 위한 물품의 제작에 종사하는 근로자가 있거나, 어떠한 자든 그가 상업을 위하여 들여왔거나 생산한 물품 또 는 물질을 취급, 판매, 또는 그 밖의 방법으로 작업하는 근로자가 있는 기업으로서, 2) 연간 총매출 또는 총사업 규모가 50만 달러(개별 명세 소매를 기준 으로 하는 소비세 세후) 이상인 기업 나. 병원, 소속 시설에 거주하는 환자, 노 인, 정신질환자 또는 정신장애자의 돌 봄을 중심으로 하는 기관, 심신장애아 또는 영재 아동을 위한 학교, 유치원이 나 초중등학교, 또는 고등교육기관의 운영에 종사(앞의 병원, 기관 또는 학 교가 공립·사립인지 또는 영리·비영리 로 운영되는지 여부는 상관하지 아니 한다) 다. 공공기관의 활동 2. 기업 소유자 또는 그 소유자의 부모, 배 우자, 자녀, 또는 그 밖의 직계 가족 구성 원을 유일한 정규 근로자로 두는 기업은 상업에 종사하거나 상업을 위한 물품의 제작에 종사하는 기업 또는 그러한 기업 의 일부로 보아서는 아니 된다. 그러한 기업의 매출은 이 항에서 말하는 기업의 연간 총매출 규모를 결정하기 위한 목적 상 포함하여서는 아니 된다.
1. 화재진압 교육을 받은 자로서, 화재진압 에 종사할 법적 권한과 책임을 지며, 시, 카운티, 소방관할구역, 또는 주의 소방부 서에 고용된 자 2. 화재 예방, 관리 및 소화 또는 생명·재산 ·환경이 위험에 처한 경우의 응급 상황 대응에 종사하는 자
노동부에 임금근로시간국을 설치하여 그 총괄 국장은 임금근로시간국장(이 법에서 "국장"이라 한다)으로 한다. 국장은 상원의 권고와 동의에 따라 대통령이 임명하여야 한다.
국장은 이 법에 따른 직무와 의무를 수행하 는 데 필요하다고 보는 직원을, 일반 공직 자 법령에 따라, 임명할 수 있으며 제5편제 51장 및 제53장제3절에 따라 그 수당을 확 정하여야 한다. 국장은 필요에 따라 지역별 또는 그 밖의 기관을 설립하고 활용할 수 있으며 봉사 및 무급 복무 형태를 활용할 수 있다. 이 조에 따라 임명하는 변호사는 모든 소송에서 국장을 변호하고 대리할 수 있으나 다만 그러한 모든 소송은 법무부장 관의 지시와 통제를 받아야 한다. 국장이 자신의 임직원을 임명, 선정, 직급구분 및 승진임용하는 때에는, 정치적 시험이나 자 격을 허용하거나 고려하여서는 아니 되며, 모든 임명과 승진임용은 실적과 효율성에 기초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국장의 본청은 컬럼비아특별구에 위치하여 야 하나 다만 국장 또는 국장을 대리하도록 적법하게 권한을 받은 자는 그 권한의 전부 또는 일부를 어느 장소에서든지 행사할 수 있다.
1. 장관은 2년간 활동 사항을 비롯하여 이 법이 다루는 사항 중 권고할 가치가 있다 고 보는 사항에 대한 정보, 자료 및 추가 입법의 권고를 포함하는 의회 보고서를 1월에 격년 주기로 제출하여야 한다. 해 당 보고서는 이 법에 따라 시행하는 최저 임금 및 초과근로 보호범위에 대한 장관 의 평가와 판단을, 장관의 의회 권고사항 과 더불어 포함하여야 한다. 장관은, 그 러한 평가와 판단을 내릴 때, 생계비 및 생산성에 나타난 변화, 제조업계의 임금 수준, 사용자의 임금 상승 수용 능력, 그 리고 그 밖에 관련이 있다고 보는 요소를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해당 보고서는 이 편 제214조제2항에 따라 발부한 특별증 서에 대한 개요를 포함하여야 한다. 2. 장관은 이 편 제213조에서 정하는 특별 면제의 근거 또는 근거 부족을 비롯하여, 해당 면제가 같은 조 제7항의 사업장 근 로자에게 적용되는 정도 그리고 그러한 근로자에 대한 해당 면제의 적용으로 인 한 경제적 영향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 여야 한다. 장관은 이 호에 따라 수행하 는 연구의 조사 결과 및 권고 사항에 대 한 보고서를 1976년 1월 1일 전에 의회 로 제출하여야 한다. 3. 장관은 역사적으로 높은 실업 사례가 있 는 인력 집단(불리한 위치에 처한 소수집 단, 청소년, 노년층 및 그 밖에 장관이 정 하는 집단)의 고용기회 축소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 지속적인 연구를 수 행하여야 한다. 그러한 연구 결과의 최초 보고서는 「공정근로기준개정법 1974」 시행일부터 1년 이내에 의회로 전달하여 야 한다. 해당 연구의 후속 보고서는 앞 의 시행일 이후 2년 주기로 의회에 전달 하여야 한다. 앞의 각 보고서는 이 편 제 214조에 따른 장관의 권한에 대한 제안 을 포함하여야 한다.
장관이 이 법의 적용 대상인 산업과 관련하 여 미국의 국내 시장 또는 국외 시장 또는 국내외 시장 모두에서 외국 생산자의 경쟁 이 미국 국내의 실업 증가를 초래한 것으 로, 또는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 는 사유가 있을 때마다, 장관은 해당 사안 에 대하여 완전한 정보를 얻기 위한 조사에 착수하여야 한다. 만일 실업의 증가가 실제 로 그러한 경쟁으로 인하여 초래되었거나, 초래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장관이 판단 하는 때에는, 장관의 조사 결과와 결정에 대한 전체 보고서를 대통령과 의회에 제출 하여야 한다. 다만, 장관은 해당 보고서와 관련이 있다고 보는 이 법의 적용 대상인 산업에서 추가 수출로 인하여 초래된 실업 증가에 대한 정보 또한 해당 보고서에 포함 할 수 있다.
장관은 의회도서관장과 협정을 체결하여 의회도서관에 고용된 개인에 대하여 이 법 에 따른 장관 직무의 집행을 정할 권한을 가진다. 이 법, 또는 그 밖의 법률의 다른 조항에도 불구하고, 중앙인사처의 장은 미 국에 고용된 개인(의회도서관, 미국우정공 사, 우편규제위원회 또는 테네시밸리개발 회사에 고용된 개인은 제외한다)에 대하여 이 법 조항을 집행할 권한을 가진다. 이 항 은 최저임금의 미지급, 또는 초과근로 수당 의 미지급, 그리고 이 편 제216조제2항의 예정손해배상금에 대하여 소를 제기할 근 로자의 권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 하여서는 아니 된다.
1주 근로시간에 상업에 종사하거나 상업을 위한 물품의 제작에 종사하는 근로자, 또는 상업에 종사하거나 상업을 위한 물품의 제 작에 종사하는 기업이 사용하는 근로자에 게 사용자는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금액의 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1. 이 조에서 별도로 정하는 경우를 제외한 다음 각 목 이상의 수준 가. 2007년 5월 25일부터 60일인 날을 시작으로 시간당 5.85 달러 나. 가목의 60일부터 12개월인 날을 시 작으로 시간당 6.55 달러 다. 가목의 60일부터 24개월인 날을 시 작으로 시간당 7.25 달러 2. 근로자가 푸에르토리코 또는 버진 제도 의 가내근로자인 경우에는 규정이나 명 령으로 정하는 최저 도급제 임금 이상, 또는 그러한 최저 임금이 시행되지 아니 하는 경우에는 규정이나 명령으로 정하 는 근로자 비율·직군에 따라 시간급 최저 임금 이상인 금액으로 사용자가 채택하 는 도급제 임금. 그러한 최저 도급제 임 금 또는 사용자 채택 도급제 임금은 이 조의 규정에 따른 시간급 최저 임금에 상 응하여야 하며 이를 대신하여 지급하는 것이어야 한다. 국장 또는 국장을 대리할 권한이 있는 자는 이 호의 규정을 시행하 기 위하여 필요하거나 적절한 규정 또는 명령을 발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며, 그 러한 권한의 사례로는 푸에르토리코 또 는 버진 제도의 가내근로자가 수행하는 활동·업무에 대하여 정의할 권한, 앞과 같이 정의하는 활동·업무에 대한 최저 도 급제 임금을 설정할 권한, 그러한 최저 도급제 임금을 확정하여 공표하는 방법 및 절차를 정할 권한, 시간급 최저 임금 이상의 임금을 받아야 하는 근로자의 비 율·직군을 포함하는 사용자 채택 도급제 임금 기준을 정할 권한, "가내근로자"를 정의할 권한, 사용자·대리인·도급인·수급 인이 가내근로자에게 물품을 생산하게 하는 경우 지켜야 하는 조건을 정할 권한 등이 있으며, 앞서 열거한 사례가 그러한 권한의 일반성을 제한하지 아니한다. 3. 근로자가 미국 선박의 선원으로 고용된 자인 경우, 임금을 받는 기간 중 실제 복 무 기간(근로자가 선상에서 당직을 섰거 나 상관의 지시로 근로를 수행하거나 대 기한 기간을 포함하나, 근로 협약에 따라 제공되는 비번에 해당하는 기간은 포함 하지 아니한다)의 모든 근로시간에 대하 여 이 항의 제1호에서 정하는 시급에 따 른 보수와 동일한 금액으로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임금 이상의 금액 4. 근로자가 농업에 근로하는 경우, 제1호 에 따라 1977년 12월 31일 이후 시행하 는 최저 임금 이상의 금액
1주 근로시간에 상업에 종사하거나 상업을 위한 물품의 제작에 종사하는 근로자, 또는 상업에 종사하거나 상업을 위한 물품의 제 작에 종사하는 기업이 고용한 근로자로서, 「공정근로기준개정법 1966」, 「교육개정법 1972」 제9편[미국법전 제20편제1681조 이하], 또는 「공정근로기준개정법 1974」 에 따른 이 법의 개정으로 인하여 이 조의 적용 범위에 포함된 모든 개별 근로자(다만 제1항제5호의 적용 대상인 근로자는 제외 한다)에게 사용자는 1977년 12월 31일 이 후부터 제1항제1호에 따라 시행 중인 최저 임금 이상인 금액으로 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1. 이 조의 규정에 따라 근로자를 고용한 사용자는 직무 수행에 필요한 기술·노력· 책임이 동일하고 직무 수행을 위한 근로 조건이 유사한 동일 직무에 대하여 사업 장의 근로자에게 성별이 다른 같은 사업 장의 근로자보다 낮은 금액의 임금을 지 급하는 방법으로, 근로자를 고용한 사업 장에서 성별에 따라 근로자를 차별하여 서는 아니 되나, 그러한 임금의 차등 지 급이 1) 근속연수제, 2) 실적제, 3) 생산 량 또는 품질에 따른 소득 산정제, 또는 4) 성별이 아닌 그 밖의 요인에 기초한 격차에 따라 이루어지는 경우는 예외로 한다. 다만, 이 항을 위반하여 임금을 차 등 지급하던 사용자가 이 항의 규정 준수 를 목적으로 근로자의 임금을 삭감하여 서는 아니 된다. 2. 이 조의 규정에 따라 근로자를 고용한 사용자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노동단체 또는 그 대리인은 사용자가 이 항의 제1 호를 위반하여 근로자를 차별하도록 원 인을 제공하거나 이를 시도하여서는 아 니 된다. 3. 행정 및 집행의 목적상, 이 항을 위반하 여 근로자에게 지급하지 아니한 금액은 이 법에 따른 최저 임금 또는 초과근로 수당의 미지급액으로 본다. 4. 이 항에서 말하는 "노동단체"란 그 존재 목적의 전부 또는 일부가 고충, 노동쟁 의, 임금, 지급 금액, 근로시간, 근로 조건 등에 대하여 사용자를 상대하는 단체로 서, 근로자가 참여하는 모든 유형의 단 체, 기관 또는 근로자 대표 위원회·계획 을 말한다.
