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유언법(제1조~제6조)

법률 제352호, 2016.12.1., 개정

Short title

1.

This Act may be cited as the Wills Act.

Interpretation

2.

In this Act, unless the context otherwise requires — “internal law”, in relation to any territory or state, means the law which would apply in a case where no question of the law in force in any other territory or state arose; “personal estate” shall extend to leasehold estates and other chattels real, and also to moneys, shares of Government and other funds, securities for money, not being real estates, debts, choses in action, rights, credits, goods and all other property whatsoever which by law devolves upon the executor or administrator, and to any share or interest therein; “real estate” shall extend to messuages, lands, rents and hereditaments, whether corporeal, incorporeal or personal, and to any undivided share thereof and to any estate, right or interest, other than a chattel interest, therein; “state” means a territory or group of territories having its own law of nationality; “will” includes a testament and an appointment by will or by writing in the nature of a will in exercise of a power and also a disposition by will and testament and any other testamentary disposition.

Property disposable by will

3.—

(1)

Subject to the provisions of this Act, every person may devise, bequeath or dispose of by his will, executed in the manner required under this Act, all real estate and all personal estate which he shall be entitled to either at law or in equity at the time of his death.

(2)

The power given under subsection (1) shall extend to — (a) all estates pur autre vie, whether there shall or shall not be any special occupant thereof, whether the same shall be a corporeal or an incorporeal hereditament, and whether the same shall be freehold or of any other tenure; (b) all contingent, executory or other future interests in any real or personal estate, whether the testator may or may not be ascertained as the person or one of the persons in whom the same respectively may become vested, and whether he may be entitled thereto under the instrument by which the same respectively were created or under any disposition thereof by deed or will; (c) all rights of entry for conditions broken and other rights of entry; and (d) such of the same estates, interests and rights respectively and other real and personal estates as the testator may be entitled to at the time of his death notwithstanding that he may become entitled to the same subsequently to the execution of his will.

Will of infant invalid

4.

No will made by any person under the age of 21 years shall be valid.

Rules as to formal validity

5.—

(1)

This section shall take effect notwithstanding any other provisions of this Act.

(2)

A will shall be treated as properly executed if its execution conformed to the internal law in force — (a) in the territory where it was executed; (b) in the territory where the testator was domiciled at the time — (i) when the will was executed; or (ii) of his death; (c) in the territory where the testator habitually resided at either of the times referred to in paragraph (b); or (d) in the state of which the testator was a national at either of the times referred to in paragraph (b).

(3)

Without prejudice to subsection (2), the following shall be treated as properly executed: (a) a will executed on board a vessel or an aircraft of any description, if the execution of the will conformed to the internal law in force in the territory with which, having regard to its registration (if any) and other relevant circumstances, the vessel or aircraft may be taken to have been most closely connected; (b) a will so far as it disposes of immovable property, if its execution conformed to the internal law in force in the territory where the property was situated; (c) a will so far as it revokes a will which under this Act would be treated as properly executed or revokes a provision which under this Act would be treated as comprised in a properly executed will, if the execution of the later will conformed to any law by reference to which the revoked will or provision would be treated as properly executed; (d) a will so far as it exercises a power of appointment, if the execution of the will conformed to the law governing the essential validity of the power.

(4)

A will so far as it exercises a power of appointment shall not be treated as improperly executed by reason only that its execution was not in accordance with any formal requirements contained in the instrument creating the power.

(5)

In determining for the purposes of this section whether or not the execution of a will conformed to a particular law, regard shall be had to the formal requirements of that law at the time of execution, but this shall not prevent account being taken of an alteration of law affecting wills executed at that time if the alteration enables the will to be treated as properly executed.

(6)

Where a law in force outside Singapore falls to be applied in relation to a will, any requirement of that law whereby special formalities are to be observed by testators answering a particular description, or witnesses to the execution of a will are to possess certain qualifications, shall be treated, notwithstanding any rule of that law to the contrary, as a formal requirement only.

