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동향 보고서

법제동향

베트남 2020년 환경정책 계획 수립
  • 작성일 2013.04.16.
  • 조회수 5466
베트남 2020년 환경정책 계획 수립의 내용

 

 

베트남 2020년 환경정책 계획 수립

(2012. 2)

 

 

베트남사회주의공화국(이하 '베트남'이라 한다)은 현재부터 2020년까지 국가의 환경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목표를 설정하였다. 이는 온실 가스 배출량을 2010 년에 기록 된 수준에 비해 해당 기간동안 8 ~ 10 % 감소 할 것으로 기대하는 것이다. 전략 및 천연 자원 환경부, Nguyen Van Tai 정책 연구소 소장은 베트남은 온실 가스 배출량이 과거 수십 년간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다른 선진국 에 비해 낮은 상태라고 말했다. 또한 "기술적으로, 베트남은 그 배출량을 삭감해야 하는 의무를 지고 있지는 않고 있다. 그러나 베트남은 해당 문제에 관한 국제적인 지원을 이용하기 위하여 녹색성장 전략을 승인하였다고 Tai 소장은 말하였다.

베트남 인당 온실가스 총 배출량은 1990년의 연간 CO2 배출 0.3 톤에 비했을 때 연간 CO2 1.9 톤으로 추정된다. 그것은 2030 년까지 5 만 톤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며 에너지 관련 활동이 온실 가스 배출의 주요 원인이기 때문에 대상은 2020 년 전에 10~20%수준 감축을 그 목표로 한다.

주요 전략목표는 다음과 같다. 보다 효율적인 에너지사용 전략으로 산업활동에 있어 에너지 소비를 축소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기술 혁신, 현대 공공시설 개발절차에 있어서 또한 또한 석유자원 의존도에 종지부를 찍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재생에너지 이용을 증대시키는 목표도 있다. 또한 점진적으로는 현재 주요 원료로 사용되는 석유에너지에 대한 보조금을 감축하려 한다. 그리고 과거 몇십년간의 급격한 경제발전으로 심각한 환경파괴가 있어왔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으로 천연 자원을 사용하여 환경 친화적인 친환경 생산을 촉진하기 위한 것이다.



경제는 높은 차원의 기술, 재활용, 환경 서비스 등의 '녹색 분야의 투자 증가를 위하여 재 구축되어야 한다. 치열한 자원 분야에서는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폐기물 관리를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방법이 채택될 것이 필요하다. 2020 년까지 하이테크놀로지와 녹색 기술 산업이 국내 총생산(GDP)42%에서 45%를 차지할 것이며 제조업의 80% 및 무역에서 환경 기준을 충족할 것으로 생각된다. 베트남 제조 현장에서는 청정 기술을 채택할 것이 필요하다.

 

또 다른 중요한 목표는 녹색 생활과 지속 가능한 소비 패턴을 촉진하는 것입니다. 그것은 라벨링을 통해 환경 친화적인 제품을 국민에게 알리는 것으로 시작한다. 지금부터 2020년까지 건축 자재, 병원 장비, 수송 차량과 컴퓨터 등 제품의 수는 더 친환경 적이 될 것이다.

 

이 전략의 첫 10 년 동안 계발 활동은 인적 자원과 제도적 체계 구축 함께 의식의 향상 활동이 우선된다.

 

출처:

http://english.vietnamnet.vn/fms/environment/49206/vietnam-approves-green-growth-strategy.html

 

연관 법령 데이터 제공
연관 법령
데이터가 없습니다.
  • 세계법제정보센터에 게재되어 있는 외국법령에 대한 저작물은 외국법령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한 참고사항일 뿐, 어떠한 법적 효력도 부여되지 않음을 알려드립니다.법적 효력을 갖는 외국법령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외국정보 등 공인된 정보원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목록으로

열람한 정보 숨기기

내가 열람한 법제정보

  • 열람 정보가 없음
상단으로 이동