1. 이 편 제213조(다만 같은 조 제1항제1 호 및 제6항은 제외한다)의 규정에도 불 구하고, 미국 정부와의 계약 또는 그 하 청 계약에 따라 계약 용역(다만 직물류 공급 용역은 제외한다)을 제공하는 사용 자는 제41편제67장의 관리 대상이 아닌 급여를 받는 개별 근로자, 또는 이 조의 제1항제1호가 적용되지 아니하는 개별 근로자에게 이 조의 제2항에서 정하는 금액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2. 이 편 제213조(다만 같은 조 제1항제1 호 및 제6항은 제외한다)의 규정 및 제41 편제67장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미국 정 부와의 계약 또는 그 하청 계약에 따라 미국에 직물류 공급 용역을 제공하는 사 업장의 사용자는 그러한 사업장의 개별 근로자에게 제2항에서 정하는 금액 이상 의 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그러 한 사업장의 총 연간 달러화 매출액 또는 영업의 50퍼센트를 초과하는 부분이 앞 의 계약 또는 하청 계약에 따른 직물류 공급 용역의 제공으로 발생하는 경우, 해 당 사용자는 그 사업장의 개별 근로자에 게 이 조의 제1항제1호에서 정하는 금액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1. 1주 근로시간에 가정의 가사 용역에 고 용된 근로자에게는 제2항에 따라 시행 중인 임금 이상의 금액으로 임금을 지급 하여야 하며, 다만 그러한 용역에 대한 근로자 보수가 「사회보장법」 제209조제 1항제2호[미국법전 제42편제409조제1 항제6호]를 이유로 같은 법 제2편[미국 법전 제42편제401조 이하]의 목적상 임 금을 구성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그러 지 아니하다. 2. 다음 각 목에 모두 해당하는 근로자에게 는 제2항에 따라 시행 중인 임금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가. 하나 이상 가정에서의 가사 용역에 고용된 경우 나. 가목의 고용 기간이 총 8시간을 초과 하는 경우
1. 제1항제1호에서 정하는 금액 대신, 사용 자가 최초로 근로자를 고용한 날부터 연 속 첫 90일 동안 사용자는 그 근로자에게 시간당 4.25 달러 이상의 임금을 지급할 수 있다. 2. 제1항제1호에서 정하는 금액 대신, 푸에 르토리코 주지사는 제48편제2121조에 따라 설립되는 재정관리감독이사회의 승 인을 받아, 푸에르토리코의 사용자가 2016년 6월 30일 후에 최초로 고용하는 근로자에게 제1호에서 말하는 임금 이상 의 임금을 지급할 수 있는 기간을 4년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지정할 수 있다. 그러한 기간 지정에도 불구하고, 앞의 재정관리감독이사회가 제48편제 2149조에 따라 종료된 뒤에는 그러한 임 금을 계속하여 지급하여서는 아니 된다. 3. 사용자는 제1호 또는 제2호에 따라 허용 되는 임금으로 개인을 고용할 목적으로 근로자를 해고하는 어떠한 조치(근로시 간, 임금, 기타 근로 혜택을 감소하는 부 분적 해고를 포함한다)도 하여서는 아니 된다. 4. 이 항을 위반하는 사용자는 이 편의 제 215조제1항제3호를 위반한 것으로 본 다. 5. 이 항은 20세가 되지 아니한 근로자에게 만 적용하며, 다만 푸에르토리코에 적용 하는 임금의 경우에는 제2호에서 말하는 재정관리감독이사회가 제48편제2149조 에 따라 종료될 때까지 25세 미만의 근로 자를 대상으로 한다.
1. 이 조에서 별도로 정하는 경우를 제외하 고, 사용자는 1주 근로시간에 상업에 종 사하거나 상업을 위한 물품의 제작에 종 사하는 근로자, 또는 상업에 종사하거나 상업을 위한 물품의 제작에 종사하는 기 업의 근로자를 1주 40시간을 초과하여 고용하여서는 아니 되나, 그러한 근로자 가 앞의 시간을 초과하는 근로에 대하여 통상임금의 1.5배 이상인 금액으로 정해 진 수당을 받는 경우에는 그러지 아니하 다. 2. 사용자는 1주 근로시간에 상업에 종사 하거나 상업을 위한 물품의 제작에 종사 하는 근로자, 또는 상업에 종사하거나 상 업을 위한 물품의 제작에 종사하는 기업 의 근로자로서, 「공정근로기준개정법 1966」에 따른 이 법의 개정으로 인하여 이 조의 적용 범위에 포함된 근로자를 다 음 각 목의 시간을 초과하여 고용하여서 는 아니 된다. 가. 「공정근로기준개정법 1966」 시행일 부터 1년 동안은 1주 44시간 나. 앞의 시행일 2년 차 동안은 1주 42시 간 다. 앞의 시행일부터 2년이 지난 뒤에는 1주 40시간 다만, 그러한 근로자가 앞의 시간을 초과 하는 근로에 대하여 통상임금의 1.5배 이 상인 금액으로 정해진 수당을 받는 경우 에는 그러지 아니하다.
근로자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따라 근로하며, 때에 따라 1일 12시간을 초과하 는 근로 또는 1주 56시간을 초과하는 근로 에 대하여 통상임금의 1.5배 이상인 금액 으로 정해진 수당을 받는 경우, 사용자가 제1항에서 규정한 초과근로에 대한 수당을 지급하지 아니하고 같은 항에서 정하는 시 간을 초과하여 근로자를 고용하는 것은 제 1항에 대한 위반으로 보지 아니한다. 1. 노동관계위원회의 인증을 받은 근로자 대표의 단체교섭 결과, 사용자가 근로자 를 연속 26주의 기간 동안 1,040시간을 초과하여 고용할 수 없음을 규정한 협약 에 따라 고용된 경우 2. 노동관계위원회의 인증을 받은 근로자 대표의 단체교섭 결과 이루어진 협약에 따라 고용된 근로자로서, 그 협약상 근로 자의 근로시간이 연속 52주의 일정 기간 2,240시간을 초과할 수 없고, 근로자에 게 보장되는 근로시간이 1,840시간 이상 (또는 일반적 1주 근로시간으로 46주 이 상, 1주 근로시간은 30시간 이상) 2,080 시간 이하이며, 그러한 모든 보장 근로시 간과 실제 근로시간에 근로자가 수행한 근로에 대하여 그 협약에 따라 적용되는 금액 이상의 수당을 받고 제1항 또는 2,080시간의 기준 중 그 근로자에게 해 당하는 1주 최대근로시간을 초과하고 보 장 근로시간 역시 초과하는 근로시간에 대하여 그 근로자 통상임금의 1.5배 이상 인 금액으로 수당을 받는 경우 3. 다음 각 목의 조건에 모두 해당하는 석 유 제품의 도매업 또는 유통업에 종사하 는 그 소유 및 지배 형태가 독립적인 지 역 기업에 고용된 근로자로서, 그 근로자 가 1주 40시간을 초과하는 근로에 대하 여 이 편 제206조에 따른 본인 최저 임금 의 1.5배 이상인 금액으로 수당을 받는 경우 가. 그 기업의 소비세 세후 연간 총 매출 규모가 1백만 달러 미만일 것 나. 그 기업 소재 주에서 발생한 매출이 그 기업의 연간 총 달러화 매출 규모 중 100분의 75를 초과할 것 다. 재판매 목적의 석유 제품 유통업에 종사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한 매출이 그 기업의 연간 총 달러화 매출 규모 중 100분의 25를 초과하지 아니할 것
근로자가 진정한 개별 계약에 따라 근로, 또는 근로자 대표의 단체교섭 결과 이루어 진 협약에 따라 근로하는 경우, 그리고 그 러한 근로자의 직무가 불규칙한 근로시간 을 필요로 하고, 해당 계약·협약이 (1) 이 편 제206조제1항 또는 제2항에서 규정하 는 시간급 최저 임금 이상의 통상임금, 그 리고 그러한 1주 최대근로시간을 초과하는 모든 근로시간에 대하여 통상임금의 1.5배 이상인 수당을 명시하고 있으며 (2) 그러한 금액으로 명시한 임금을 바탕으로 1주 60 시간 이하 근로에 대한 임금 지급을 보장할 것을 규정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가 제1항 에 따라 근로자에게 적용하는 1주 최대근 로시간을 초과하여 근로자를 고용하는 것 은 제1항에 대한 위반으로 보지 아니한다.
근로의 수행 이전에 사용자와 근로자 간에 도출한 협약 또는 합의에 의거, 제1항에 따 라 근로자에게 적용하는 1주 최대근로시간 을 초과하는 근로자의 근로시간에 대하여 근로자가 지급받는 금액을 다음 각 호의 어 느 하나의 방법으로 산출하는 경우, 그리고 1) 제5항제1호부터 제7호에서 말하는 지급 금을 제외한 근로자의 1주 평균 시간당 소 득이 관련 법률이 요구하는 시간급 최저 임 금 이상이며 2) 추가로 지급하는 초과근로 수당을 알맞게 산출하여 이를 통상임금의 산출에 포함하는 그 밖의 추가금 형태로 지 급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제1항에 따라 근로자에게 적용하는 1주 최대근로시간을 초과하여 근로자를 고용하는 것은 제1항에 대한 위반으로 보지 아니한다. 1. 도급제 임금을 받는 근로자일 경우, 초 과근로시간이 아닌 시간에 수행하는 근 로와 동일한 근로에 대하여 적용하는 진 정한 도급제 임금의 1.5배 이상인 금액을 바탕으로 산출 2. 시간당 임금 또는 도급제 임금이 다르게 설정된 2개 종류 이상의 근로를 수행하 는 근로자일 경우, 초과근로시간이 아닌 시간에 수행하는 근로와 동일한 근로에 대하여 적용하는 진정한 임금의 1.5배 이 상인 금액을 바탕으로 산출 3. 그러한 협약 또는 합의에 따른 초과근로 수당의 산출에 이용할 기본 임금으로 그 협약 또는 합의가 설정하는 임금의 1.5배 이상인 금액을 바탕으로 산출. 다만, 그 러한 금액으로 설정한 임금은, 초과근로 수당을 제외하고, 일정 기간의 특정 근로 에 대하여 근로자가 받는 평균 시간당 소 득과 실질적으로 같은 금액임을 국장이 정하는 규정을 통하여 승인받아야 한다.
1. 제2호에서 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제5 항에 따라 통상임금에서 제외하는 금액 은 이 편 제206조에 따라 지급하여야 하 는 임금 또는 이 항에 따라 지급하여야 하는 초과근로 수당에서 공제하여서는 아니 된다. 2. 제5항제5호, 제6호 및 제7호와 같이 지 급하는 추가 수당은 이 조에 따라 지급할 수 있는 초과근로 수당에서 공제하여야 한다.
1. 소매업 또는 서비스업 근로자가 받는 통 상 금액이 이 편 제206조에 따라 해당 근로 자에게 적용되는 시간급 최저 임금의 1.5 배를 초과하고, 2. 일정 기간(1개월 미만) 동안 그 근로자가 받는 수당의 절반을 넘는 부분이 물품·서비스에 대한 실적 급여인 경 우, 사용자가 제1항에 따라 근로자에게 적 용하는 1주 최대근로시간을 초과하여 근로 자를 고용하는 것은 제1항에 대한 위반으 로 보지 아니한다. 수당 중 실적 급여에 해 당하는 부분을 정할 때, 진정한 실적 급여 임금을 적용하여 도출하는 모든 소득은 그 러한 산출 수수료가 기본 급여 또는 보장 급여를 초과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물품· 서비스에 대한 수수료로 본다.
사용자가 시설에 거주하는 환자·노인·정신 질환자·정신장애자의 돌봄을 중심으로 하 는 기관인 병원 또는 사업장의 운영에 종사 하며, 근로 수행 이전에 사용자와 근로자 간에 도출한 협약 또는 합의에 의거하여 초 과근로시간 산출의 목적상 연속 7일의 1주 대신 연속 14일의 근로 기간을 적용하고, 또한 1일 8시간을 초과하고 14일에 80시 간을 초과하는 근로에 대하여 근로자가 자 신의 통상임금의 1.5배 이상인 금액으로 수당을 받는 경우, 사용자가 제1항을 위반 한 것으로 보아서는 아니 된다.
소방 사무를 보는 근로자 또는 경찰 사무를 보는 근로자(교정 시설의 보안 인력을 포함 한다)의 근로와 관련하여 근로자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대하여 그 근로자 통상임 금의 1.5배 이상인 수준으로 수당을 받는 경우 공공기관이 제1항을 위반한 것으로 보아서는 아니 된다. 1. 연속 28일의 근로 기간에 (가) 216 시 간, 또는 (나) 1975년 중 연속 28일의 근 로 기간에 근로자가 이 항의 사무를 보는 국외 복무 기간의 평균 근로시간(「공정근 로기준개정법 1974」 제6조제3항제3호 에 따라 노동부장관이 정한다) 중 작은 값에 해당하는 시간을 초과하는 모든 국 외 복무 기간 2. 7일 이상 28일 미만의 근로 기간을 적용 하는 근로자일 경우, 그 근로자의 근로 기간 중 근로시간 대 연속근로일수의 비 율이 216시간(또는 그 미만의 시간일 경 우에는 제1호나목에서 말하는 시간) 대 28일의 비율과 같아지는 근로시간을 초 과하는 모든 국외 복무 기간
사용자는 하나 이상 가정의 가사 용역에 1 주 40시간을 초과하여 근로자를 고용하여 서는 아니 되나 근로자가 그러한 초과근로 에 대하여 제1항에 따라 수당을 받는 경우 에는 그러지 아니하다.
근로자가 다음 각 호에 모두 해당하는 경 우, 연간 총 14주를 넘지 아니하는 기간에 사용자는 제1항에서 정하는 기간을 초과하 는 주(週)에 대하여 같은 항에서 정하는 초 과근로에 대한 수당을 지급하지 아니하고 근로자를 고용할 수 있다. 1. 사용자가 다음 각 목 중 어느 하나에 해 당하는 업무를 위하여 고용하는 근로자 가. 유형 제11호, 제12호, 제13호, 제14 호, 제21호, 제22호, 제23호, 제24호, 제31호, 제35호, 제36호, 제37호(각 유형은 농무부장관이 정의한다)인 담 배 생잎의 경매 판매에 필요하고 중요 한 용역(잎 따기 및 등급 책정을 포함 한다), 또는 경매에서 그러한 담배의 판매, 매입, 관리, 줄기 제거, 재건조, 포장, 보관 등에 필요한 용역 제공 나. 유형 제32호(유형은 농무부장관이 정 의한다)인 담배 생잎의 경매 판매, 매 입, 관리, 분류, 등급 책정, 포장, 보관 등 다. 유형 제41호, 제42호, 제43호, 제44 호, 제45호, 제46호, 제51호, 제52호, 제53호, 제54호, 제55호, 제61호, 제 62호(각 유형은 농무부장관이 정의한 다)인 변질성 엽궐엽의 경매 판매, 매 입, 관리, 잎 따기, 분류, 등급 책정, 치 수 측정, 포장, 포장 전 줄기 제거 등 2. 다음 각 목에 대하여 통상임금의 1.5배 이상의 수준으로 수당을 받는 근로자 가. 사용자로 인한 1일 10시간을 초과하 는 근로 나. 사용자로 인한 1주 48시간을 초과하 는 근로 이 항에 따라 면제를 받는 사용자는 그 밖 에 이 조에 따른 면제의 대상이 되어서는 아니 된다.