(7)

The construction of a will shall not be altered by reason of any change in the testator’s domicile after the execution of the will.

(8)

Where under this section the internal law in force in any territory or state is to be applied in the case of a will, but there are in force in that territory or state two or more systems of internal law relating to the formal validity of wills, the system to be applied shall be ascertained as follows: (a) if there is in force throughout the territory or state a rule indicating which of those systems can properly be applied in the case in question, that rule shall be followed; or (b) if there is no such rule, the system shall be that with which the testator was most closely connected at the relevant time, and for this purpose the relevant time is the time of the testator’s death where the matter is to be determined by reference to circumstances prevailing at his death, and the time of execution of the will in any other case.

(9)

This section shall not apply to a will of a testator who died before 26th June 1992 and shall apply to a will of a testator who dies after that date whether the will was executed before or after that date.

Mode of execution

6.—

(1)

No will shall be valid unless it is in writing and executed in the manner mentioned in subsection (2).

(2)

Every will shall be signed at the foot or end thereof by the testator, or by some other person in his presence and by his direction, and the signature shall be made or acknowledged by the testator as the signature to his will or codicil in the presence of two or more witnesses present at the same time, and those witnesses shall subscribe the will in the presence of the testator, but no form of attestation shall be necessary.

(3)

Every will shall, as far only as regards the position of the signature of the testator, or of the person signing for him as mentioned in subsection (2), be deemed to be valid under this section if the signature shall be so placed at or after, or following, or under, or beside, or opposite to the end of the will, that it shall be apparent on the face of the will that the testator intended to give effect by such his signature to the writing signed as his will; and no such will shall be affected by the circumstance — (a) that the signature shall not follow or be immediately after the foot or end of the will; (b) that a blank space shall intervene between the concluding word of the will and the signature; (c) that the signature shall be placed among the words of the testimonium clause or of the clause of attestation, or shall follow or be after or under the clause of attestation, either with or without a blank space intervening, or shall follow or be after, or under, or beside the names or one of the names of the subscribing witnesses; (d) that the signature shall be on a side or page or other portion of the paper or papers containing the will whereon no clause or paragraph or disposing part of the will shall be written above the signature; or (e) that there shall appear to be sufficient space on or at the bottom of the preceding side or page or other portion of the same paper on which the will is written to contain the signature.

(4)

The enumeration of the circumstances under subsection (3) shall not restrict the generality of that subsection; but no signature under this Act shall be operative to give effect to any disposition or direction which is underneath or which follows it, nor shall it give effect to any disposition or direction inserted after the signature shall be made.

유언법(제1조~제6조)

법률 제352호, 2016.12.1., 개정

약칭

제1조

이 법은 ⌜유언법⌟으로 인용된다.

해석

제2조

이 법에서, 내용상 달리 정하지 않는 한, “국내법”은 영토 또는 국가와 관련하여, 다른 영토나 국가에서 발효중인 법에 대하여 어떠한 문제도 제기되는 않는 경우에 적용되는 법률을 의미한다. “동산”은 임차부동산 그리고 기타 부동산적 동산을 포함하며, 금전, 정부주식, 기타 기금, 부동산이 아닌 담보, 부채, 권리재산, 권리, 신용, 재화 그리고 집행인에게 법률로 양도된 모든 다른 재산과 이에 대한 지분이나 이익에 까지도 이른다. “부동산”은 가옥과 대지, 토지, 지대 및 유체․무체 유산 그리고 이에 대한 미배당주 그리고 그에 속한 모든 상속재산, 동산이익 외의 권리 또는 이익에 까지 이른다. “국가”는 영토나 자신만의 국적법이 있는 영토의 그룹을 의미한다. “유언”은 권한 행사에 있어 증언 및 유언이나 유언의 특성상 문서에 의한 지명 그리고 유언장에 의한 양도와 기타 유언에 의한 양도도 포함한다.

