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동향 보고서

법제동향

中, 올 거시경제 전환 가능성 희박
  • 작성일 2006.02.20.
  • 조회수 876
中, 올 거시경제 전환 가능성 희박의 내용
 
<인민일보/2006.02.17>
 
통화팽창 및 긴축 나타나지 않을 듯

중국과학원 예측 과학 연구센터에서 처음으로 거시경제 예측 보고를 선포했다.
 
중국과학원 예측 과학 연구센터는 최근 베이징(北京)에서 정식으로 개업 했다. 예측 과학 연구센터는 설립 대회에서 처음으로 7개의 중국 거시경제 예측 보고를 공개했다. 보고에 따르면 2006년 중국 거시경제는 전환점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지 않다.
 
외자 이용 수, 영향 받을 듯 
 
과학 연구센터는 <2006년 중국 수출입 상황 분석과 예측> 보고에서 “달러 이율과 환율 파동 및 국제 자본의 변화 등 요인으로 나타난 국제투자와 무역 환경도 변화를 보이게 된다. 따라서 중국의 외자 이용 수도 영향을 받게 되며 수출까지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며 “무역 마찰은 한층 더 격화되고 증가할 수 있으며 일정한 정도로 중국의 수출 성장 속도를 늦추게 될 것이지만 대외무역 수출은 여전히 빠르고 안정적인 증가 추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수입 성장 속도는 확실하게 상승할 가능성이 있으나 국제 시장 상품 가격 파동이 존재하기 때문에 수입 총액 증가폭도 큰 변수가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유가 상승, GDP에 영향 줘 
 
예측 과학센터는 <국제 유가 파동의 중국 경제에 대한 영향 예측> 보고에서 일반적인 균형 모형에 따라 국제 원유 가격 상승의 중국 거시경제에 대한 영향을 분석했다. 국제 원유 가격 상승은 중국 실제 GDP, 투자, 소비 등에 대해 부정적인 영향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일부 생산기술 진보는 유가 위험에 대한 저항에 일정한 작용을 일이킬  수 있다. 교통 운송 소비 지출의 총소비 지출 비율의 유가 위험 저항에 대한 영향은 크지 않다. 복지 각도에서 말하자면 유가 상승은 농촌 주민에게 더 불리하다.
 
통화 팽창 및 긴축 나타나지 않을 듯
 
<2006년 중국 물가 동향 분석과 예측>보고는 “2006년 중국 물가 상승과 하락 요인이 서로 병존하기 때문에 물가 동향을 제약할 것이다”고 지적했다. 비록 현재 각종 물가지수 성장폭이 모두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나 물가 상승 요인은 하락 요인보다 많다. 종합 분석과 계량 모형 예측 결과에 근거하면 중국 2006년 소비류 물가는 안정적으로 성장할 것이고 생산류 물가는 점진적으로 오를 것 이지만 모두 정상적인 범위에  있으며 큰 통화 팽창과 긴축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2006년 하반기 CPI는 총체적으로 상반기보다 높을 것으로 예측되며 연간 CPI는 1.97%에 달할 것이다. 생산 수단 출하 가격, 원료 구입 가격, 중공업 제품 가격도 낮은것에서 상향하는 상태를 보일 것이며 각각 7.9%, 9.5%, 11.5% 오를 것으로 예측 된다
.

 

연관 법령 데이터 제공
연관 법령
데이터가 없습니다.
  • 세계법제정보센터에 게재되어 있는 외국법령에 대한 저작물은 외국법령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한 참고사항일 뿐, 어떠한 법적 효력도 부여되지 않음을 알려드립니다.법적 효력을 갖는 외국법령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외국정보 등 공인된 정보원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목록으로

열람한 정보 숨기기

내가 열람한 법제정보

  • 열람 정보가 없음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