시내·시외·광역 전철, 지역 전차·버스 운수 회사(그러한 철도나 운수회사가 공영·민영 인지 또는 영리·비영리로 운영되는지는 상 관하지 아니한다)의 운영에 종사하는 사용 자의 근로자인 경우에, 사용자가 운송계약 에 따른 업무에 고용하는 근로자에 대하여 1. 그러한 업무에 근로하는 것이 그 근로에 종사하기 전에 사용자와의 협약 또는 합의 에 따른 것이며 2. 그러한 업무에 근로하는 것이 그 근로자의 통상 근로의 일부가 아니 라면, 제1항의 임금을 적용하는 근로자의 근로시간을 정할 때, 운송계약에 따른 업무 에 대한 근로시간은 제외하여야 한다.
1. 주, 주의 하위행정구역, 또는 주간정부 기관인 공공기관의 근로자는 이 조에 따 라 초과근로 수당이 요구되는 매 근로시 간의 1.5배 이상인 금액에 해당하는 보상 휴가를, 이 항에 따라 초과근로 수당을 대신하여 받을 수 있다. 2. 공공기관은 다음 각 목에 모두 해당하는 경우에만 제1호에 따른 보상 휴가를 제 공할 수 있다. 가. 다음 중 어느 하나를 따르는 경우 1) 단체교섭협약, 양해각서, 또는 그 밖에 공공기관-근로자 대표 간 협 약의 해당 규정 2) 가목1)의 대상이 아닌 근로자의 경우, 근로 수행 이전에 사용자와 근로자 간에 도출한 협약 또는 합 의 나. 근로자의 누적 보상 시간이 그 근로 자에게 해당하는 제3호의 한도를 초과 하지 아니하는 경우 가목2)에서 말하는 근로자가 1986년 4 월 15일 전에 채용된 경우, 그 근로자가 초과근로 수당 대신 받는 보상 휴가와 관 련하여 1986년 4월 15일 당시 시행 중인 통상 관행은 가목2)에서 말하는 협약 또 는 합의를 구성한다. 앞 문장에서 정한 경우를 제외하고, 1986년 4월 14일 후의 근로시간에 대하여 해당 근로자의 보상 휴가 규정은 이 항을 따라야 한다. 3. 가. 보상 휴가를 제공할 수 있는 근로자 의 업무가 치안 사무, 비상 대응 사무, 또는 계절에 따른 사무를 포함하는 경 우, 그러한 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는 1986년 4월 15일 후의 근로시간에 대 하여 보상 휴가를 480시간 이하로 누 적할 수 있다. 그 밖의 업무인 경우, 해 당 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는 1986년 4월 15일 후의 근로시간에 대하여 보 상 휴가를 240시간 이하로 누적할 수 있다. 1986년 4월 15일 후에 480시간 또는 240시간의 보상 휴가를 누적한 근로자는 그 밖의 초과근로시간에 대 하여 초과근로 수당을 지급받아야 한 다. 나. 누적된 보상 휴가에 대하여 근로자에 게 수당을 지급하는 경우, 그러한 수당 은 이를 지급할 당시 근로자가 받는 통 상임금으로 지급하여야 한다. 4. 제1호에 따라 제공받을 권한을 갖는 누 적 보상 휴가가 있는 근로자가 근로를 종 료하는 때는, 사용하지 아니한 보상 휴가 에 대하여 근로자는 다음 각 호 중 큰 값 이상인 금액으로 수당을 지급받아야 한 다. 가. 해당 근로자가 최근 3년의 근로 기간 동안 받은 평균 통상임금 나. 해당 근로자가 마지막으로 받은 통상 임금 5. 주, 주의 하위행정구역, 또는 주간정부 기관인 공공기관의 근로자 중 다음 각 목 에 모두 해당하는 근로자에 대하여 보상 휴가의 이용이 공공기관의 운영을 과도 하게 저해하지 아니한다면 사용자는 근 로자의 신청을 받은 뒤 합리적인 범위 내 에서 보상 휴가를 사용하도록 허가하여 야 한다. 가. 제1호에 따라 제공받을 권한을 갖는 누적 보상 휴가가 있는 근로자 나. 그러한 보상 휴가의 사용을 신청한 근로자 6. 공공기관의 근로자가 재판 속기 업무를 수행하는 시간은 다음 각 호에 모두 해당 하는 경우 제1항의 근로시간으로 보아서 는 아니 된다. 가. 근로자가 다음 중 어느 하나 이상인 1면당 금액을 지급받는 경우 1) 해당 공공기관의 관할에 대하여 주의 법률 또는 지역 조례로 정한 최대 금액 2) 사법 또는 행정 담당관이 정하여 1995년 7월 1일에 시행하는 최대 금액 3) 속기되는 소송을 주재하는 법관 이 아닌 속기된 기록의 청구 당사 자와 근로자 간에 자유롭게 협상 한 임금 나. 그러한 직무를 수행하는 시간이 근로 자가 해당 공공기관과의 근로 관계에 따른 근로를 수행하는 시간(기관이 근 로자에게 출근하여 있을 것을 요구하 는 시간을 포함한다) 이외의 시간인 경 우 이 조의 목적상, 재판 속기 업무의 수행 에 대하여 가목에 따라 해당 근로자에게 지급한 금액은 그 근로자의 통상임금을 산출할 때 산입하여서는 아니 된다. 7. 이 항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 과 같다. 가. "초과근로 수당"이란 제1항에 따라 요구되는 수당을 말한다. 나. "보상 휴가"란 근로자가 근로하지 아 니하는 시간으로서, 근로자에게 해당 하는 주 또는 초과근로 수당의 목적상 그 밖의 근로 기간 동안 근로한 시간으 로 집계하지 아니하며 근로자의 통상 임금에 갈음하는 보상으로 주어진 시 간을 말한다.
1. 주, 주의 하위행정구역, 또는 주간정부 기관의 소방 또는 경찰 업무(교정 시설의 보안 인력을 포함한다)에 근로하는 개인 이 별도의 독립된 사용자의 소방·경찰·기 타 업무와 관련한 특별 임무에 근로하는 것을 그 개인의 선택으로 동의하는 경우, 그러한 개인을 고용하는 다음 각 목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공공기관은 이 조 에 따라 근로자가 받을 권리가 있는 초과 근로 수당을 위한 시간을 산출할 때 그 개인이 별도의 독립된 사용자를 위하여 근로하는 시간은 제외하여야 한다. 가. 소방, 경찰 또는 보안 업무에 종사하 는 근로자가 특별 임무를 수행하기 위 하여 반드시 별도의 독립된 사용자에 게 고용되어야 하는 공공기관 나. 별도의 독립된 사용자가 그러한 근로 자를 고용하도록 장려하는 공공기관 다. 별도의 독립된 사용자가 그러한 근로 자를 고용하는 조건에 그 밖의 방법으 로 영향을 미치는 공공기관 2. 주, 주의 하위행정구역, 또는 주간정부 기관인 공공기관의 근로자가 그 기관에 서 통상적으로 근로하는 직책과 다른 직 책에 해당하는 단시간 근로를, 임시로 그 리고 오직 그 근로자의 선택에 따라, 같 은 기관에서 담당하는 경우, 해당 공공기 관은 이 조에 따라 근로자가 권리를 갖는 초과근로 수당을 위한 시간을 산출할 때 근로자가 다른 직책을 수행하는 시간은 제외하여야 한다. 3. 주, 주의 하위행정구역, 또는 주간정부 기관인 공공기관에서 근로하는 모든 직 책의 개인이 그 기관에서 같은 직책으로 근로하는 다른 개인을 정규 근로시간에 대체하기로, 그 기관이 승인하고 그 개인 의 선택에 따라, 동의하는 경우, 해당 공 공기관은 이 조에 따라 근로자가 권리를 갖는 초과근로 수당을 위한 시간을 산출 할 때 근로자가 대체인력으로 근로한 시 간은 제외하여야 한다.
제1항에서 정하는 최대근로시간을 초과하 는 1주 모두 10시간 이하의 기간 중에 근로 자가 다음 각 호에 모두 해당하는 보충 교 육을 받는 경우, 사용자는 같은 항에서 정 하는 초과근로에 대한 수당을 지급하지 아 니하고 근로자를 고용할 수 있다. 1. 고등학교 졸업장이 없거나 8학년 수준 의 교육을 마치지 아니한 근로자를 대상 으로 하는 교육 2. 8학년 수준 이하의 읽기와 그 밖의 기초 기술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 3. 직무에 특정된 연수를 포함하지 아니하 는 교육
이 법에서 정하는 청문 또는 조사의 목적상, 국장, 노동부장관 및 산업위원회의 관할권, 권한 및 의무에 대하여 제15편제49조 및 제 50조(증인 출석 및 장부·문서·서류 제출 관 련)를 준용한다.
그 명령에 따라 해당 근로자가 마땅히 받아 야 하는 수당 중에서 그러한 집행정지가 효 력을 발하는 중에 실제로 수령하는 수당을 초과하는 금액을, 해당 명령이 확정되는 때 에 그 명령의 대상인 근로자에게 지급하기 로 한 보증을 법원이 인정하는 보증금과 더 불어 해당 명령에 대하여 불복하는 자가 법 원에 제출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법원은 명 령의 집행정지를 허가하여서는 아니 된다.
국장 또는 국장의 지정 대리인은 이 법의 적용 대상인 산업의 임금, 근로시간 및 그 밖의 근로조건과 실태에 대하여 조사하고 관련 자료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 법의 조 항 위반에 대한 사실 여부 확인을 위한 필 요나 해당 사항이 있는 것으로 보거나 이 법의 조항을 시행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는 방법으로 해당 장소와 기록에 접근하 여 검사(그리고 그 내용을 필사)할 수 있고, 관련 근로자를 심문할 수 있으며, 관련 사 실·조건·실태·사항에 대하여 조사할 수 있 다. 이 편 제212조 및 이 조의 제2항에서 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국장은 이 조에 따른 필수 조사 및 검사에 노동부의 사무국 과 부서 조직을 활용하여야 한다. 이 편 제 212조에서 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국장 은 이 법의 위반을 억제하기 위하여 이 편 제217조에 따른 모든 소를 제기하여야 한 다.
국장과 노동부장관은, 각 주의 노동법령 집 행을 담당하는 주 기관의 동의와 협력을 받 아, 이 법에 따른 각자의 직무와 의무를 실 행하기 위한 목적상 주·지역 기관의 서비스 와 그 직원을 활용할 수 있으며, 다른 법률 조항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목적으로 제공 된 서비스에 대하여 해당 주·지역 기관과 직원을 대상으로 비용을 사후 정산할 수 있 다.
이 법의 조항 또는 이 법에 따라 발하는 명 령의 적용 대상인 모든 사용자는 국장이 이 법의 조항 또는 이 법의 하위 규정이나 명 령의 집행을 위한 필요나 해당 사항이 있는 것으로 정하는 규정 또는 명령에 따라, 자 신이 고용한 자를 비롯하여 임금, 근로시간 및 그 밖에 자신이 정하는 근로조건과 실태 에 대한 기록을 작성·관리·보존하여야 하 며, 해당 기록을 일정 기간 보관하여야 하 고, 그에 대하여 국장에게 보고하여야 한 다. 이 편 제207조제16항제3호에서 다루 는 대체업무를 수행하는 근로자의 사용자 는 그러한 대체업무 근로시간의 기록을 이 항에 따라 관리하여야 하는 의무를 지지 아 니한다.
국장은 이 법에서 정하는 최저 임금 금액의 회피를 방지하고 이를 보호하기 위한 필요 나 해당 사항이 있는 산업상 가내근로 규율 ·제한·금지 규정 및 명령을 발할 권한을 가 지며, 산업상 가내근로에 대하여 국장이 발 한 기존의 모든 규정 또는 명령은 계속하여 온전히 시행되며 효력을 가진다.
생산자, 제조업자 또는 중개업자는 미국에 위치한 사업장으로서, 해당 사업장에서 물 품을 출고하기 전 30일 이내에 억압적 아 동 근로가 이루어진 사업장에서 생산한 물 품을 상업적으로 수송하거나 수송을 목적 으로 배달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물품 이 이 조의 요건을 준수하여 생산되었음에 대한 생산자, 제조업자 또는 중개업자의 서 면 보증에 근거하여 그러한 물품을 선의로 취득하고, 그 위반 사실에 대하여 고지 받 지 아니한 채로 그러한 물품을 유상으로 취 득한 매수인이 하는 수송 또는 수송 목적의 배달은 이 항에 따라 금지하는 것으로 보아 서는 아니 된다. 또한 다만, 여기에서 금지 하는 조건에 해당하는 물품 수송 또는 수송 목적의 배달에 대한 피고인 기소와 유죄평 결은 그 기소의 시작 전에 이루어진 해당 물품 수송 또는 수송 목적의 배달에 대하여 같은 피고인을 상대로 하는 추가 기소의 금 지사유가 된다.
