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동향 보고서

법제동향

성장기 러시아 가전 시장의 변화와 기업의 대응 전략
  • 작성일 2005.10.03.
  • 조회수 2250
성장기 러시아 가전 시장의 변화와 기업의 대응 전략의 내용

[LG경제연구원]  성장기 러시아 가전 시장의 변화와 기업의 대응 전략

2000년도 이후 매년 20〜30%식 고성장하고 있는 러시아 가전 시장에는 외국 업체들의 현지 생산 체제 돌입, 정부의 통관 투명화 정책, 지방 시장의 급성장, 유통 구조의 변화 등으로 1990년대와는 완연히 다른 일대 변화가 등장하고 있으며, 이런 변화는 현재까지는 성공적인 시장 점유를 하고 있는 한국 업체들에게 상당한 도전으로 다가올 수 있기에 이에 대한 신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전체 시장 물량의 40〜50% 이상이 '회색통관' 제품일 정도로 러시아의 통관 시스템은 불투명하지만, WTO 가입을 전후한 통관투명화 정책과 현지 투자 외국 업체들의 강력한 이의 제기 등으로 회색통관에 대한 규제는 계속 강화될 전망이며, 이는 '역외무역' 위주의 대러 수출을 했던 한국 업체에게 적지 않은 타격을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외국 업체들의 현지 생산 체제 구축 및 적극적인 시장 공략 정책으로 지난 수 년간 계속 이어진 한국 업체들의 가파른 매출 성장세가 다소 둔화되는 모습이 작년부터 이미 나타나기 시작하고 있다.

프리미엄 브랜드 전략과 Low-end 제품에 대한 마케팅 비중 축소에 따라 VCR, 전자레인지 등 시장 점유율 1위를 달리던 일부 제품들도 앞으로 시장 점유율이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등, 유럽 업체들의 고급 제품과 중국 및 터키 업체들의 저가 제품 공세 속에 한국 업체들은 Nut Cracker 딜레마에 빠질 우려가 발생하고 있다.

시장 확대를 겨냥한 유럽 및 일본 업체들의 고급 제품 공세와 중국, 터키 업체의 저가 공세에 맞서기 위해 한국 업체들도 프리미엄 브랜드 전략과 현지 생산 체제의 구축 등을 검토, 시행하고 있다.

비록 아직 러시아의 투자 환경이 그리 우호적이지는 못해도 시장의 성장 속도를 볼 때 이제는 현지 투자를 통한 경쟁력 확보가 필요한 시기이며, 향후 러시아 생산 기지를 바탕으로 구소련권 및 동유럽 시장으로까지 시야를 넓힐 필요가 있다.

모스크바와 같은 주요 대도시 보다 성장 속도가 훨씬 빠른 지방 도시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서는 프리미엄 브랜드 전략과 함께, 다양한 제품군을 갖춘 종합 가전이라는 장점도 함께 활용하는 전략을 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올 4월 준공식을 가졌던 LG전자 러시아 가전 공장 투자 프로젝트는 투자액, 생산규모 등 모든 면에서 러시아 가전 분야 최대의 외국인 투자로 평가 받고 있으며, 삼성전자 역시 러시아 현지 진출을 적극 검토 중에 있다.

< LG경제연구원(www.lgeri.com)> 
 

 
연관 법령 데이터 제공
연관 법령
데이터가 없습니다.
  • 세계법제정보센터에 게재되어 있는 외국법령에 대한 저작물은 외국법령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한 참고사항일 뿐, 어떠한 법적 효력도 부여되지 않음을 알려드립니다.법적 효력을 갖는 외국법령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외국정보 등 공인된 정보원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목록으로

열람한 정보 숨기기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