유언으로 이용가능한 재산

제3조

(1)

이 법의 조항과 관련하여, 모든 사람은 사망당시 법률이나 형평(equity)으로 자신에게 권리가 있는 모든 동산이나 부동산을 이 법에서 요구되는 방식으로 집행되는 유언에 의해 마련, 유증 또는 처분할 수 있다.

(2)

제(1)항에서 주어진 권한은 다음으로 확장된다. (a) 특별 점유자의 존재, 유형 또는 무형의 재산, 그리고 자유보유나 기타 거주권을 불문한 모든 상속재산 생애권, (b) 유언자가 동일한 것을 받을 수 있는 사람으로 각각 확인할 수 있는지의 여부, 그리고 그가 문서로 그에 대해 권리를 갖거나 증서나 유언으로 그 처분권을 가질 수 있는 지의 여부와는 별도로, 부동산이나 동산에 있는 모든 불확정, 임시 또는 기타 미래 이익, (c) 위반된 조건에 대한 모든 환수권 및 기타 환수권, 그리고 (d) 유언자가 자신의 유언의 집행으로 계속 동일한 권리가 있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사망과 동시에 권리를 가질 수 있으므로 그러한 각각의 상속재산, 이익, 권리 그리고 기타 동산과 부동산

미성년 유언의 무효

제4조

21세 이하의 사람이 한 유언은 무효이다.

형식의 유효성에 관한 규칙

제5조

(1)

동조는 동법의 다른 조항에도 불구하고 효력을 갖는다.

(2)

유언의 집행이 다음 각호에서 발효중인 국내법을 준수하였다면 그 유언은 적법하게 집행된 것으로 간주된다. (a) 집행된 곳의 영토 (b) 다음과 같은 시기에 유언자가 거주하고 있는 영토 (i) 유언이 집행될 때, 또는 (ii) 사망시 (c) 유언자가 제(b)호 각목에 명시된 시기에 일상적으로 거주하던 지역, 또는 (d) 제(b)호 각목에 명시된 시기에 유언자의 국적국

(3)

제(2)항을 침해함 없이, 다음 각호의 경우 적합하게 집행된 것으로 간주된다. (a) 선박과 항공기의 등록과 관련하여 그리고 기타 관련 상황과 관련하여, 유언집행이 선박이나 항공기가 가장 가까이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간주 될 수 있는 지역에서 발효중인 국내법을 준수한 경우, 모든 종류의 선박이나 항공기에서 집행된 유언, (b) 유언집행이 재산이 있는 지역에서 발효중인 국내법을 준수한다면 부동산을 처분하는 유언, (c) 철회된 유언장이나 조문관련 법률을 준수하는 후속 유언장의 집행이 적절하게 이루어졌다고 간주되는 경우, 동법에 의해 적절하게 집행되었다고 간주되는 유언장의 철회 또는 적절하게 집행된 유언장을 이루는 것으로 간주되는 조문의 취소때까지의 유언장 (d) 유언장의 집행이 그 권한의 핵심적 유효성을 다루는 법률을 준수한다면, 지명권을 행사하는 유언장,

(4)

지명권을 행사하는 유언장이 그 집행이 권한을 창출하는 문서에 있는 형식상 요건을 따르지 않았다는 이유만으로 부적절하게 집행된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5)

동법의 목적상 유언의 집행이 특별법을 준수하였는지를 결정할 때, 집행당시 그 법의 형식요건이 고려되어야 하지만, 만약 어떠한 법률의 변경이 유언이 적합하게 집행된 것으로 간주되게 하는 것이라면, 그 당시에 집행된 유언에 의해 영향을 받는 법의 변경에 대한 고려가 금지되어서는 안된다.