노동부장관 또는 장관을 대리할 권한이 있 는 자는 미성년자 근로에 대하여 이 편 제 211조제1항에 따라 조사 및 검사를 실시하 여야 하며, 억압적 아동 근로의 존재를 이 유로 위법인 행위 또는 실례(實例)를 금지 하기 위한 이 편 제217조에 따른 모든 소를 법무부장관의 지시와 통제에 따라 제기하 여야 하고, 억압적 아동 근로와 관련한 그 밖에 모든 이 법의 조항을 시행하여야 한 다.
사용자는 상업 또는 상업 목적의 물품 생산 또는 상업이나 상업 목적의 물품 생산에 종 사하는 사업장에 억압적 아동 근로를 활용 하여서는 아니 된다.
이 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장관은 사용자가 근로자로부터 연령 증빙을 받도 록 규정으로 요구할 수 있다.
이 편 제206조(다만, 제206조제4항은 이 항 제1호의 경우 예외로 한다) 및 제207조 의 규정은 다음 각 호에 대하여 적용하지 아니한다. 1. 진정한 관리·행정·전문 직책(초중등학교 의 교육행정인력 또는 교사 직책에 고용 된 근로자를 포함한다), 또는 외판원의 직책에 고용된 근로자(앞의 각 용어는 필 요할 때마다 노동부장관이 제5편제5장제 2절의 범위에서 규정으로 정의하고 범위 를 정한다. 다만, 1주 근로시간 중 관리· 행정 업무의 수행에 직접 또는 밀접하게 관련되지 아니한 업무에 기여한 시간이 100분의 40보다 적을 경우, 그러한 활동 에 기여한 시간을 이유로 소매업 또는 서 비스업 사업장의 근로자를 진정한 관리· 행정 직책에 고용된 근로자의 정의에서 제외하여서는 아니 된다) 2. 폐지 3. 놀이공원 또는 오락시설인 사업장, 조직 캠프, 또는 종교·비영리 교육회의장인 사 업장으로서 가. 1년에 7개월을 초과하여 운영하지 아니하거나 나. 이전 연도 중 6 개월 동안 평균 영수액이 같은 연도의 나 머지 6개월 동안 평균 영수액의 백분의 33 1/3 이하인 사업장에 고용된 근로자. 다만, 이 호에서 정하는 이 편 제206조 및 제207조에 대한 면제는 내무부장관 또는 농무부장관과 체결한 계약에 따라 국립공원, 국유림 또는 국립야생보호구 역의 대지에서 서비스·시설을 제공하는 사기업(이 편 제206조에 대한 면제의 경 우 스키와 직접 관련하여 서비스·시설을 제공하는 사기업은 제외한다)의 근로자 에 대하여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4. 폐지 5. 모든 종류의 어류, 조개류, 갑각류, 해면 동물, 해조류 또는 그 밖의 수중 생물과 채소의 포획, 채취, 번식, 수확, 재배, 양 식 업무에 고용된 근로자, 또는 근로자가 일터로 오고 가는 행위와 짐을 싣고 내리 는 행위를 포함하는 해상 조업 활동의 일 환으로서, 또는 이와 관련하여, 해산물을 1차 가공, 통조림 제조, 또는 포장하는 업 무에 고용된 근로자 6.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농 업 근로자 가. 해당 근로자를 고용한 사용자가 이전 연도에 분기별 사용한 농업노동력이 500인일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경우 나. 해당 근로자가 사용자의 부모, 배우 자, 자녀 또는 그 밖에 직계가족 구성 원인 경우 다. 해당 근로자가 1) 인력수확 노동자이 며 해당 분야 고용 시장에서 도급제 임 금 지급이 관례상 일반적으로 인정되 는 활동에 대하여 도급제 임금을 받고, 2) 본인의 거주지에서 근로지인 농장 으로 매일 출근하며, 3) 이전 연도에 농업에 고용된 기간이 13주 미만인 경 우 라. 해당 근로자(앞의 다목에서 말하는 근로자는 제외한다)가 1) 16세 이하이 며 인력수확 노동자로서 해당 분야 고 용 시장에서 도급제 임금 지급이 관례 상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활동에 대하 여 도급제 임금을 받고, 2) 부모 또는 부모 역할을 하는 자와 동일한 농장에 서 근로하며, 3) 그 농장에 고용된 16 세 초과 근로자와 동일한 도급제 임금 을 받는 경우 마. 해당 근로자가 방목장의 축산업에 중 점적으로 종사하는 경우 7. 이 편 제214조에 따라 장관이 발하는 규 정, 명령, 또는 인증으로 면제 대상이 되 는 근로자 8. 판매 부수가 4,000부 미만으로 그 중 대 부분이 발행 지역 또는 그 인접 지역에 국한된 주간·반(半)주간·일간 신문의 발 행에 관련하여 고용된 근로자 9. 폐지 10. 소유 형태가 독립적이며 사무소가 750 개 이하인 공중전화회사에 고용된 교환 원 11. 폐지 12. 미국의 선박이 아닌 선박의 선원으로 고용된 근로자 13, 14. 폐지 15. 육아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사 용역에 비정규직으로 고용된 근로자 또는 자신 을 돌볼 능력이 없는(고령 또는 질병이 원인인 경우) 개인에게 돌봄 서비스를 제 공하는 가사 용역에 고용된 근로자(각 용 어는 노동부장관이 규정으로 정의하고 범위를 정한다) 16. 제5편제5545a조에 따라 추가 수당††을 받는 범죄 수사관 17. 다음 각 목 중 어느 하나를 주요 직무 로 하며, 시간급으로 수당을 받는 경우에 는 시간당 27.63 달러 이상의 금액의 수 당을 받는 컴퓨터시스템 분석가, 컴퓨터 프로그래머, 소프트웨어 기술자 또는 그 밖에 유사한 전문직 근로자 가. 사용자 상담을 포함하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시스템 기능 사양을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 분석 기술 및 절 차의 적용 나. 시험 제작 원형을 포함하여 컴퓨터 시스템 또는 프로그램을 이용자 또는 시스템 디자인 사양에 기초하여 알맞 게 설계, 개발, 문서화, 분석, 생성, 검 사 또는 변경 다. 기계 운영 체제 관련 컴퓨터 프로그 램을 설계, 문서화, 검사, 생성 또는 변 경 라. 앞의 가목, 나목 및 다목과 동일한 수 준의 전문 기술이 필요한 전술한 직무 의 조합 18. 제5편제5550조제1항에서 정의하는 국 경수비관인 근로자 19. 야구연맹 대회 기간(다만 봄철 훈련이 나 휴식 기간은 제외한다) 동안 이행한 복무에 대하여, 근로자가 야구 관련 활동 에 기여한 시간과는 상관없이, 이 편 제 206조제1항에 따라 1주 40시간 근로에 대한 최저임금과 동일한 주급 이상의 금 액으로 주급을 정한 계약에 따라 수당을 받는 야구 경기를 하는 근로자
†† (역자주) 미국 인사관리처(OPM)에 따르면, 원문의 "availability pay"란 연방 경찰 공무원 중 범죄 수사관에게 지급되는 일종의 추가 수당으로, 그 액수는 일정 한도 내에서 수사관이 받는 기본급의 25%로 정해져 있다. 출처: https://www.opm.gov/policy-data-oversight/pay-leave/pay-administration/fact-sheets/availability-pay/(방문일: 2023.09.06.)
이 편 제207조의 규정은 다음 각 호에 대하 여 적용하지 아니한다. 1. 제49편제31502조의 규정에 따라 교통 부장관이 자격 및 최대복무시간을 설정 할 권한을 갖는 근로자 2. 제49편제4단‡‡제1부의 적용을 받는 철 도운송의 운영에 종사하는 사용자의 근 로자 3. 「철도노동법」 제2편[미국법전 제45 편제181조 이하에 해당] 규정의 적용을 받는 항공사의 근로자 4. 폐지 5. 가공되지 아니한 원래 상태의 닭고기, 달걀, 크림이나 우유 등을 외부 매입 담 당으로서 고용된 사람 6. 선원으로 고용된 근로자 7. 폐지 8. 폐지 9. 본부 스튜디오가 가. 관리예산처에서 정 의하고 지정하는 인구 10만을 넘는 표준 대도시 통계 지구의 일부인 도시·마을을 제외하고 미국통계국이 발표한 가장 최 근의 10년 단위 인구 총조사 수치상의 인 구가 10만 명 이하인 도시·마을에 위치하 거나, 또는 나. 표준 대도시 통계 지구의 일부이면서도 그 지구의 중심도시로부터 최소 40 항공마일 떨어져 있는 인구 2만 5천 명 이하의 도시·마을에 위치한 라디 오 또는 텔레비전 방송국에서 진행자, 뉴 스 편집자, 또는 책임기술자로서 고용된 근로자 10. 가. 자동차, 화물차 또는 농기구의 판매 또는 서비스 제공을 중심으로 종사하 는 판매원, 부품상, 또는 기계공으로, 그러한 차량 또는 기구를 최종 구매자 에게 판매하는 사업을 중심으로 하는 비제조업 사업장에 고용된 자 나. 트레일러, 보트, 또는 항공기 판매를 중심으로 종사하는 판매원으로, 트레 일러, 보트 또는 항공기를 최종 구매자 에게 판매하는 사업을 중심으로 하는 비제조업 사업장에 고용된 자 11. 지역 배송을 하는 운전자 또는 운전자 보조로 고용된 근로자로서, 그러한 근로 자의 근로시간을 이 편 제207조제1항에 따른 해당 최대근로시간 이하로 줄이는 목적 및 효과가 있는 것으로 노동부장관 이 확인하는 이동 금액 또는 그 밖의 배 송요금제에 기초한 근로 수당을 받는 근 로자 12. 농업 근로자, 또는 영리 목적으로 소유· 운영하지 아니하거나 소작제로 운영하고 물의 공급과 저장만을 위한 도랑, 운하, 저수지, 수로 중 이전 연도에 저장용수의 최소 90%를 농업용수로 최종 활용한 곳 의 운영·관리와 관련하여 고용된 근로자 13. 농부가 단독으로 또는 다른 농부와 함 께 가축 사육의 보조자로서 종사하는 가 축 경매 운영과 관련하여 이미 근로 중인 근로자임에도 불구하고 그 농부가 농업 에 고용하는 근로자로서, 가. 1주에 농부 가 농업에 중점적으로 고용하며 나. 가축 경매 운영 관련 근로에 대하여 이 편 제 206조제1항제1호에서 정하는 금액 이상 인 임금을 받는 근로자 14. 농장 운영에 사용하는 제품 및 용역을 판매하는 근로자가 5인 이하인 사업장을 포함하여, 일반적으로 컨트리엘리베이터 §§로 인식하는 사업장의 생산 분야(노동 부장관이 내리는 정의를 따른다)에 고용 된 근로자 15. 단풍나무 수액을 설탕(정제당 제외) 또 는 시럽으로 가공하는 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 16. 가. 농부가 직접 참여하는지와 상관없 이, 과일 또는 채소를 농장으로부터 같은 주에 있는 1차 가공 또는 1차 판매 장소 로 운송 및 운송을 위한 준비, 또는 나. 농부가 직접 참여하는지와 상관없이, 과 일 또는 채소 수확에 고용된 사람을 농장 으로부터 같은 주에 있는 다른 지점으로 운송하는데 종사하는 근로자 17. 택시를 운영하는 사업에 종사하는 사 용자가 고용하는 근로자 18, 19. 폐지 20. 1주 근로시간에 소방 사무를 보는 공공 기관 근로자 또는 1주 근로시간에 경찰 사무를 보는 공공기관 근로자(교정 시설 의 보안 인력을 포함한다)로서, 해당 공 공기관이 1주 동안 소방 또는 경찰 사무 에 고용한 근로자가 5인 미만인 경우의 근로자 21. 가정의 가사 용역에 고용되어 그 가정 에 거주하는 근로자 22. 폐지 23. 폐지 24. 다음 각 목 중 어느 하나의 아동이 비 영리 교육 기관에 거주하는 동안 그 아동 의 부모 역할을 하도록 배우자와 함께 해 당 기관에 고용된 근로자로, 배우자와 함 께 해당 시설에 거주하며 별도 비용 납부 없이 그 기관으로부터 숙식을 제공받는 한편 현금가로 부부 합산 연간 1만 달러 이상의 보상을 받는 근로자 가. 고아 또는 친부모 중 한 명이 사망한 아동 나. 그 기관에 등록하여 해당 기관의 거 주 시설에 거주하는 아동 25, 26. 폐지 27. 영화관 사업장에 고용된 근로자 28. 나무 심기·관리, 목재 조사·점검·벌목, 또는 통나무나 임산물을 준비하거나 공 장·처리장·철도·기타 운송 지점으로 운송 하는 업무에 고용된 근로자로서, 그 사용 자가 해당 임업 또는 벌목업 운영에 고용 한 근로자의 수가 8인을 초과하지 아니 하는 경우의 근로자 29. 국립공원이나 국유림 내 또는 국립야 생보호구역의 대지에 위치한 놀이공원 또는 오락시설인 사업장의 근로자로서, 가. 내무부장관 또는 농무부장관과 체결 한 계약에 따라 국립공원, 국유림 또는 국립야생보호구역의 대지에서 서비스·시 설을 제공하는 사기업의 근로자이며, 나. 1주 56시간을 초과하는 근로에 대하여 통상임금의 1.5배 이상인 금액으로 정해 진 수당을 받는 경우에 해당하는 근로자 30. 제5편제5545a조에 따라 추가 수당을 받는 범죄 수사관
‡‡ (역자주) 원문의 "subtitle"은 편(title)과 장(chapter) 사이에 해당하는 수준의 대제목이다. 우리나라 법령체계에는 없지 만, 미국법전의 조문이 Title-Subtitle-Chapter-Subchapter-Part 또는 Title-Subtitle-Part-Chapter-Subchapter 등 다섯 개 이상의 수준으로 묶인 점을 감안하여, 원문의 "subtitle"을 "층계" 또는 "부분"의 의미를 갖는 단(段)으로 번역하였다.
