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전선에 관한 법률명령」
[법률 제734.31호, 1994.3.30., 제정, 2016.1.1., 개정]
L'autorité communale ou cantonale compétente pour l'octroi d'un permis de construire ou l'approbation du changement d'affectation d'un bien-fonds doit consulter l'exploitant de la ligne à haute tension avant de délivrer le permis de construire ou d'approuver le changement d'affectation si: a. l'affectation autorisée de surfaces à l'intérieur de zones à bâtir existantes se trouve élargie ou modifiée de telle manière qu'il peut en résulter de nouveaux lieux à utilisation sensible (art. 3, al. 3, let. a et b, de l'O du 23 déc. 1999 sur la protection contre le rayonnement ionisant, ORNI) dans l'aire d'une ligne à haute tension existante où la valeur limite de l'installation (annexe 1, ch. 14, ORNI) est atteinte ou dépassée dans le mode d'exploitation déterminant (annexe 1, ch. 13, ORNI); b. des bâtiments sont édifiés ou modifiés de telle manière qu'il en résulte de nouveaux lieux à utilisation sensible (art. 3, al. 3, let. a et b, ORNI) dans l'aire d'une ligne à haute tension existante où la valeur limite (annexe 1, ch. 14, ORNI) est atteinte ou dépassée dans le mode d'exploitation déterminant (annexe 1, ch. 13, ORNI).
Les lignes aériennes doivent être établies à une distance des bâtiments telle qu'elles ne mettent pas en danger ni les personnes ni les bâtiments. La présence des lignes ne doit pas entraver les mesures de sauvetage et de lutte contre le feu en cas d'incendie.
a. qu'ils ne puissent être atteints à partir d'endroits normalement accessibles; b. que les lignes aériennes arrivent autant que possible perpendiculairement à la façade.
a. si la réduction est admissible; b. des distances directes en fonction de la charge thermique et des risques d'incendie du bâtiment; c. des mesures de protection adéquates.
「송전선에 관한 법률명령」
[법률 제734.31호, 1994.3.30., 제정, 2016.1.1., 개정]
건설허가를 부여하거나 부동산 전용(轉用) 변경 승인을 관할하는 코뮌(commune) 또는 칸톤(canton) 당국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건설 허가를 발급하거나 전용 변경을 승인하기 전 고압 송전선 운영자의 의견을 구해야 한다. a. 특정 동작 모드[「비전리 방사로부터의 보호에 관한 1999년 12월 23일 법률명령(ORNI)」 부속서1 별첨13 참조]에서 최대 자속밀도 (ORNI 부속서1 별첨14 참조)에 달하거나 이를 초과하는 현존하는 고압 송전선 지역 내에 신규 전자파 취약지역(ORNI 제3조제3항제a호 및 제b호 참조)이 생길 수 있는 방식으로 기존 건설 지역 내에 위치한 허가 받은 전용 구역이 확대 또는 수정되는 경우 b. 특정 동작 모드(ORNI 부속서1 별첨13 참조)에서 최대 자속밀도(ORNI 부속서1 별첨14 참조)에 달하거나 이를 초과하는 현존하는 고압 송전선 지역 내에 신규 전자파 취약지역(ORNI 제3조제3항제a호 및 제b호 참조)이 생길 수 있는 방식으로 건물이 세워지거나 변경되는 경우
공중 송전선은 사람이나 건물을 위험에 처하지 않도록 건물과 일정 간격을 유지해야 한다. 공중 송전선의 존재가 화재 시 구조활동 및 소화활동을 방해해서는 아니 된다.
a. 사람이 일반적으로 접근 가능한 장소에서 앵커에 닿을 수 없도록 고정 b. 공중 송전선이 정면과 가능하면 직각이 되도록 고정
a. 축소 값이 허가 가능한 값인지 아닌지 b. 열부하 및 건물의 화재 위험에 따른 직선 거리 c. 적절한 보호조치
건물이 가장 높이가 낮은 전선보다 낮은 경우
ㅇ:바람 등에 따른 접근(rapprochement)으로 도달할 수 있는 거리와 애자련 또는 현수애자련의 고정지점 간의 거리 f10: 접근으로 인한 근접 부위에서의 10°C일 때 전선 간 거리 lk: 현수애자련의 길이 – 애자련: lk = 0 – 편측 현수애자련: lk 부분적인 접근 거리에 따라 축소됨 φ: 바람에 따른 전선 변위 시 진폭의 각도 s: 공칭전압으로 kV당 0.01m
건물이 가장 높이가 낮은 전선보다 높은 경우
ㅇ:바람 등에 따른 접근(rapprochement)으로 도달할 수 있는 거리와 애자련 또는 현수애자련의 고정지점 간의 거리 f10: 접근으로 인한 근접 부위에서의 10°C일 때 전선 간 거리 lk: 현수애자련의 길이 – 애자련: – 편측 현수애자련: lk = 0 lk 부분적인 접근 거리에 따라 축소됨 φ: 바람에 따른 전선 변위 시 진폭의 각도 s: 공칭전압으로 kV당 0.01m h: 가장 낮은 전선과 지붕 끝선 간의 높이 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