(6)

싱가포르 국외에서 발효중인 법률이 유언과 관련하여 적용되는 경우, 특정 사항에 응하는 유언자가 준수해야하는 특별형식 또는 유언집행에 증인이 특정 자격을 갖출 것을 요구하는 그 법률의 모든 요건은, 그 법에 상반되는 모든 규칙에도 불구하고, 형식적 요건으로만 간주된다.

(7)

유언장의 해석은 유언장 집행 후 유언자의 거주가 바뀌었다는 이유로 변경되지 않는다.

(8)

동조에 따라, 어떤 영토나 국가에서 발효중인 국내법이 유언에 적용되는 경우, 그러나 그 지역이나 국가에 유언의 형식상 유효성에 관하여 둘 이상의 국내법 체계가 발효중이라면, 적용되는 체계는 다음 각호와 같이 확정된다. (a) 만약 영토나 국가 전역에 그 체계중 어떤 것이 해당 문제의 경우에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는 지를 지정하는 발효중인 규칙이 있다면, 그 규칙을 따른다. 또는 (b) 그러한 규칙이 없다면, 관련 시기에 유언자와 가장 밀접하게 연결된 체계를 채택하며, 여기서 관련 시기란 사망당시 상황을 참고하여 사안이 결정되는 유언자의 사망시기 그리고 기타의 경우 유언장이 집행되는 시기이다.

(9)

동조는 1992년 6월 26일 이전에 사망한 유언자의 유언에 적용되지 않으며 유언이 그 날 이전 또는 이후에 집행되는 것과 상관없이 그 날 이후 사망한 유언자의 유언에 적용된다.

집행방식

제6조

(1)

유언이 서면으로 그리고 제(2)항에 명시된 방법으로 집행되지 않으면 어떠한 유언도 유효하지 않다.

(2)

모든 유언은 하단이나 그 말미에 유언자 또는 유언자의 참석하에 그의 지시에 따른 다른 사람의 서명이 있어야 하고, 그 서명은 둘 이상의 증인의 출석하에 그의 유언장이나 유언보충서에 대한 서명으로 유언자가 하거나 인지된다. 그리고 해당 증인들은 유언자의 출석하에 유언임을 기입하지만 어떠한 입증형식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3)

유언자의 서명의 위치 또는 제(2)항에 명시된 대로 그를 대신하여 서명한 사람의 지위만을 고려할 때, 서명이 유언장에 또는 후에, 또는 유언 끝의 그 아래, 옆, 뒤에 있다면, 유언은 동조에 따라 유효한 것으로 간주되며 이는 자신의 유언장에 사인을 남겨 자신의 서명으로 유언자가 효력을 주려는 의도가 있음을 유언장 전면에 명백히 하는 것이다. 그리고 어떠한 유언장도 다음과 같은 상황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a) 서명이 유언장의 주석이나 유언의 끝에 이어지거나 바로 있지 않는 경우 (b) 유언의 결어와 서명사이에 공백이 있는 경우 (c) 서명이 말미문언이나 인증조항 사이에 있는 경우 또는 공백의 삽입여부와는 별도로 인증조항 뒤나 아래에 있는 경우 또는 신청한 증인의 성명이나 그들 중 하나에 이어서 또는 그 뒤, 아래 또는 옆에 있는 경우 (d) 서명이 옆이나 페이지에 또는 기타 문서의 다른 부분에 또는 서명 상단에 어떠한 문구나 구문 또는 유언의 배분에 대해 쓰여있지 않은 유언장을 포함한 문서에 있는 경우 (e) 서명이 포함되어 있다고 쓰여진 유언장의 앞면이나 페이지 또는 기타 동일문서의 다른 부분에 또는 그 하단에 충분한 여백이 있는 경우

(4)

제(3)항에 열거된 상황들이 이 조항의 일반화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동법에 의한 어떠한 서명도 그 이하에 있는 또는 그에 따른 처분이나 지시의 효력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며, 서명 후에 삽입된 어떠한 처분이나 지시의 효력에도 영향이 미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