§§ (역자주) 곡식의 건조 및 저장을 위한 대규모의 공동시설(출처: 농촌진흥청 농업용어사전)
1. 제2호 또는 제4호에서 정하는 경우를 제 외하고, 아동 근로에 대한 이 편 제212조 의 규정은 수업 시간 외의 시간에 본인이 생활하는 학군 내에서 농업에 고용된 근 로자로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 당하는 근로자에 대하여 적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가. 12세 미만으로서 1) 부모 또는 부모 역할을 하는 자가 소유한 농장에서 부 모 또는 부모 역할을 하는 자에게 고용 되었거나 2) 부모 또는 부모 역할을 하 는 자의 동의 하에, 어느 근로자에게도 (제1항제6호가목을 이유로) 이 편 제 206조제1항제5항에서 정하는 임금을 지급하여야 하는 의무를 지지 아니하 는 농장에 고용된 경우 나. 12세 또는 13세로서 1) 그 근로가 부 모 또는 부모 역할을 하는 자의 동의 하에 이루어지거나 2) 아동의 부모 또 는 부모 역할을 하는 자가 해당 근로자 가 일하는 같은 농장에 근로자로 고용 된 경우 다. 14세 이상인 경우 2. 아동 근로에 대한 이 편 제212조의 규정 은 노동부장관이 16세 미만의 아동을 고 용하기에는 특별히 위험한 것으로 판단 하고 선언하는 업무를 위하여 농업에 고 용된 16세 미만의 근로자에 대하여 적용 하여야 하며 다만, 해당 근로자가 부모 또는 부모 역할을 하는 자가 소유한 농장 에서 부모 또는 부모 역할을 하는 자에게 고용된 경우는 제외한다. 3. 아동 근로에 대한 이 편 제212조의 규정 은 영화·연극 제작 또는 라디오·텔레비전 제작에 배우·공연자로 고용된 아동에 대 하여 적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4. 가. 10세 이상 12세 미만의 개인을 고용 하는 지역에서 농업 활동에 대하여 도 급제 임금의 지급을 관례상 일반적으 로 인정하여 온 경우, 그러한 개인을 인력수확 노동자로 일정 연도의 8주 이하 동안 고용하는 것에 대하여, 사 용자 또는 사용자 단체는 이 편 제212 조의 적용에 대한 면제를 장관에게 신 청할 수 있다. 신청인이 제출한 객관 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장관이 다음의 모든 사항을 확인하지 아니하는 이상, 장관은 면제를 허용하지 아니할 수 있 다. 1) 수확하여야 하는 작물의 수확 기 간이 유독 짧으며 이 편 제212조 를 적용하는 것이 면제를 신청하 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체의 업 계에 심각한 경제적 혼란을 야기 함 2) 해당 면제의 적용 대상이 되는 개 인을 고용하는 것이 그 개인의 건 강 또는 안녕에 해롭지 아니함 3) 농약 및 기타 화학물질의 사용 수 준이 해당 면제의 적용 대상이 되 는 개인의 건강 또는 안녕에 부정 적 영향을 미치지 아니함 4) 고용할 수 있는 12세 이상의 개인 이 없음 5) 해당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체의 업계에서 16세를 초과하는 개인 의 고용 기회 중 상당 부분을 대 체하지 아니하고 전통적·실질적 으로 12세 미만의 개인을 고용하 여 옴 나. 가목에 따라 노동부장관이 내리는 면 제는 다음의 모든 사항을 요건으로 하 여야 한다. 1) 그러한 면제에 따라 고용되는 개 인을 본인이 생활하는 학군 내에 서 수업 시간 외의 시간에 고용할 것 2) 해당 개인이 그러한 고용 기간에 본인의 거주지에서 근로지인 농 장으로 매일 출근할 것 3) 그러한 면제에 따라 해당 개인을 가) 일정 연도의 6월 1일과 10월 15일 사이의 8주 이하로, 나) 장 관이 그 개인의 보호를 위하여 정 하는 그 밖의 조건을 준수하여 고 용할 것 5. 가. 이 장에서 말하는 아동 근로 규정의 시행 및 집행과 관련하여, 16세 및 17 세인 근로자가 다음에 모두 해당하는 파지묶음기계 및 종이상자압축기에 처리물을 투입하는 것은 허용하여야 하나, 이를 작동하거나 그로부터 처리 물을 배출하는 것을 허용하여서는 아 니 된다. 1) 파지묶음기계 또는 종이상자압축 기에 투입작업을 하는 16세 및 17세 근로자에게 안전한 기계 2) 투입 중에는 작동할 수 없는 기계 나. 가목의 목적상 파지묶음기계 및 종이 상자압축기는 다음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만 16세 또는 17세 근로자가 투 입작업을 하기에 안전한 것으로 본다. 1) 가) 파지묶음기계 및 종이상자압 축기가 미국표준협회의 파지 묶음기계에 대한 기준 ANSI Z245.5-1990 및 종이상자압 축기에 대한 기준 ANSI Z245.2-1992에 부합함 나) 파지묶음기계 및 종이상자압 축기가 1996년 8월 6일 후에 미국표준협회에서 채택한, 최 소한 1)가)에 언급된 기준만큼 미성년자의 안전을 보호하는 것으로 장관의 인증을 받은 관 련 기준에 부합함 2) 파지묶음기계 및 종이상자압축기 가 열쇠 잠금장치나 그 밖의 장치 를 이용한 전원 스위치를 포함하 고 있으며 18세 이상 근로자의 책 임하에 그 장치를 통제함 3) 파지묶음기계 및 종이상자압축기 를 작동하지 아니하는 때에는 해 당 파지묶음기계 및 종이상자압 축기의 전원 스위치가 꺼진 상태 로 유지됨 4) 16세 및 17세 근로자의 사용자가 파지묶음기계 및 종이상자압축기 관련 다음의 모든 사항에 대하여 공지하며 이를 게시함 가) 파지묶음기계 및 종이상자압 축기가 1)에 언급된 관련 기준 에 부합함 나) 16세 및 17세 근로자는 파지 묶음기계 및 종이상자압축기 에 투입작업만을 할 수 있음 다) 18세 미만의 근로자는 파지 묶음기계 및 종이상자압축기 를 작동하거나 배출작업을 할 수 없음 장관은 파지묶음기계 또는 종이상자 압축기에 대하여 미국표준협회가 채 택하고 1)나)에 따라 미성년자의 안전 을 보호하는 것으로 장관의 인증을 받 은 기준을 관보에 게재하여야 한다. 다. 1) 사용자는 다음의 모든 사항에 대 한 보고서를 작성하여 장관에게 제 출하여야 한다. 가) 파지묶음기계 또는 종이상자 압축기에 대한 투입작업·작동· 배출작업 도중에 근로자가 묶 음기계·압축기에 접촉하여 발 생한, 의학적 치료(응급처치는 제외한다)가 필요한 18세 미 만 근로자의 부상 나) 파지묶음기계 또는 종이상자 압축기에 대한 투입작업·작동· 배출작업 도중에 근로자가 묶 음기계·압축기에 접촉하여 발 생한 18세 미만 근로자의 사망 2) 장관은1)에 언급된 보고서를 사 용하여 가목의 시행이 아동의 안 전에 영향을 미친바 있는지를 결 정하여야 한다. 3) 앞의 1)에 언급된 보고서는 다음 의 모든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가) 사용자의 성명·전화번호·주소 를 비롯하여 사고가 발생한 근 로장소 주소 나) 사고로 부상을 입거나 사망한 근로자의 성명·전화번호·주소 다) 사고일자 라) 사고 개요 및 사고 발생 경위 마) 사고에 관련된 파지묶음기계 또는 종이상자압축기 제조자 성명 및 제품 번호 4) 앞의 1)에 언급된 보고서는 장관 에게 신속히 제출하여야 하며, 다 만 부상 또는 사망 관련 사고가 발생한 날부터 10일 이내에 하여 야 한다. 5) 장관은 1)에 언급된 사용자가 억압 적 아동 근로에 대한 이 편 제212 조의 조항 또는 이 편 제212조에 발하는 하위규정·명령을 위반하였 는지 결정하는 근거로 1)에 언급 된 보고서에만 의존하여서는 아니 된다. 장관은 그러한 결정을 내리 기 전에 이 편 제212조제2항에 따 라 조사와 검사를 실시하여야 한 다. 6) 이 목의 보고 요건은 1996년 8월 6일부터 2년이 경과한 때에 만료 된다. 6. 이 장에서 말하는 아동 근로 규정의 시 행 및 집행과 관련하여, 17세 미만의 근 로자는 공도(公道)에서 자동차 또는 트럭 을 운전할 수 없다. 17세인 근로자는 다 음 각 목에 모두 해당하는 경우에만 공도 에서 자동차 또는 트럭을 운전할 수 있 다. 가. 운전이 낮 시간에 국한된 경우 나. 근로자가 수행 업무와 관련이 있는 운전 유형에 유효한 주면허를 소지하 고 있으며 채용 당시 주행 위반 기록이 없는 경우 다. 근로자가 주정부에서 승인한 운전자 교육 과정을 성공적으로 마친 경우 라. 자동차 또는 트럭이 운전자 및 승객 을 위한 안전띠를 구비하고 있으며 자 동차 또는 트럭 운전 중에는 안전띠를 반드시 착용할 것을 근로자의 사용자 가 지시한 경우 마. 자동차 또는 트럭의 차량 총중량이 6 천 파운드를 초과하지 아니하는 경우 바. 운전이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경우 1) 자동차의 견인 2) 구역 배송 또는 구역 판매 3) 재산, 물품 또는 승객의 유료 운송 4) 긴급, 시간을 다투는 배송 5) 근로자의 사용자 물품을 고객에 게 배송(긴급, 시간을 다투는 배 송은 제외한다)할 목적으로 주 (主)근로장소에서 1일 2회를 초과 하여 출발하는 운전 6) 승객(사용자의 근로자는 제외한 다)을 운송할 목적으로 주근로장 소에서 출발하는 1일 2회를 초과 하는 운전 7) 3인을 초과하는 승객(사용자의 근로자를 포함한다)의 운송 8) 근로자의 근로장소로부터 반경 30 마일을 벗어나는 운전 사. 그러한 운전이 근로자의 업무 중 간 헐적이며 부수적인 것에 불과한 경우 사목의 목적상 "간헐적이며 부수적"이란 근로자의 1일 근로시간 중 3분의 1 이하 이며 근로자의 1주 근로시간 중 100분의 20 이하를 말한다. 7. 가. 1) 이 장에서 말하는 아동 근로 규정 의 시행 및 집행의 경우, 나목의 범위에서 신규 노동 인력을 목제 품의 가공을 위하여 기계를 사용 하는 사업장 내외부에 고용하는 것은 억압적 아동 근로로 보지 아 니한다. 2) 이 호에서 말하는 "신규 노동 인 력"이란 다음에 모두 해당하는 개 인을 말한다. 가) 14세 이상 18세 미만인 자 나) 제정법 또는 사법명령에 따라 8학년 후로는 학교 의무 출석 이 면제된 자 나. 가목에 따른 신규 노동 인력의 고용 은 다음의 모든 경우에 해당한다면 허 용하여야 한다. 1) 신규 인력이 그의 성인 친척으로 부터 감독을 받거나 그가 속한 종 교 단체의 성인 구성원으로부터 감독을 받는 경우 2) 신규 인력이 동력 목공기계를 작 동하거나 작동을 보조하지 아니 하는 경우 3) 나무 조각이나 그 밖에 날아다니 는 파편으로 인한 사고 위험의 방 지에 적절한 보호벽을 통하거나 작동 중인 기계와의 충분한 거리 유지를 통하여 신규 인력이 일터 내에서 나무 조각이나 날아다니 는 파편으로부터 보호받는 경우 4) 과도한 수준의 소음과 톱밥에 노 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개인 보호 장비를 신규 인력이 의무적으로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
이 편 제206조, 제207조 및 제212조의 규 정은 소비자에게 신문을 배달하는 근로자 또는 주로 호랑가시나무, 소나무, 삼나무 또는 기타 상록수 생목(生木)으로 이루어진 화환을 제작하는(그러한 화환 제작에 이용 될 상록수나 기타 임산물의 수확을 포함한 다) 가내근로자에 대하여 적용하여서는 아 니 된다.
이 편 제207조의 규정은 이 편 제206조제 1항제3호에서 규정하는 바와 같이 노동부 장관이 최저 임금 금액을 정할 권한이 있는 근로자에 대하여 적용하여서는 아니 되나, 이미 그러한 금액의 적용을 받는 근로자는 제외하며, 이 항의 근로자와 관련하여 노동 부장관이 특정 사안에 대하여 공청회를 거 치고 이 편 제206조제1항제3호에서 정하 는 요소를 고려한 뒤 일정 조치를 내리는 것이 경제 사정상 타당하다고 보는 경우, 노동부장관은 이 편 제207조의 조항 전체 또는 일부에 대하여 합리적 제한을 정함과 더불어 변형, 용인(容認) 및 면제를 허용하 는 규칙 또는 규정을 제정할 수 있다.
이 편 제206조, 제207조, 제211조 및 제 212조의 규정은 1주 근로시간에 외국 소재 일터 또는 미국의 주, 컬럼비아 특별구, 푸 에르토리코, 버진 제도, 「외변대륙붕토지 법***」(법률 제345호, 법령집번호 제67- 462호)[미국법전 제43편제1331조 이하] 에서 정의하는 외변대륙붕토지, 아메리칸 사모아, 괌, 웨이크섬, 에니위톡 환초, 콰잘 린 환초, 존스턴 환초를 제외한 미국의 관 할권 아래 있는 준주 소재 일터에서 복무를 수행하는 근로자에 대하여 적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이 조 제1항제6호에서 정하는 이 편 제206 조에 대한 면제는 다음에 모두 해당하는 사 업장에 고용된 근로자에 대하여 적용하여 서는 아니 된다. 1. 공동 사업 목적이 근로자를 고용하는 사 업장의 업무와 관련이 없지만 이를 실질적 으로 지원하는 다른 사업장에 대하여 지배, 피지배, 또는 공동지배 관계에 있는 사업장 2. 근로자를 고용하는 사업장과 지배, 피지 배, 또는 공동지배 관계에 있는 각 사업장 의 연간 총매출 또는 총사업 규모와 합산한 연간 총매출 또는 총사업 규모가 1천만 달 러(개별 명세 소매를 기준으로 하는 소비세 세후)를 초과하는 사업장
이 편 제207조의 규정은 다음 각 호에 모두 해당하는 근로자에 대하여 연속 52주의 기 간 중 전체 14주 이하의 기간에 적용하여 서는 아니 된다. 1. 사탕무, 사탕무 당밀 또는 사탕수수를 설탕(정제당 제외) 또는 시럽으로 가공하 는 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 2. 근로기간에 다음 각 목에 해당하는 근로 에 대하여 통상임금의 1.5배 이상인 금액 으로 수당을 받는 근로자 가. 1일 10시간 초과 나. 1주 48시간 초과 앞 문장의 목적상 52주의 기간에 산입한 주는 같은 목적으로 다른 52주의 기간에 산입할 수 없다.
장관은, 근로 기회의 축소 방지에 필요한 범위에서, 주로 서신과 전갈(傳喝)의 배달 을 위하여 고용하는 교육생, 수습근로자 및 배달원의 근로와 관련하여, 장관 규정에 의 거하여 발급하는 특별확인서를 따르고, 이 편 제206조에 따라 적용하는 최저임금보 다 낮은 임금을 지급하며, 복무 시간·횟수· 비율·기간은 장관이 별도로 정하는 한도를 준수할 것을, 규정 또는 명령으로 정하여야 한다.
1. 가. 장관은, 근로 기회의 축소 방지에 필 요한 범위에서, 이 편 제206조에 따라 적용하는 현행 임금의 100분의 85 이 상 또는 시간당 1.60 달러 이상의 금 액 중 높은 금액의 임금을 받는 전일 제 학생(나이와는 상관없으나 적용되 는 아동 근로 법률에 합치하는 경우를 말한다)의 소매업 또는 서비스업 사업 장 근로와 관련하여, 나목을 준수하도 록, 규정 또는 명령에 따라 발급하는 특별확인서로 정하여야 한다. 나. 제4호나목에서 정하는 경우를 제외 하고, 이 항에 의거하여 발급하는 확인 서에 따라 소매업 또는 서비스업 사업 장에서 전일제 학생이 근로하는 달에 해당 사업장 내 전체 근로자의 근로시 간 대비 학생 근로시간의 비율은 다음 의 어느 하나를 초과할 수 없다. 1) 「공정근로기준개정법 1974」의 시행일 전에 이 법의 적용을 받는 근로자(상업 또는 상업을 위한 물 품의 제작에 종사하는 근로자는 제외한다)를 둔 소매업 또는 서비 스업 사업장일 경우, 다음 중 가장 큰 비율 가) 직전 12개월의 기간 중 해당 하는 달의 사업장 내 전체 근 로자의 총 근로시간 대비 학생 근로시간 비율 나) 사용자의 학생 고용과 관련하 여 「공정근로기준개정법 1974」의 시행일 전에 이 조에 따른 확인서 발급에 적용하는, 해당하는 달의 사업장 내 전체 근로자의 총 근로시간 대비 학 생 근로시간의 최대 비율 다) 사업장 내 전체 근로자의 총 근로시간의 10분의 1에 해당 하는 비율 2) 「공정근로기준개정법 1974」의 시행일 이후에 최초로 이 법의 적 용을 받는 근로자(상업 또는 상업 을 위한 물품의 제작에 종사하는 근로자는 제외한다)를 둔 소매업 또는 서비스업 사업장일 경우, 다 음 중 가장 큰 비율 가) 앞의 개정법의 시행일 직전 12개월의 기간 중 해당하는 달 의 사업장 내 전체 근로자의 총 근로시간 대비 사업장 내 학생 근로시간의 비율 나) 직전 12개월의 기간 중 해당 하는 달의 사업장 내 전체 근 로자의 총 근로시간 대비 학생 근로시간의 비율 다) 사업장 내 전체 근로자의 총 근로시간의 10분의 1에 해당 하는 비율 3) 학생 근로시간 기록이 없는 소매 업 또는 서비스업 사업장일 경우,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 업장에서 직전 12개월 동안의 실 제 사례에 기초한 전체 근로자의 총 근로시간 대비 학생 근로시간 의 비율 가) 그러한 사업장이 위치한 일반 대도시 권역에 위치한 같은 사 용자의 비슷한 사업장 이 목의 1), 2) 및 3)의 목적상, "학생 근 로시간"이란 이 항에 의거하여 발급하는 확인증에 따라 소매업 또는 서비스업 사 업장에 학생을 고용한 시간을 말한다. 2. 장관은, 근로 기회의 축소 방지에 필요 한 범위에서, 이 편 제206조제1항제5호 †††에 따라 적용하는 현행 임금의 100분 의 85 이상 또는 시간당 1.30 달러 이상 의 금액 중 높은 금액의 임금을 받는 전 일제 학생(나이와는 상관없으나 적용되 는 아동 근로 법률에 합치하는 경우를 말 한다)을 농사 업무에 고용하는 것에 대하 여, 규정 또는 명령에 따라 발급하는 특 별확인서로 정하여야 한다. 3. 장관은, 근로 기회의 축소 방지에 필요 한 범위에서, 고등교육기관에 등록한 전 일제 학생(나이와는 상관없으나 적용되 는 아동 근로 법률에 합치하는 경우를 말 한다)으로서 이 편 제206조에 따라 적용 하는 현행 임금의 100분의 85 이상 또는 시간당 1.60 달러 이상의 금액 중 높은 금액의 임금을 받는 학생을 해당 기관이 고용하는 것에 대하여, 규정 또는 명령에 의거하여 발급하는 특별확인서로 정하여 야 한다. 장관은 이 호에 따라 허용되는 최저임금액이 적용되는 자가 아닌 사람 의 통상 근로 기회를 축소하는 실질적 가 능성이 이 호로 인하여 발생하지 아니하 도록 보장하기 위한 기준과 요건을 규정 으로 정하여야 한다. 4. 가. 제1호, 제2호 또는 제3호에 따라 발 하는 특별확인서는 그 발행 대상인 1 인 이상의 학생을, 방학 기간을 제외 하고, 단시간 근로 형태로 1주에 20시 간을 초과하지 아니하여 고용하여야 함을 규정하여야 한다. 나. 어느 사용자를 대상으로 제1호 또는 제2호에 따른 특별확인서의 발급 결과 해당 사용자가 이 항에 따라 발급받은 특별확인서로 고용하는 학생의 수가 6 인을 초과한다면, 그러한 학생의 고용 이 이 항에 의거하여 발급된 특별확인 서에 따라 고용된 자가 아닌 사람의 통 상 근로 기회를 축소하는 실질적 가능 성이 발생하지 아니함을 장관이 확인 하는 때를 제외하고 장관은 해당 사용 자의 학생 고용을 위한 특별확인서를 발급하지 아니할 수 있다. 어느 사용자 를 대상으로 제1호 또는 제2호에 따른 특별확인서의 발급 결과 해당 사용자 가 이 항에 따라 발급받은 특별확인서 로 고용하는 학생의 수가 6인을 초과 하지 아니한다면, 다음과 같이 한다. 1) 그러한 학생 고용이 이 항에 따라 발급하는 특별확인서로 고용하지 아니하는 사람의 통상 근로 기회 를 축소하지 아니할 것으로 사용 자가 장관에게 확인하는 경우, 장 관은 해당 사용자의 학생 고용에 대하여 제1호 또는 제2호에 따라 특별확인서를 발급할 수 있음 2) 사용자가 소매업 또는 서비스업 사업장일 경우, 제1호나목은 해당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같은 호 에 따른 특별확인서의 발급에 대 하여 적용하여서는 아니 됨 이 목의 요건은 고등교육기관의 전일 제 학생 고용을 위한 제3호에 따른 특 별확인서의 발급에 대하여 적용하여 서는 아니 되며, 다만 고등교육기관이 제3호에 따른 확인서로 학생을 고용하 였으나 같은 호 또는 그 하위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장관이 판단하는 때에 는, 해당 기관의 학생 고용을 위한 제3 호의 특별확인서 발급에 이 목의 요건 을 적용하여야 한다. 다. 확인증의 발급 대상인 사용자가 그러 한 특별확인서로 고용하는 근로자의 학생 신분과 관련하여 충분한 증거를 장관에게 제출하는 때를 제외하고 특 별확인서를 이 항에 따라 발급하여서 는 아니 된다. 라. 제1호 및 제2호에 따라 발급된 특별 확인서로 학생을 고용하는 중소기업의 서류 부담을 최소화하고 이를 장려하 기 위하여, 장관은 6인 이하로 전일제 학생을 고용하기 위하여 확인서를 신 청하는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약식 신청 양식을 규정 또는 명령으로 정하 여야 한다. 그러한 신청서는 다음의 사 항만을 요구하여야 한다. 1) 신청자인 사용자의 성명, 주소 및 사업 등의 정보 2) 신청자의 사업 개시일 정보 3) 전일제 학생의 고용이 특별확인 서로 고용하지 아니하는 자의 통 상 근로 기회를 축소하지 아니한 다는 확인
††† (역자주) 이 부분의 인용과 관련하여 주석에서 다음과 같이 부연 설명한다. 제2항제2호에서 인용하는 이 편 제206조제1항제5호는 2007년 5월 25일자 공법 제110-28호 제8편제8103조 제3항제1호나목, 법령집번호 제121-189호에 따라 이 편 제206조제1항제4호로 이동하였다. Section 206(a)(5) of this title, referred to in subsec. (b)(2), was redesignated section 206(a)(4) of this title by Pub. L. 110–28, title VIII, §8103(c)(1)(B), May 25, 2007, 121 Stat. 189.
1. 장관은, 근로 기회의 축소 방지에 필요 한 범위에서, 연령, 신체적·정신적 결함 또는 부상으로 인하여 소득·생산 능력이 손상된 개인을 특별확인서에 따라 다음 각 목의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임금으로 고용하는 것에 대하여 규정 또는 명령으 로 정하여야 한다. 가. 이 편 제206조에 따라 적용하는 최저 임금 미만 나. 확인서로 고용된 개인의 주변에서 본 질적으로 같은 유형·성질·분량의 업무 에 고용된 비장애인 근로자에게 지급 하는 수준에 상응할 것 다. 개인 생산성과 관련이 있을 것 2. 장관은 사용자가 다음 각 목 모두에 대 한 서면 보증을 장관에게 제출하는 때를 제외하고 제1호에 따른 확인서를 발급하 여서는 아니 된다. 가. 시간급을 받는 개인에 대하여, 제1호 에 따라 지급하는 임금을 사용자가 최 소 6개월 1회의 주기로 검토할 예정 나. 제1호에 따라 지급하는 임금은, 해당 지역에서 본질적으로 같은 유형의 업 무에 고용된 숙련 비장애인 개인에게 일반적으로 지급하는 임금의 변동을 반영하도록, 사용자가 최소 연 1회의 주기로 조정할 예정 3. 제1호에도 불구하고, 이 항에 따른 확인 서로 정하여 1986년 6월 1일 당시 시행 중인 장애인 대상 시간당 임금을 앞의 날 부터 2년의 기간에 사용자가 장관의 사 전 승인 없이 삭감하는 것은 허용되지 아 니한다. 4. 이 조는 사용자가 장애인 고객을 대상으 로 치료적 활동을 제공하는 작업 활동 센 터의 운영 또는 설립을 금지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5. 가. 이 항의 다른 조항에도 불구하고, 이 항에 따라 정해진 특별 최저임금을 받 는 근로자 또는 그러한 근로자의 부모 나 후견인은 그러한 특별 최저임금액 에 대한 심사를 구할 것을 장관에게 청원할 수 있다. 근로자 또는 근로자 의 부모나 후견인은 해당 근로자를 위 하여 또는 해당 근로자를 비롯하여 사 정이 비슷한 다른 근로자를 위하여 그 러한 청원을 제기할 수 있다. 근로자 또는 근로자의 부모나 후견인이 그러 한 조치의 당사자가 되는 것에 대하여 서면으로 동의하고 그 동의서가 장관 에게 제출된 때를 제외하고 근로자는 당사자가 될 수 없다. 나. 가목에 따라 제기된 청원을 접수한 장관은 10일 이내로 해당 청원을 제5 편제3105조에 따라 임명하는 행정법 판사에게 배정하여야 한다. 행정법 판 사는 배정일부터 30일 이내에 해당 청 원에 대하여 제5편제554조에 따라 기 록하는 청문을 진행하여야 한다. 다. 그러한 절차에서 사용자는 특별 최저 임금액이 근로 기회의 축소 방지에 필 요하여 정당함을 입증하여야 할 책임 을 진다. 라. 다목에 따라 특별 최저임금이 정당한 지 결정할 때, 행정법 판사는 다음을 모두 고려하여야 한다. 1) 청원에 명시된 근로자의 생산성 및 그러한 생산성을 측정한 조건 2) 주변의 다른 사용자를 위하여 본 질적으로 동일한 유형·성질의 업 무를 수행하는 다른 근로자의 생 산성 마. 행정법 판사는 나목에서 정하는 청문 이후 30일 이내로 결정을 내려야 한 다. 그러한 조치는 장관이 30일 이내 에 행정법 판사의 결정에 대한 심사 요 청을 승인하지 아니하는 이상 최종기 관조치로 본다. 청원인 또는 사용자는 행정법 판사의 결정이 내려진 날부터 15일 이내로 장관에게 심사를 요청할 수 있다. 바. 장관은 심사 요청을 접수한 날부터 30일 이내로 기록을 검토하여 행정법 판사의 결정을 채택하거나 예외 결정 을 내려야 한다. 행정법 판사의 결정 은, 예외 결정과 더불어, 최종기관조치 로 본다. 사. 최종기관조치는 제5편제7장에 따른 사법심사의 대상이 된다. 그러한 심사 를 구하는 조치는 바목에서 말하는 최 종기관조치의 30일 이내로 제기하여 야 한다.
장관은 초중등학교의 소속 학생 고용과 관 련하여 그러한 고용이, 장관이 정하는 규정 에 따라 결정하는 바와 같이, 해당 학교에 서 제공하는 통상 교육 프로그램의 핵심 부 분을 구성하며 적용되는 아동 근로 법률에 합치한다면, 이 편 제206조 및 제207조를 적용하지 아니함을 규정 또는 명령으로 정 할 수 있다.
1. 물품의 생산 과정에서 이 편 제206조 또 는 제207조를 위반하거나 이 편 제214 조에 따라 장관이 발하는 규정 또는 명령 을 위반하여 근로자 고용이 이루어진 물 품을 상업적으로 운송, 운송 청약, 수송, 배달 또는 판매하거나, 해당 물품을 상업 적으로 수송, 배달, 또는 판매할 의도가 있음을 알면서도 이를 수송, 배달 또는 판매. 다만, 이 법의 조항은 공공운송인 이 생산하지 아니한 물품을 통상적 사업 활동으로서 상업적으로 운송하는 공공운 송인에 대하여는 어떠한 책임도 부과하 여서는 아니 되며, 이 법의 조항은 운송 을 위하여 물품을 수령하여야 하는 공공 운송인의 의무를 면제하여서는 아니 된 다. 또한 다만, 물품이 이 법의 요건을 준 수하여 생산되었음에 대한 생산자의 서 면 보증에 근거하여 그러한 물품을 선의 로 취득하고, 그 위반 사실에 대하여 고 지 받지 아니한 채로 그러한 물품을 유상 으로 취득한 매수인이 하는 물품의 운송, 청약, 수송, 배달 또는 판매를 불법으로 보아서는 아니 된다. 2. 이 편 제206조 또는 제207조를 위반하 거나, 이 편 제214조에 따라 장관이 발하 는 규정 또는 명령의 조항을 위반 3. 근로자가 이 법에 따라 또는 그와 관련 하여 신고서를 제출하였거나 소송을 개 시하였거나 그러한 소송의 개시를 초래 하였거나, 그러한 소송에서 증언하였거 나 증언할 예정이거나, 산업위원회에서 복무하였거나 복무 예정임을 이유로 해 당 근로자를 해임 또는 그 밖의 방법으로 차별 4. 이 편 제212조의 조항을 위반 5. 이 편 제211조제3항, 또는 이 편 제211 조제4항에 따라 제정하거나 계속하여 시 행하는 규정 또는 명령의 조항을 위반하 거나, 같은 조 또는 그 하위 규정이나 명 령의 조항에 따라 제출하거나 관리하여 야 하는 진술서, 보고서 또는 기록이 그 내용상 허위임을 알면서도 그 진술서, 보 고서 또는 기록을 작성 6. 이 편 제218d조에서 정한 바를 위반
이 편 제215조의 조항을 의도적으로 위반 하는 자는 그에 대하여 유죄평결을 받는 때 에는 1만 달러 이하의 벌금 또는 6개월 이 하의 징역에 처하거나, 벌금과 징역을 병과 한다. 이전의 범죄에 대하여 이 항에 따라 유죄평결을 받은 자가 그 이후에 저지른 범 죄를 제외하고는 누구도 이 항을 근거로 수 감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 편 제206조 또는 제207조의 조항을 위 반하는 사용자는 해당 근로자를 상대로 근 로자의 미지급 최저임금 또는 미지급 초과 근로 수당에 해당하는 금액을 비롯하여 추 가로 그와 동일한 금액의 예정손해배상금 에 대한 책임을 진다. 이 편 제215조제1항제3호의 조항을 위반 하는 사용자는, 제한 없이 고용, 복직, 승진 및 손실 임금을 비롯하여 추가로 그와 동일 한 금액의 예정손해배상금 지급 등, 이 편 제215조제1항제3호의 목적을 시행하는 데 적합한 법률상 또는 형평법상 구제의 책임 을 진다. 이 편 제203조제13항제2호나목의 조항을 위반하는 사용자는 해당 근로자를 상대로 사용자가 받은 봉사료 공제와 사용자가 위 법하게 보관한 모든 봉사료의 합계 금액을 비롯하여 추가로 그와 동일한 금액의 예정 손해배상금에 대한 책임을 진다. 앞의 여러 문장에서 정한 손해배상금을 회 수하기 위한 소송은 사용자(공공기관을 포 함한다)를 상대로 하여 관할 연방 또는 주 법원에 1인 이상의 근로자가 자신을 당사 자로 하여 또는 사정이 비슷한 다른 근로자 를 위하여 진행할 수 있다. 근로자가 그러한 소송의 당사자가 되는 것 에 대하여 서면으로 동의하고 그 동의서가 해당 소가 제기된 법원에 제출된 때를 제외 하고는 근로자가 소송의 원고가 되어서는 아니 된다. 해당 소송을 담당하는 법원은 원고에게 내 리는 판결과 더불어, 피고가 지급하여야 하 는 합리적 변호사 수임료, 그리고 소송 비 용을 허용하여야 한다. 이 항에 따라 근로자가 직접 또는 대신하여 소를 제기할 권리 및 근로자가 그러한 소송 의 원고가 될 권리는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이 편 제217조에 따른 소송의 일 환으로 노동부장관이 소장을 제출하는 때 에 소멸한다. 1. 이 항에 따라 지급 책임을 지는 사용자 가 이 편 제206조 또는 제207조에 따라 근로자에게 지급하여야 하는 미지급 최 저임금액 또는 미지급 초과근로 수당 지 급의 재차 지연에 대한 억제를 구하는 경 우 2. 이 편 제215조제1항제3호의 위반 혐의 로 인하여 법률상 또는 형평법상 구제를 구하는 경우
장관은 이 편 제206조 또는 제207조에 따 라 근로자가 받아야 하는 미지급 최저임금 또는 미지급 초과근로 수당의 지급을 감독 할 권한을 가지며, 근로자가 그러한 지급금 을 받아들인다는 동의는 전액 지급이 이루 어지는 때에 해당 근로자가 미지급 최저임 금이나 미지급 초과근로 수당을 비롯하여 추가로 그와 동일한 금액의 예정손해배상 금에 대하여 이 조 제2항에 따라 가질 수 있는 근로자의 권리 포기를 구성한다. 장관은 미지급 최저임금 또는 초과근로 수 당의 금액을 비롯하여 그와 동일한 금액의 예정손해배상금을 회수하기 위하여 관할 법원에 소를 제기할 수 있다. 제2항의 첫 번째 문장에서 정한 손해배상 금을 회수하기 위하여 근로자가 직접 또는 대신하여 소를 제기하고 근로자가 그러한 소송의 원고가 될 제2항의 권리는, 제2항 에 따라 책임을 지는 사용자가 해당 근로자 에게 지급하여야 하는 이 편 제206조 및 제 207조에 따른 미지급 최저임금 또는 미지 급 초과근로 수당 또는 이 항에서 정하는 예정손해배상금이나 그 밖의 손해배상금을 회수하고자 이 항에 따라 제기하는 소의 일 환으로서 장관이 소장을 제출하는 때에 소 멸하여야 하나, 장관의 신청으로 해당 소가 각하된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 하다. 이 항에 따라 노동부장관이 근로자를 대신 하여 회수한 금액은 특별예금계좌에 보유 하여야 하며, 노동부장관의 명령에 따라 해 당 근로자에게 직접 지급하여야 한다. 그러한 방법으로 지급이 불가능함을 이유 로 3년 이내에 근로자에게 지급하지 아니 한 금액은 미국 국고에 기타수입으로 귀속 하여야 한다. 1947년의 「출퇴근법‡‡‡」 제6조제1항[미 국법전 제29편제255조제1항]에서 정하는 소멸시효의 목적상 이 항에 따른 노동부장 관의 소송이 개시된 때를 결정할 때에, 개 인 청구인의 경우에는 소장에 원고로서 그 이름이 기재되어 있다면 그 소장을 제출한 날, 또는 그 이름이 그와 같이 기재되지 아 니하였다면 이후 해당 소송에 원고로서 이 름을 추가하여 올린 날에 개시된 것으로 보 아야 한다. 이 항에서 말하는 권한 및 요건은 이 편 제 203조제13항제2호나목의 위반에 대하여 도 적절히 적용하여야 하며, 사용자는 사용 자가 받은 봉사료 공제와 사용자가 위법하 게 보관한 모든 봉사료의 합계 금액을 비롯 하여 추가로 그와 동일한 금액의 예정손해 배상금에 대한 책임을 진다.
‡‡‡ (역자주) 원문의 명칭이 "Portal-to-Portal Act"인 이 법은, 「공정근로기준법 1938」의 제정 이후 늘어난 사용자 부담 완 화를 목적으로 한다. 이 법 제4조제1항은 근로자의 출퇴근 활동(도보, 차량, 이동)과 주업무의 전후에 활동에 대하여 사 용자가 보상할 의무가 없음을 규정하였다. 이 법의 명칭에 사용된 portal-to-portal은 "(출발지) 문에서 (도착지) 문까지"라 는 의미로, 법률 제목을 직역하자면 "문에서 문으로 법"이지만, 법률의 내용을 고려하여 "출퇴근법"으로 의역하였다.
1956년 8월 8일을 전후로 개시된 소송 또 는 절차에서, 사용자는 이 법 또는 1947년 의 「출퇴근법」[미국법전 제29편제251 조 이하]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장관이 다 음 각 호의 업무에 적용하는 최저임금을 정 하기 전의 시기에 그러한 업무의 어느 하나 에 대하여 이 법 또는 앞의 법 조항을 준수 하지 아니하였음을 이유로 이 법 또는 앞의 법에 따른 책임 또는 처벌의 대상이 되지 아니한다. 1. 이 편 제213조제6항의 면제가 적용되는 사업장에서 그 이전 또는 이후에 수행한 업무 2. 제4항에 대한 이 개정의 시행일 전에 괌, 파나마 운하 지대 또는 웨이크섬에서 수 행한 업무 3. 이 편 제206조제1항제3호§§§에서 열거 하는 미국령에서 수행한 업무
§§§ (역자주) 이 부분의 인용과 관련하여 주석에서 다음과 같이 부연 설명한다. 제4항제3호에서 말하는 '이 편 제206조제1항제3호'는 2007년 5월 25일의 공법 제110-28호 제8편제8103조 제3항제1호나목, 법령집번호 제121-189호로 폐지되었고 기존의 이 편 제204조제1항제4호가 제206조제1항 제3호로 이동하였다. Section 206(a)(3) of this title, referred to in subsec. (d)(3), was repealed and section 206(a)(4) of this title was redesignated section 206(a)(3) by Pub. L. 110–28, title VIII, §8103(c)(1)(B), May 25, 2007, 121 Stat. 189.
1. 가. 아동 근로와 관련하여 이 편 제212 조 또는 제213조제3항의 조항 또는 앞의 조항에 따라 발하는 규정을 위반 하는 자는 다음의 어느 하나를 초과하 지 아니하는 과징금 부과 대상이다. 1) 해당 위반이 대상으로 하는 근로 자 1인당 11,000 달러 2) 18세 미만 근로자의 사망 또는 심 각한 상해를 초래한 위반 1회당 50,000 달러, 그리고 그 위반이 상습적 또는 의도적 위반일 때에 는 그 2배 나. 가목의 목적상, "심각한 상해"란 다음 의 어느 하나를 말한다. 1) 감각(시각, 청각, 미각, 후각, 촉 각) 중 어느 하나의 영구 손실 또 는 현저한 손상 2) 팔, 다리, 발, 손 또는 기타 신체 부위의 전부 또는 일부의 손실과 같이, 신체 일부, 장기 또는 지능 의 영구 손실 또는 현저한 손상 3) 팔, 다리, 발, 손 또는 기타 신체 부위의 움직임 또는 기동성을 잃 게 하는 영구 마비 또는 현저한 손상 2. 임금과 관련하여 이 편 제206조 또는 제 207조를 상습적 또는 의도적으로 위반하 는 자는 위반 1회당 1,100 달러 이하의 과징금 부과 대상이다. 이 편 제203조제 13항제2호나목을 위반하는 자는, 제2항 에서 언급하는 바와 같이, 위법하게 보관 한 모든 봉사료를 비롯하여 추가로 그와 동일한 금액의 예정손해배상금을 근로자 에게 지급할 책임과는 별도로, 장관이 적 절하다고 판단하는 때에는 위반 1회당 1,100 달러 이하의 과징금 부과 대상이 된다. 3. 이 항에 따른 과징금의 액수를 결정하는 때에는, 기소된 자의 사업 규모와 위반의 정도에 대한 해당 과징금의 적정성을 고 려하여야 한다. 이 항에 따른 과징금의 액수가 최종 확정된 때에는 이를 다음의 각 목과 같이 할 수 있다. 가. 기소된 자에게 미국이 지급하여야 하 는 금액에서 공제 나. 관할 법원에 장관이 노동부 법무관을 대리자로 하여 제기하는 민사소송을 통하여 회수 다. 이 편 제215조제1항제4호에 대한 위 반 또는 이 편 제215조제1항제2호에 대한 상습적 또는 의도적 위반에 대하 여 제기된 소송에서, 장관에게 납부할 것을 법원이 명령 4. 장관이 이 항에 따른 과징금 액수에 대 하여 내리는 행정 결정은 종국적이며 다 만, 위반으로 기소된 자가 그 결정에 대 한 고지서를 배달증명 우편으로 받은 뒤 15일 이내에 과징금 부과 대상인 위반이 발생하였다는 결정에 대하여 이의를 제 기하는 때에는, 과징금에 대한 최종 결정 은 제5편제554조 및 장관이 공표하는 규 정에 따라 청문을 거친 뒤 행정소송을 통 하여 내려야 한다. 5. 이 편 제212조의 위반에 대하여 징수하 는 과징금을 제외하고, 이 조에 따라 벌 칙으로서 징수하는 금액은, 이 편 제9a조 의 조항에 따라, 위반 사실에 대하여 결 정을 내리고 벌칙을 정하여 징수하는 데 든 비용의 환급에 사용하여야 한다. 이 편 제212조의 위반에 대하여 징수하는 과징금은 국고의 일반기금으로 납입하여 야 한다.
1949년 7월 20일 전에 수행한 초과근로에 대하여 1949년 7월 20일 전에 지급한 수당 이 현행 「공정근로기준법 1938」 제7조제4 항제6호·제7호 및 제7조제7항[미국법전 제 29편제207조제4항제6호·제7호, 제7항]이 그 지급 당시 시행 중이었다면 지급하여야 했 을 수당과 최소한 동일하였다면, 사용자가 근 로자에게 그러한 근로 기간에 대한 보상을 지 급하지 아니하였음을 이유로 해당 사용자가 현행 「공정근로기준법 1938」[미국법전 제 29편제201조 이하]에 따른 책임 또는 처벌 (1950년 1월 24일을 전후로 개시된 소송 또 는 절차에 해당하는 때를 말한다)의 대상이 되어서는 아니 된다.
지방 법원은, 파나마 운하 지대 미국지방법 원, 버진 제도 지방법원 및 괌 지방법원과 더 불어, 이 편 제215조제1항제2호의 위반에 대 하여 이 법에 따라 근로자에게 지급하여야 하 는 것으로 법원이 판결하는 최저임금 또는 초 과근로 수당 지급(다만, 이 편 제255조에 따 라, 위반 억제를 위한 소송의 개시 당시, 근로 자에 의한 회수가 금지되는 금액은 제외한 다)의 미지급에 대한 억제와 같이, 이 편 제 215조에 대한 위반을, 그 사유가 입증된 때 에는, 억제할 관할권을 가진다.
1. 제5편제5102조제3항제7호에서 말하는 유형의 근로에 종사하는 파나마 운하 지 대 내의 연방정부 근로자 2. 군대 관할의 예산외 자금 기관에 고용된 근로자
장관이 공표하는 규정에 따라, 이 법의 적 용을 받는 사용자는 개별 근로자에게 채용 시(또는 기존의 근로자에게는 2013년 3월 1일 전에) 다음 각 호 모두에 대하여 서면 으로 고지하여야 한다. 1. 거래소****의 존재 및 거래소에서 제공하 는 서비스 설명과 더불어 근로자가 도움 을 요청하기 위하여 거래소에 연락할 수 있는 방법 등을 근로자에게 알림 2. 사용자 보험에서 제공하는 혜택의 전체 허용금액 중 사용자 부담금이 해당 금액 의 60 퍼센트 미만일 때로서, 근로자가 거래소를 통하여 요건을 갖춘 건강보험 을 구매하는 때에, 해당 근로자는 제26편 제36B조에 따른 보험료 세액공제를 비 롯하여 제42편제18071조에 따른 비용분 담할인에 대한 자격을 가질 수 있음 3. 근로자가 거래소를 통하여 요건을 갖춘 건강보험을 구매하는 때에, 해당 근로자 는 사용자가 제공하는 건강보험상품의 사용자 분담금(해당하는 경우로 한정한 다)을 잃을 수 있으며 그러한 분담금의 전부 또는 일부는 연방 소득세 목적상 소 득에서 제외할 수 있음
제1항은 각 주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2013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사용자는 근로자(또는 근로자의 요청을 받 아 행동하는 개인)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 나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근로자를 해임하 거나 근로의 수당, 조건, 또는 그 밖의 혜택 과 관련하여 어떠한 방법으로도 차별하여 서는 아니 된다. 1. 제26편제36B조에 따른 세액공제 또는 제42편제18071조에 따른 지원금을 수령 함 2. 이 편††††(또는 이 편††††에 따른 개정)의 조항에 대한 위반, 또는 근로자가 합리적 으로 볼 때 위반인 행위 또는 부작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연방정부 또는 주 법무장관에게 제공하거나, 제공되도록 하거나, 제공 또는 제공되도록 할 예정임 3. 그러한 위반에 대한 소송에서 증언하거 나 증언할 예정임 4. 그러한 소송에 지원 제공 또는 참여하거 나 지원 제공 또는 참여할 예정임 5. 근로자(또는 다른 근로자)가 합리적으로 볼 때 이 편††††(또는 그 개정), 또는 이 편††††(또는 그 개정)에 따른 명령, 규칙, 규정, 기준 또는 금지의 조항을 위반하는 활동, 정책, 행위 또는 임무에 반대하거 나 참여를 거부함
1. 통칙 사용자가 이 조를 위반하여 자신을 해임 하였거나 그 밖의 방법으로 차별하였다 고 생각하는 근로자는 제15편제2087조 제2항에서 정하는 절차, 통지, 입증책임, 구제방법, 시효 등을 준수하여 구제를 구 할 수 있다. 2. 권리에 대한 제한 없음 이 조는 연방⋅주 법률 또는 단체교섭협약 에 따른 근로자의 권리, 특권 또는 구제 방법을 축소하는 것으로 보아서는 아니 된다. 이 조의 권리 및 구제방법은 어떠 한 근로 협약, 정책, 형태 또는 조건으로 도 포기할 수 없다.
사용자는 다음 각 호를 모두 제공하여야 한 다. 1. 근로자 자녀의 출산 이후 1년 동안 수유 중인 자녀를 위하여 근로자가 유축할 필 요가 있을 때마다 그 근로자의 유축을 위 한 합리적 휴게 시간 2. 외부에서 보이지 아니하며 다른 직원과 대중의 출입으로부터 자유로운 상태에서 근로자가 유축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실 이외의 장소
1. 통칙 제2호의 조건에 따라 사용자는, 연방법이 나 주법 또는 지방 조례에서 달리 요구하 지 아니하는 이상, 제1항제1호에 따른 휴 게 시간을 제공받은 근로자가 1일 근로 시간 중에 같은 호의 목적상 사용한 시간 에 대하여 그 근로자에게 보상할 의무를 지지 아니한다. 2. 업무로부터의 분리 제1항제1호에 따라 제공하는 휴게 시간 을 통틀어 근로자가 업무로부터 온전히 분리되지 아니하였을 때는 그 휴게 시간 을 근로 시간으로 본다.
사용자 사업의 규모·재원·성격·구조를 고려 할 때 이 조의 요건이 사용자에게 중대한 어려움 또는 비용을 초래하여 과도한 부담 을 지우는 경우, 50인 미만의 근로자를 고 용한 사용자는 이 조에서 정하는 요건의 적 용을 받지 아니한다.
1. 통칙 항공운송사에 해당하는 사용자는 그 항 공운송사의 승무원인 근로자에 대하여 이 조에서 정하는 요건의 적용을 받지 아 니한다. 2. 정의 이 항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 각 목과 같다. 가. 항공운송사 "항공운송사"에 대하여는 제49편제 20102조에서 내리는 정의를 따른다. 나. 승무원 "승무원"에 대하여는 연방규정 제14 편제1.1조(또는 그 후속 규정)에서 내 리는 정의를 따른다.
1. 통칙 제2호에서 정하는 바를 제외하고, 철도운 송사에 해당하는 사용자는 이 조의 적용 을 받는다. 2. 일부 근로자 철도운송사에 해당하는 사용자는, 그 철 도운송사 근로자 중 동력차나 철도차량 의 운행과 관련한 업무를 보는 철도승무 원 또는 철도부지를 관리하는 근로자에 대하여 이 조에서 정하는 요건의 적용을 받는다. 다만, 이 조 요건의 준수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와 같이 하지 아니할 것을 조건으로 한다. 가. 제1항제1호에 규정된 휴게 시간의 제 공으로 인한 승무원 인력의 증원, 좌석 의 탈거(脫去)나 개량 또는 동력차나 철도차량의 변경이나 개량 등, 사용자 가 중대한 비용을 부담하도록 요구 나. 철도부지를 관리하는 근로자인 사람 에게 안전하지 아니한 환경을 조성 3. 중대한 비용 제2호가목의 목적상, 커튼이나 그 밖의 가림막 설치와 같이 동력차나 철도차량 을 변경하거나 개량하는 것은 중대한 비 용으로 보지 아니한다. 4. 정의 이 항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 각 목과 같다. 가. 철도부지를 관리하는 근로자 "철도부지를 관리하는 근로자"란 제 49편제20102조제4호다목에 해당하 는 철도 안전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근로자를 말한다. 나. 철도운송사 "철도운송사"란 이 편 213조제2항제2 호에 해당하는 사용자를 말한다. 다. 철도승무원 "철도승무원"에 대하여는 연방규정 제 49편제2단제2장(또는 그 후속 규정) 에서 내리는 정의를 따른다.
1. 통칙 제2호에서 정하는 바를 제외하고, 여객버 스 운송사업자에 해당하는 사용자는 이 조에서 정하는 요건의 적용을 받는다. 2. 여객버스의 운행과 관련한 업무를 담당 하는 근로자 여객버스 운송사업자에 해당하는 사용자 는, 그 여객버스 운송사업자의 근로자 중 여객버스의 운행과 관련한 업무를 담당 하는 근로자에 대하여 이 조에서 정하는 요건의 적용을 받는다. 다만, 이 조 요건 의 준수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와 같 이 하지 아니할 것을 조건으로 한다. 가. 좌석의 탈거나 개량, 여객버스의 변 경이나 개량, 또는 예정에 없던 정차 등, 사용자가 중대한 비용을 부담하도 록 요구 나. 여객버스 운송사업자의 근로자 또는 여객버스 탑승객에게 안전하지 아니한 환경을 조성 3. 중대한 비용 제2호가목의 목적상, 다음 각 호는 중대 한 비용으로 보지 아니한다. 가. 근로자가 커튼이나 그 밖의 가림막을 요청하여 커튼이나 그 밖의 가림막을 설치하는 정도로 여객버스를 변경하거 나 개량하는 행위 나. 근로자가 유축을 위하여 예정된 정차 시간을 사용하는 행위 4. 정의 이 항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 각 목과 같다. 가. 여객버스, 여객버스 운송사업 "여객버스"와 "여객버스 운송사업"에 대하여는 「여객버스 안전강화법 2012」 제32702조(미국법전 제49편 제31136조 주석)에서 내리는 정의를 따른다. 나. 여객버스 운송사업자 "여객버스 운송사업자”란 여객버스 운 송사업을 제공하는 기업을 말한다.
1. 통칙 제2호에서 정하는 바를 제외하고, 제1항 제2호의 위반에 대하여 이 편 제216조제 2항에 따라 소를 제기하기 전에, 근로자 는 다음 각 목의 모두와 같이 하여야 한 다. 가. 같은 항에서 규정한 장소를 제공하지 아니한 사실을 그 근로자의 사용자에 게 통보 나. 사용자가 그 근로자를 위하여 같은 항의 규정을 이행하도록 앞의 통보를 한 날부터 10일의 기간을 제공 2. 예외 제1호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 하는 때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가. 근로자가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한 다는 이유로 해임된 때 1) 근로자가 제1항에서 규정한 휴게 시간이나 장소를 요청한 경우 2) 근로자가 이 조와 관련한 사용자 의 행위에 반대한 경우 나. 사용자가 제1항제2호에서 규정한 장 소를 제공할 의사가 없음을 표시한 때
1. 보호 정도가 더 큰 법령 이 조는, 이 조에서 규정한 보호의 수준 보다 더 큰 정도로 근로자 보호를 규정한 주법 또는 지방 조례에 우선하지 아니한 다. 2. 제49편의 우선 규정에 영향 없음 이 조는 제49편제4단, 제5단 또는 제7단 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주법 또는 지방 조례에 대하여 우선하는 규정에 영향을 주지 아니한다.
이 법의 특정 조항 또는 특정 사람·상황에 대 한 해당 조항의 적용이 무효로 판결되어도, 이 법의 나머지 조항 및 그 밖의 사람·상황에 대한 해당 조항의 적용은 그로 인하여 영향을 받지 아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